• Title/Summary/Keyword: 다목적 활용

Search Result 28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Current Status of Application of KOMPSAT Series (최근 다목적실용위성 시리즈 활용 현황)

  • Lee, Kwang-Jae;Oh, Kwan-Young;Lee, Won-Jin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6 no.6_2
    • /
    • pp.1485-1492
    • /
    • 2020
  • It has been more than 20 years since the launch of KOMPSAT-1, and so far, a total of 5 satellites have been successfully launched. Until now, KOMPSAT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the production of various thematic maps, land change, environmental analysis, and marine monitoring. Many researchers have conducted research to process, analyze, and utilize KOMPSAT images. According to the national space development plan, the KOMPSAT series will be continuously developed to meet the demand for satellite images at the national level. If the ultimate purpose of satellite development is to utilize acquired images, systematic research to effectively utilize the developed satellites should be followed. This special issue introduces the recently conducted research on the use of KOMPSAT images.

Water supply contribution of multipurpose utilization of the Hwacheon Reservoir in the Han River basin (화천댐의 다목적 활용에 따른 한강수계 용수공급 기여도 산정 방안 수립)

  • Yoon, Jeongin;Lee, Eunkyung;Ji, Jungwon;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91-191
    • /
    • 2022
  • 우리나라 강우는 대부분 여름에 편중되어 수자원 이용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댐과 같은 수공구조물을 활용하여 대응하고 있다. 기존 수도권의 용수공급은 한강수계 다목적댐들을 활용하여 충족시켰으나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가뭄, 용수 수요 증가 등에 의해 미래 용수부족이 전망된다. 수도권의 안정적인 용수공급을 위해 환경부와 한국수력원자력(주)는 2020년 4월에 우리나라 최초로 기 건설된 발전용댐을 다목적화하는 『한강수계 발전용댐 다목적 활용 협약』을 체결하였다. 협약에 따라 화천댐은 시범운영기간 동안 기본계획 공급량 22.2 m3/sec (연간 7억 톤)를 상시 공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팔당댐에 기여하는 화천댐의 용수공급량을 산정하여 용수공급 효과를 검증하였다. 화천댐 용수공급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기 위해 HEC-ResSim을 활용하여 시범운영기간 운영 결과와 유사한 한강수계 댐 운영 모형을 구축하였다. 또한, 시범운영 기간 화천댐과 다목적댐들의 팔당댐 용수공급 기여도를 정량적으로 제시하는 방안을 구축하였다. 시범운영이 수행됨에 따라 발전용댐의 다목적 활용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안 구축으로발전용댐의 용수공급 효과를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Study on site selection criteria and discharge capability evaluation for the multi-purpose use of a double-deck tunnel in a great depth (대심도 복층터널의 다목적 활용을 위한 입지선정 및 통수성능 평가)

  • Moon, Hoon-Ki;Kil, Ki- Oh;Song, In-Cheol;Lee, Hye-Yoo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8 no.3
    • /
    • pp.283-290
    • /
    • 2016
  • Recent, the construction of the multi-purpose double-deck tunnel is required to solve the flood protection and congested area at urban city. The multi-purpose double-deck tunnel is desperately needed for the introduction of efficient utilization of underground space in addition to the main feature of road capabilities. A basic review was performed for site selection to consider the control capability and features of road tunnel at the same time, and the processable flow in accordance with tunnels cross section of double deck tunnel. Site Selection Criteria for multi-purpose use of the double-deck tunnel has been proposed through the site selection criteria by use of the tunnels review. Also the estimation processable flow was performed to review the versatility of double-deck tunnel due to design of tunnel cross-section. Site Selection of double-deck tunnel from this study can be seen the need for a complex consideration through a variety of analyzes.

KOMPSAT Image Processing and Analysis (다목적실용위성 영상처리 및 분석)

  • Kwang-Jae Lee;Kwan-Young Oh;Sung-Ho Chae;Sun-Gu Lee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9 no.6_3
    • /
    • pp.1671-1678
    • /
    • 2023
  • The Korea multi-purpose satellite (KOMPSAT) series consisting of multi-sensors has been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and, environmental monitoring, and disaster analysis since its first launch in 1999. Recently, as various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ies (high-speed computing technology, computer vision, artificial intelligence, etc.) that are rapidly developing are utilized in the field of remote sensing, it has become possible to develop more various satellite image processing and analysis algorithms. In this special issue, we would like to introduce recently researched technologies related to the KOMPSAT image application and research topics participated in the 2023 Satellite Information Application Contest.

KOMPSAT Imagery Applications (다목적실용위성 영상 활용)

  • Lee, Kwang-Jae;Oh, Kwan-Young;Lee, Won-Jin;Lee, Sun-Gu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6_3
    • /
    • pp.1923-1929
    • /
    • 2021
  •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 and are being developed in many countries due to their high utility and marketability. Korea is developing various Earth observation satellites according to National Space Development Plan. Among them, the Korea Multi-Purpose Satellite(KOMPSAT) series is the most representative low-orbit satellite. So far, a total of five KOMPSAT have been launched to meet the national image demand and have been used in various fields, including national institutions. This special issue introduces research related to data processing, analysis, and utilization using various image data from the KOMPSAT series. Meanwhile, for the uninterrupted utilization of the subsequent KOMPSAT image data, data processing and utilization research suitable for high-resolution images must be continued, and related research contents will be continuously shared through a special issue.

Socio-economic value of Multi-purpose Dam by water supply (다목적 댐의 용수공급에 따른 사회경제적 가치추정 연구)

  • Ryu, Mun-Hyun;Jang, Seo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02-102
    • /
    • 2011
  • 다목적 댐이 사회경제적으로 많은 편익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댐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만연하면서 댐의 사회경제적 편익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등한시 되어 왔다. 이러한 이유중 하나는 댐 운영으로 인해 발생되는 사회경제적 효과에 대한 정량적 분석이 어렵기 때문이다. 다목적 댐 운영으로 인해 발생하는 중요한 효과는 잉여 수자원을 활용하여 사계절을 안정적으로 생활용수 및 공업용수를 공급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최근 환경과 생태계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증가하면서 하천유지용수와 환경개선용수 등 다양한 용수의 수원으로서 댐의 역할이 증가하고 있다. 이외에도 댐 운영을 통해 얻어지는 수력발전은 온실효과 저감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다목적 댐 운영으로 발생하는 용수공급 및 용수활용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여 다목적 댐의 사회경제적 기여효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utilization plan of the multi-purpose freight car (다목적 화차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 Kim, Ick-Hee;Lee, Kye-Seung;Park, Hong-Kyun
    • Proceedings of the KSR Conference
    • /
    • 2010.06a
    • /
    • pp.1549-1557
    • /
    • 2010
  • Multi-purpose freight car is very useful to overcome the unbalance between freight demand and freight car supply. it means removable container is the auxiliary device to make flat car and container and it will be able to transport the container and flat freight. The study is analyzed the freight car operation frequency and freight volume and researched the efficient operation plan. The multi-purpose freight car will contribute in improved the seasonal and the item demand fluctuation and solved the problem of decrease utilization of the open freight car.

  • PDF

Multi-user Multi-purpose 3D Simulation Engine (다자참여 다목적 3차원 시뮬레이션 엔진)

  • Koh, Wook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 no.2
    • /
    • pp.273-278
    • /
    • 1995
  • 실시간 3차원 렌더링(real-time 3D rendering)은 멀티미디어와 그래픽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PC와 게임전용기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며 응용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다자참여 (multi-user)와 다목적(multi-purpose) 활용이 가능한 고성능 3차원 시뮬레이션 엔진 소프트웨어의 구현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하기위한 도구의 구성과 다목적 활용을 위한 재구성(reconfiguration) 방법을 제시한다.

  • PDF

Development of Automatic SWAT Calibration Algorithm Using NSGA-II Algorithm (NSGA-II를 활용한 SWAT 모형의 검보정 알고리즘 개발)

  • Lee, Yong Gwan;Jung, Chung Gil;Kim, Se Hoo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4-34
    • /
    • 2018
  • 본 연구는 다목적 유전자 알고리즘 Non-Dominated Sorting Genetic Algorithm II (NSGA-II)를 활용하여 자동 검보정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이를 준분포형 수문모형인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에 적용하여 평가하고자 한다. 집중형 모형과 달리, 분포형 모형은 유역 내 다양한 물리적 변수와 공간 이질성(spatial heterogeneity)을 표현하기 위한 많은 매개변수를 포함하고 있고, 최근에는 기후 변화와 장기 가뭄과 같은 이상 기후에 따른 물 부족, 수질 오염 및 녹조 현상 등을 고려하기 위해 매개변수의 시간적인 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한 연구도 수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목적 알고리즘은 다양한 매개변수의 시공간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도록 작성되었으며, Python으로 개발하여 타 모형으로의 확장성 및 범용성을 고려하였다. SWAT 모형의 유출 해석은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RMSE(Root mean square error), 모형 효율성 계수(Nash-Sutcliffe efficiency, NSE) 및 IOA(Index of agreement) 등을 활용해 기존 연구 결과와 비교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른 목적함수 또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NSGA-II를 활용한 SWAT 모형의 유출 해석은 다목적 함수를 고려함에 따라 실측값과 높은 상관성을 보여줄 것으로 판단되며, 이상 기후 기간 설정에 따른 유동적인 매개변수 변화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valuation of Multi-objective PSO Algorithm for SWAT Auto-Calibration (다목적 PSO 알고리즘을 활용한 SWAT의 자동보정 적용성 평가)

  • Jang, Won Jin;Lee, Yong Gwan;Kim, Se Hoon;Kim, Yong Won;Kim, Seong 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13-113
    • /
    • 2018
  • 본 연구는 다목적 입자군집최적화(Particle Swarm Optimization, PSO) 알고리즘을 SWAT(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모형에 적용하여 자동보정 알고리즘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PSO 알고리즘은 Python을 활용해 다목적 함수를 고려할 수 있도록 새롭게 개발되었다. SWAT 모형의 유출 해석은 안성천의 공도 수위 관측소 상류유역($366.5km^2$)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공도 지점의 2000년부터 2017년까지의 일 유량 자료를 이용하여 검보정하였다. 모형을 위한 기상자료는 공도유역 주변 3개 기상관측소(수원, 천안, 이천)의 일별 강수량, 최고 및 최저기온, 평균 풍속, 상대습도 및 일사량을 구축하였다. SWAT 모형의 유출 해석은 결정계수(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RMSE(Root mean square error), Nash-Sutcliffe 모형효율계수(NSE) 및 IOA(index of agreement) 등을 활용하여, 기존 연구 결과와 PSO 알고리즘을 활용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다목적 PSO 알고리즘을 활용한 SWAT모형의 유출 해석은 보다 높은 정확도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Python으로 개발되어 SWAT모형 이외에도 널리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