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능동제거

Search Result 23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 Active Noise Canceller with Blind Source Separation (Blind 신호원 분류를 갖는 능동 소음 제거기)

  • 손준일;이민호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6
    • /
    • pp.3-8
    • /
    • 199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ctive noise control system that cancels the only noise signal from the mixture selectively. A blind source separation realized by a 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is used as a preprocessor of the active noise control system and separates the desired signal and the noise signal. The active noise control system adaptively generates an anti-noise signal to remove the only noise signal separated by the blind source separation. Compute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s effective to construct a selective attention system.

  • PDF

Recent Status on Active Space Debris Removal Technologies (우주파편 능동제거 기술 연구개발 동향 분석)

  • Kim, Hae-Dong;Kim, Min-K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43 no.9
    • /
    • pp.845-857
    • /
    • 2015
  • Recently, deterioration of space environment due to space debris is getting a lot of international attention and advanced countries in space technology are willing to comply with their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 With these efforts to reduce the number of space debris, active space debris removal technology means to try and to get rid of space debris directly. In this paper, the background and recent status on active space debris removal technologies of overseas agencies are presented. Also, cases of technology development and patents are introduced. Thus, this paper can be usefully referred to by the colleagues who are willing to start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ctive space debris removal technologies.

An Active Noise Canceller with Blind Source Separation (Blind 신호원 분류를 갖는 능동 소음 제거기)

  • Sohn Jun-il;Lee Minh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spring
    • /
    • pp.109-11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신호원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혼합된 신호로부터 잡음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능동 소음 제거기(Active noise canceller)를 제안한다. 음성신호와 같은 독특성을 갖는 신호의 분리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는 동적 재귀 신경망 (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을 원하는 신호원에 섞인 잡음신호를 분리하여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능동소음제거기의 전처리기로 미용한다. 능동 소음 제거기는 분리된 잡음 신호에 대한 역 위상 신호를 적응적으로 발생함으로써 특정 위치에서 원하는 신호만을 선택적으로 남길 수 있도록 한다. 컴퓨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에서는 제안된 시스템이 선택적인 소음제거에 효과적임을 보인다.

  • PDF

정지형 능동전력 필터

  • 최규하
    • 전기의세계
    • /
    • v.36 no.9
    • /
    • pp.673-682
    • /
    • 1987
  • 본고에서는 교류전원측에 발생하는 고조파를 제거하기 위한 정지형 능동전력필터에 관해 기술하였다. 능동필터는 기존의 L-C필터와는 달리 능동소자인 전류원을 사용하여 계통으로 직접 고조파보상전류를 주입합으로써 고조파를 상쇄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정지형 필터가 갖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지형 필터는 한대만으로 다수대의 L-C 수동필터를 부착한 것과 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2. 필터가 전류를 주입한 만큼 고조파를 제거시키게 되므로 과부하로 되는 일이 전혀 없다. 3. 능동필터내 전류형 인버터에 인가되는 신호를 조작해서 제거하는 고조파의 차수들과 양을 얼마든지 가변시킬 수 있다. 4. 정지형 필터는 수동필터의 경우처럼 주파수와 L및C의 변동에 따라 고조파 억제특성이 변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은 장점을 지니는 정지형 필터는 설비비의 면에서도 수동필터보다 불리하지는 않을 것이다. 더구나 저렴한 대용량의 반도체소자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될 것으로 미루어 다음 세대의 교류필터로서 각광받을 것이다. 그리고 현존하는 능동필터에 무효전력보상의 기능까지 추가시켜 하나의 장치로 구성시키는 문제는 금후 이루어져야 할 좋은 연구과제라고 사료된다.

  • PDF

Adaptive Noise Canceling by Neuro-Fuzzy Controller (뉴로-퍼지 제어기를 이용한 능동 소음제거)

  • Park, Hee-Kyoung;Kong, Seong-G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1998.07b
    • /
    • pp.471-473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뉴로-퍼지 제어기를 이용한 능동 소음제어기를 구현하였다. 능동 소음제어기는 잡음에 의하여 왜곡된 신호로부터 잡음을 제거하여 원 신호를 복원하는 제어시스템이다. 일반적으로 잡음의 특성이 시간에 따라 변화하고, 전달특성이 비선형적이므로 고정된 제어기에 의해서는 제어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뉴로-퍼지 제어기를 사용하였고, 파라미터를 오차 역전과 학습을 통하여 변화시킴으로써 잡음의 특성에 효과적으로 적응하는 능동 소음제어기를 구성하였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여러 종류의 신호에 대해서 랜덤 노이즈를 발생시키고 구성된 제어기의 성능을 확인하였다.

  • PDF

A clutter reduction algorithm based on clustering for active sonar systems (능동소나 시스템을 위한 군집화 기반의 클러터 제거 기법)

  • Kwak, ChulHyun;Cheong, Myoung Jun;Ahn, Jae-Kyun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5 no.2
    • /
    • pp.149-157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clutter reduction algorithm, which rejects heavy clutter density in shallow water environments, based on a clustering method. At first, it applies the density-based clustering to active sonar measurements by considering speed of targets, pulse repetition intervals, etc. We assume clustered measurements as target candidates and remove noise, which is a set of unclustered measurements. After clustering, we classify target and clutter measurements by the validation check method. W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on synthetic data and sea-trial data.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rovides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s to reduce clutter than the conventional algorithm.

The Reverberation cancellation by using escalator algorithm in active sonar systems (능동 소오나 환경에서 에스컬레이터 알고리즘을 이용한 잔향음 제거)

  • 김수언;박경주;유경렬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779-782
    • /
    • 2000
  • 능동 소오나 시스템에서는 잔향음 제한 환경에서 표적 검출을 하기가 용이하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노치 필터로 제거할 수 없는 시 불변성의 잔향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적응형 잡음 제거기가 갖고 있는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Gram-Schmidt 직교화과정을 전처리 기법으로 사용하였다. 아울러, 제안된 잔향음 기법을 동해에서 실측한 자료에 적용함으로써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Adaptive Prediction Approach to Active Noise Cancellation (능동 잡음제거를 위한 적응 예측방식)

  • 강명훈;부인형;강철호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5
    • /
    • pp.54-63
    • /
    • 1993
  • 적응 능동 잡음제거를 위한 새로운 방식을 기술했으며, 잡음원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물리적인 잡음 제거를 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기존의 시스템 식별 방식과 달리 적응 예측기를 사용하였으며 신호를 검출하는데 쓰이는 마이크를 하나로 구성하였다. 잡음 신호 자체를 예측함으로써 적극적인 대처를 할 수 있으며 적응 알고리즘은 한번만 사용되고 적응 제어형 시스템 식별 방식에서 필요로 하는 피드백 항을 제거시킴으로써 시스템을 간략화시켰다. 컴퓨터 모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한 방식이 주기성을 갖거나 혹은 대역 제한된 잡음에 대해서 매우 유용함을 보였다.

  • PDF

Recent Trend of R&D on Active Noise and Vibration Control Techniques (능동 소음.진동 제어기술의 최근 연구동향)

  • 김석홍;박상규;김준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a
    • /
    • pp.134-139
    • /
    • 1993
  • 역위상의 소음, 진동을 이용하여 원래의 소음, 진동을 제어하려는 능동제어 기법의 물리학적 기본원리는 매우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으며 특허의 형태 로 본 기술이 구체화된 것은 1934년 독일의 Lueg에 의해서였다. Lueg의 능 동제어 개념 중 단일주파수음의 제거, 자유공간에 놓여진 음원 및 복잡한 파 형에 대한 개념은 능동제어 분야에서 많은 연구의 기초가 되고 있다. 1980년 대에 들어서는 디지탈 신호처리기술의 놀라운 발전에 힘입어 계산속도의 장 벽이 제거되고 능동제어에 대한 보다 나은 모델과 방법수립이 가능해짐에 따라 소음진동제어 방법으로서 능동제어기술이 더욱 실용화되기에 이르렀으 며 최근에 들어서는 실험실에서의 연구개발 단계를 벗어나 국내외적으로 본 기술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려는 실용화 노력이 여러 분양에서 진행되고 있 다. 본 고에서는 최근의 국내외 능동소음진동제어 기술 연구 개발 동향을 살 펴보고 현장적용의 문제점등을 검토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이고 현실적인 본 기술의 실용화 연구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Sub-band Active Noise Control for Periodic Low-frequency Noise Cancellation (주기적 저주파 잡음제거를 위한 부밴드 능동잡음제어)

  • Choi, Hun;Park, Bong-Su;Youn, Byung-Yoen;Kim, Dae-Sung;Bae, Hyeon-Deok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15-18
    • /
    • 2000
  • 회전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성 잡음의 경우 능동잡음 제어를 이용 진폭이 상대적으로 큰 주기성 저주파 잡음 제어로 상당한 감쇄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주기적 저주파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부밴드 능동잡음제어 구조를 제안하였다 이 구조에서는 QMF를 이용, 진폭이 큰 주기적 저주파신호를 분리하여 적응측엽제거 원리를 적용하여 저주파 신호를 제거한다. QMF에서 발생하는 지연은 각 필터를 통과한 신호경로에 적응필터를 사용하여 보상하였다. 그리고 적응필터 성능향상을 위해 최적 적응이득을 해석적으로 구하여 사용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