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다기준 의사결정법

Search Result 55, Processing Time 0.03 seconds

Multicriteria Decision Analysis - Methods and Case Studies (다기준 의사결정분석방법 - 기법 및 사례 연구)

  • Choi, Si Jung;Rieu, Seung Yup;Lee, Dong 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854-858
    • /
    • 2004
  • 수자원 계획 및 관리 분야에서는 여러 상반된 기준들을 고려하여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이 매우 빈번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충되는 기준들에서 최적의 대안들을 찾고 이를 결정하기 위해 다기준 의사결정 분석과 같은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다기준 의사결정의 중요한 특징은 목적과 기준을 설정, 상대적 가중치들을 추정, 개별 성능 기준에 대한 대안들의 기여도를 결정하는데 있어서 의사 결정자의 판단에 중점을 두는 것이다. 주관적인 견해가 너무 많이 산재할 경우는 문제가 될 수 있지만, 원칙적으로 다기준 의사결정은 목적, 기준, 가중치 및 목표 달성 평가에 내한 의사결정자의 선택을 중시하며, 이를 과학적이고 명확한 방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기준 의사결정방법들은 비용-편익 분석의 실무적인 한계를 초월하는 의사결정 사안들을 위한 구조, 분석 방법, 융통성을 가지고 있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 수자원 계획 및 관리 분야에 적용되는 계층화분석방법 이외에 유럽 등지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가치함수법, Outranking 방법 등을 소개하고자 기준에 대한 대안들의 점수를 부여하는 방법과 가중치 산정 방법을 소개하였다. 또한 수자원 분야에 적용되었던 다기준 의사결정분석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국내 수자원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상반된 기준을 고려시 최적의 대안을 찾아내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 PDF

Aggregation of Decision Inputs with OWA(Ordered Weighted Averaging) Operators and Application to the Location Analysis of Anchorage Area (OWA를 이용한 의사전략 결합과 대기정박지 입지분석 문제 적용연구)

  • O, Se-Ung;Seo, Gi-Yeol;Park, Jong-Min;Seo, Sang-Hyeon;Park, Gye-G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7.04a
    • /
    • pp.265-268
    • /
    • 2007
  • 다기준 의사결정 문제에서 요인간의 가중치 계산과 계산된 요인의 평가값 종합화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다기준 의사결정 문제에 있어서 의사결정자의 의사전략 결합기법을 도출하고 다기준의사결정 문제로 적용하였다. 복잡한 환경에서 의사결정을 할 때 발생되는 모호함을 해결하기 위해 주관적 의견을 결합한 퍼지지합 이론을, 다기준 문제의 요인을 퍼지값으로 계층화하기 위해 계층분석법을 적용하였다. 또한, 의사결정자의 의사전략을 결합하기 위해 순위 가중치평균법을 이용하였다. 순위가 있는 가중치 평균방법은 퍼지집합의 orness 특성을 이용하여 의사결정자의 주관적 의지를 반영할 수 있는 기법으로, 순위가중치평균(OWA) 연산자에 따른 낙관적 혹은 비관적인 정도에 따라 주관적인 의도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다. 다기준의사결정 문제의 적용사례로서 해상교통안전을 위한 대기정박지의 위치분석 문제를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에 따라 적용하였다.

  • PDF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application methodologies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수자원 계획수립을 위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의 적용 방안)

  • Chung, E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27-227
    • /
    • 2012
  • 본 연구는 수자원계획 문제에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두 가지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첫 번째는 다기준 의사결정기법 선택의 차이가 결과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제시하였고 두 번째는 평가기준에 대한 가중치와 대안들의 평가치에 대한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는 절차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문제를 위해 가중합계법, Compromise Programming, 계층화분석과정, 수정된 계층화 분석과정, 가중곱방법, TOPSIS, ELECTRE-2, Regime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최근 사용빈도가 높은 삼각형 Fuzzy 숫자와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결합한 기법에 대해서도 분석하였는데 Fuzzy WSM, Fuzzy 계층화분석과정, Fuzzy 수정 계층화분석과정, Fuzzy TOPSIS, Fuzzy Compromise Programming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평가기준에 대한 가중치 조건과 표준화 방법이 동일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조금씩 다른 순위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MCDM 기법들을 적용해도 동일한 순위로 나타나는 대안들이 있었다. 따라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사용한 수자원 관리계획을 수립할 때에는 다양한 분석기법을 활용해서 기법의 선택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최소화해야 한다. 두 번째 문제는 평가기준에 대한 가중치와 대안의 효과 정량화 자료의 불확실성을 극복하기 위해 각각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유량확보와 수질개선을 위한 수자원 계획 수립을 위해 가중합계법을 이용한 문제에 두 경우의 민감도 분석을 모두 수행하였다. 이 과정에서 결정계수와 민감도 계수를 산정하여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향후 수자원 관리 및 계획 분야에서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적용할 때 사용될 수 있는 기초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 PDF

Application of Fuzz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s for Robust Prioritization (로버스트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Fuzzy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의 적용)

  • Han, Bong Gu;Chung, Eun S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917-926
    • /
    • 2013
  • This study presents the feasibility of fuzz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techniques for the robust prioritization of projects. It is applied to water resources planning problem. Results from weighted sum method (WSM),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revised analytic hierarchy process (R-AHP), and TOPSIS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Fuzzy WSM, Fuzzy, AHP, Fuzzy R-AHP, and Fuzzy TOPSIS. For the calculation, all weights on criteria and the normalized data were obtained from the same investigation. As a result, the rankings from four MCDM techniques are slightly different while those from fuzzy MCDM show the comparatively consistent ranking.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use fuzzy MCDM technique when MCDM is used for the prioritization problem, since fuzzy MCDM can include the uncertain variability of input data and weighting values on criteria.

Aggregation of Decision Inputs with Ordered Weighted Averaging Operators and Application to the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Problems (순위가중치평균법에 의한 의사전략 결합 및 다기준의사결정 문제로의 적용)

  • Oh, Se-Woong;Park, Jong-Min;Yang, Young-Hoon;Seo, Ki-Yoel;Lee, Cheol-Young;Suh, Sang-Hyun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 /
    • v.31 no.6
    • /
    • pp.537-543
    • /
    • 2007
  • It's an important part to calculate the weights between criterions and to aggregate the decision inputs in a MCDM(Multi criterion decision making)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for aggregation cf decision inputs and application to the MCDM. We incorporate the fuzzy set theory and the basic nature of subjectivity due to ambiguity to achieve a flexible decision approach suitable for uncertain and fuzzy environments. To obtain the scoring that corresponds to the best alternative or the ranking of the alternatives, we need to use a total order for the fuzzy numbers involved in the problem. In this article, we consider a definition of such a total order, which is based on two subjective aspects: the degree of optimism/pessimism reflected with the ordered weighted averaging(OWA) oprators. A numerical example, expecially location analysis for anchorage area, is given to illustrate the approach.

Identifying Spatial Hazard Ranking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s (다기준 의사결정기법을 이용한 공간위험 순위산정)

  • Chung, Eun-Sung;Lee, Kil-Seo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12
    • /
    • pp.969-983
    • /
    • 2007
  • This study developed a ten-step procedure of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IWM) for sustainability to rehabilitate the distorted hydrologic cycle and identified spatial hazard ranking(step 2). Spatial hazard indices, Potential flood damage (PFD), potential streamflow depletion (PSD), potential water quality deterioration (PWQD), and watershed evaluation index (WEI) were developed using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techniques and sustainability evaluation concept(pressure-state-response model). The used MCDM techniques are composite programming, compromise programing, Regime method, and EVAMIX approach which are classified by data availability and objectives (prefeasibility and feasibility).

Implementation of a Web-based MGDSS for Coordinated Multiple Reservoir Operation (저수지군 연계운영을 위한 웹 기반 다기준 그룹의사결정지원 모형의 구현)

  • Cho Namwoong;Lee Yongdae;Kim Sheung-Kow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417-1421
    • /
    • 2005
  • 현실에서 실제 존재하는 문제들은 단일 목적이 아닌 다수의 목적들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수자원 분야의 저수지군 연계운영 경우 용수공급 부족량의 최소화, 저수량의 최대화, 발전량의 최대화, 그리고 수계외 유출량의 최소화 등의 다중목적들로 이루어지는데 저수량의 최대화와 발전량의 최대화처럼 서로 상충되는 목적들이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저수지군 연계운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위와 같이 상충되는 목적들 간의 trade-off를 고려한 여러 대안을 도출하여 댐운영 의사결정자들 간의 협의를 통한 적절한 대안이 선택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자료의 공유가 필수적이며 각 의사결정자들의 요구사항 및 평가기준들이 합리적으로 수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웹을 활용하여 의사결정자들에게 상충된 목적들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대안을 제공하고 의사결정자들의 의사를 바탕으로 합의된 저수지군 연계운영 방안의 도출을 지원하는 웹 기반 다기준 그룹의사결정지원 모형을 구현한다. 합의된 해 선정을 위한 대안들은 CBITP(CHIM based Interactive Tchebycheff Procedure)를 활용한 다중목적 계획법에서 제시한 방안들을 이용하며 그룹의사결정은 PROMETHEE(Preference Ranking Organization Method for Enrichment Evaluation) 기법을 사용한다.

  • PDF

Application of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s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2. Sensitivity Analysis of Weighting and Performance Values (수자원 계획수립을 위한 다기준의사결정기법의 적용: 2. 가중치와 평가치에 대한 민감도 분석)

  • Chung, Eun-Sung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5 no.4
    • /
    • pp.383-391
    • /
    • 2012
  •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sensitivity analysis approach for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CDM) method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weighting and performance values. This study focuses on two major problems of the uncertainty for MCDM method. The first major problem is how to determine the most critical criterion and the second is how to determine the most critical measure of performance. This study used the application of weighted sum method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The criticality degrees and the sensitivity coefficients of criterion and alternative are used. This results of sensitivity analysis can be applied to the general water resources planning in real.

Analysis on the Urban Waterfront for River Restoration (하천복원을 위한 도시 수변공간의 평가)

  • Kim, Byeong-Chan;Kim, Man-Sik;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05-106
    • /
    • 2012
  • 대부분의 의사결정은 단순한 계층 뿐만 아니라 상 하위 요소간의 상호작용과 종속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절차를 거쳐 신중하게 처리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이 하천을 이용함에 있어 어떠한 요소들을 우선적으로 선택하는지에 대하여 다기준 의사결정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 PDF

The Allocation Precedence of the Limited Same Resource to the Concurrent Activities under Multiple Criteria (다기준하 동일 한정 자원의 배당 우선순위 결정)

  • Hwang, Jin-Ha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9 no.5
    • /
    • pp.159-167
    • /
    • 2008
  • This study provides a effective approach to the construction management problem with the limited number or amount of available resources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Construction management is a series of decision making processes for planning and controling of cost, time and quality as main objectives in construction works. When several activities need the limited same resource at the same time, it is very hard to decide the priority of the activities in the real situations. For that the scientific decision making method and procedure for resource allocation are required. This study solves the resource allocation problem by dealing with the decision making problem which the activities are distributed to multiple projects and under multiple criteria.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is a method devised to solve complex multi-criteria decision problems. The result shows that this study can be effectively used to make decisions in situations involving multiple objectives by evaluating the prioritized ranking and degree of the activity alternatives based on the overall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