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눈썹참갯지렁이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6초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참갯지렁이과 : 갯지렁이강)에 대한 분류학적인 검토 (Taxonomical Review of Perineresis aibuhitensis Grube, 1878 (Nereidae ; Polychaeta) in Korea)

  • 이재학;제종길;최진우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8권1호
    • /
    • pp.1-10
    • /
    • 1992
  •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aibuhitensis는 분류특징은 입주머니(proboscis)의 이빨(paragnath)에 변이가 많아 국내에서는 Perinereis vancaurica tetradentata 또는 Neanthes virens 등으로 잘못 알려져 왔다. 이에 한국 서해안 3곳(인천, 서산, 목포)에서 채집된 약 50개체로 분류검토하여 본종의 학명이 P.aibuhitensis임을 밝히고, 아울러 성숙산란형(heteronereid)에 대한 기재를 추가하였다.

  • PDF

한국산 유영류(다모강)의 분류학적 연구 (A Systematic Study on the Errantiate Polychaeta in Korea)

  • 노분조;이종위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3권1호
    • /
    • pp.74-90
    • /
    • 1987
  • 한국산 유영류(다모강)의 분류학적 연구의 일환으로 1965년부터 1986년까지 우리나라의 삼면연안과 도서지방(36개 지역)에서 채집된 표본을 동정 분류하였다. 그 결과 10과 20속 31종 2 종이 밝혀졌으며 그 중 4아종 1 아종(Amphinome rostrata, Haplosyllis tentaculata, Typosyllis aciculata orientalis, Typosyllis variegata, Glycera subaenea)은 한국미기록종으로 판명되었다. 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nuntina)는 총 36개 지역 중 11개 지역에서 채집되었으며 , 총 600여 개체중 232 개체가 채집됨으로써 우리나라에 널리 분포해있는 종으로 나타났다. 동정 분류된 표본 중 한국과 일본 해역에만 분포하는 것은 3 종이었다.

  • PDF

광학위성자료를 이용한 저서생물 분포 추정 (Estimation of Benthos Distribution Using Optic Satellite Data)

  • 유주형;김계림;신상호;구본주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4-317
    • /
    • 2009
  • 고해상도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갯벌의 다양한 퇴적환경을 공간자료화하거나 표층 생물상 분포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졌다. 그러나 갯벌 속에 존재하는 저서생물에 대한 양을 추정하는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태안 근소만에 대하여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갯벌의 DEM과 퇴적상 등의 분포를 공간자료화하고 이들로부터 생물상과 관련이 있는 노출시간 등의 2차 주제도를 제작하였다. 또한, 현장조사에 의해 얻어진 갯벌 생물 종/개체수와 갯벌의 퇴적환경 공간자료를 비교분석하여 갯벌 저서생물의 공간적 연관성을 파악하였다. 노출시간은 4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퇴적상 현장조사와 연계하여 우점종을 분석한 결과, 노출시간이 가장 긴 노출시간 I 등급 지역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와, 칠게와 가재붙이가 대표종으로 분석되었다. II 지역의 모래 우세지역에는 쏙이 그리고 펄 우세지역에는 세가시육질꼬리옆새우가 우점종으로 나타났다. III과 IV 지역은 조하대쪽으로 모래 성분이 전체적으로 우세하게 나타났는데 펄털콩게와 바지락이 우정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aibuhitensis) 피부계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the Integumentary Cuticle and Epidermis of Perinereis aibuhitensis (Polychaeta: Nereidae))

  • 이정식;임현식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257-261
    • /
    • 2000
  •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피부계는 바깥쪽으로 부터 큐티클층, 상피층, 진피층으로 구성된다. 큐티클층은 외분비공을 가지며, 표면은 epicuticular projections로 덮여있다. 큐티클층과 상피층의 지지세포 사이에서는 반접착반이 관찰된다. 상피층에서는 지지세포와 선세포들이 관찰된다. 지지세포는 불규칙한 형태이며, 이들 세포의 핵은 뚜렷하고 크며, $1{\~}2$개의 인을 가진다. 세포질에서는 잘 발달된 당김세사와 다수의 미토콘드리아, 조면소포체, 유리리보좀 그리고 전자밀도가 아주 높은 소수의 색소과립들이 관찰된다. 선세포는 AB-PAS에 청색으로 반응하였으며, 투과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alpha}, {\beta}, {\gamma}$의 세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종류인 ${\alpha} type$은 난형으로 뚜렷한 핵을 가지며, 세포질에서는 잘 발달된 당김세사와 막으로 싸인 직경 $0.8{\~}~l.5 {\mu}m$크기의 분비과립들이 세포질 한쪽에 밀집되어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두 번째 종류인 ${\beta} type$은 세포의 형태가 불규칙하며, 커다란 공포를 가지며, 직경 $0.5{\~}~0.8 {\mu}m$크기의 분비과립들이 세포질 전체에 분포한다. 세 번째 종류인 ${\gamma} type$은 세포의 형태가 불규칙하며, 잘 발달된 소포체와 골지체 그리고 직경 $0.2{\~}~0.3 {\mu}m$ 크기의 분비과립을 가지며, 이들의 전자밀도는 선세포들의 분비과립 가운데 가장 높다.

  • PDF

서산 연안간석지에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청충), Perinereis aibuhitensis의 분포밀도와 현존자원량의 추정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the Stock Density and Biomass of Perinereis aibuhitensis at the Tidal Zone in Sosan, Korea)

  • 김종관;장창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229-236
    • /
    • 1991
  •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서산군 지곡면 중왕리 치안간석지에서 두토막눈썹갯지렁이 (Perinereis aibuhitensis)의 분포밀도와 현존자원량을 추정하였다 조사방법은 예비조사와 본조사로 나누어서 하였으며, 예비조사에서는 본종의 분포양상과 적정표본의 크기를 결정하였다. 본종의 분포형태는 임의분포였으며, 층별 적정 조사정점의 수는 5개였다. 본조사에서는 예비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층별 및 소해역별 분포밀도를 추정하고 층간 또는 소해역간 분포밀도 차이의 유무를 비교분석하여 총 현존자원량을 추정하였다. 소해역내에서 층간에는 밀도차이가 없었고, 소해역간에는 유의한 밀도차이가 있었다 소해역별 분포밀도는 소해역 C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B, A의 순이었다. 이 중 분포밀도가 가장 높은 소해역 C의 평균밀도는 $53.9g/m^2$였고, 분포밀도가 가장 낮은 소해성 A의 평균밀도는 $18.2g/m_2$였다. 조사해역 전체의 평균 현존밀도는 $32.4g/m^2$였고, 이의 변동계 수(coefficient of variance)는 $6.8\%$였다. 총 현존자원량은 147.5mt으로 추정되었다.

  • PDF

실험실 사육에 의한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aibuhitensis(Grube)의 저질 선택성과 굴의 형태 (Sediment Preference and Burrow Shape of the Polychaete, Perinereis aibuhitensis according to the Laboratory Culture)

  • 강경호;이재학;유성규;장영진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634-639
    • /
    • 1997
  • 한국산 갯지렁이류 중에서 산업적으로 가장 중요한 청충의 양식기법 개발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청충의 서식생태에 관하여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충은 입경이 0.10mm 이하인 저질에서 가장 좋은 일간 성장률과 생존율을 보였다. 2. 유리 수조 실험 결과, 청충이 저질 속에 잠입하여 만든 굴의 형태는 J형, L형, O형, S형, Y형 및 I형 등이 었고, 한 개의 굴에 한 개체가 서식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배설시 청충의 체위는 굴 속에서 두부와 미부를서로 반전하여 항문을 굴밖의 저질 표면에 노출 시킨채로 배설하였다. 3. 청충이 저질속에 잠입하는 깊이는 10cm 전후의 저질이며, 먹이를 먹기 위해서는 굴 밖으로 몸체를 완전히 이탈하여 이동하였다.

  • PDF

새우 양식장 주변 생물의 흰점바이러스 보유율 및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의 대하 Fenneropenaeus chinensis에 대한 흰점바이러스 전달 효과 (Prevalence of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n Marine Organisms around the Shrimp Farm and Polychaete Worm-Mediated Transmission of WSSV to Fenneropenaeus chinensis)

  • 김근식;박상용;이일로;남윤권;방인철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5-21
    • /
    • 2009
  • White spot syndrome virus (WSSV) is a strong causative agent for high mortality in cultured and wild shrimps. From this study, the WSSV prevalence in marine organisms around shrimp farm as well as live feed-mediated transmission of WSSV to farmed shrimps were investigated. Based on nested-PCR method, WSSV was detected in wide array of marine organisms including Perinereis aibuhitensis (81.3% of prevalence rate, 13/16), Enedrias fangi (100%, 16/16), Ruditapes philippinarum (20%, 2/10), crab larvae (100%, 10/10), copepoda (30%, 3/10), Periophthalmus modestus (50%, 5/10), Pachygrapsus crassipes (10%, 1/10), Helice tridens (20%, 2/10) and Neomysis sp. (70%, 7/10). On the other hand, WSSV was not detected in Bullacta exarata, Uca arcuata, and Reishia clavigera. The percent prevalence of WSSV in wild shrimps, Fenneropenaeus chinensis was only 6%, but markedly increased up to 56% after a feeding trial using polychaete worms for one month, indicating that the live feed is one of significant carriers of WSSV to shrimps under practical farming conditions.

해수 중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의 세포내 에너지 할당에 미치는 영향 (Cellular Energy Allocation of a Marine Polychaete Species (Perinereis aibuhitensis) Exposed to Dissolving Carbon Dioxide in Seawater)

  • 문성대;이지혜;성찬경;최태섭;이규태;이정석;강성길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16
    • /
    • 2013
  • 해수 중 용존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nsis)의 세포내 에너지 할당(CEA, cellular energy allocation)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0.39(대조구=390 ppmv), 3.03 (=3,030 ppmv), 10.3 (=10,300 ppmv), 그리고 30.1 (=30,100 ppmv) mM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갖는 해수에 청충을 7일간 노출하여 세포 에너지와 세포 전자전달체계(ETS, electro transport system) 활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생물의 지질, 당질, 그리고 단백질 함량과 ETS로부터 에너지 소비율을 계산하여 CEA를 산출한 결과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EA가 감소하였다. 지질의 경우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 할수록 지질함량도 증가하였으며, 당질은 이산화탄소 농도가 3.03 mM인 실험구에서 가장 낮고 10.3 mM인 실험구에서 일부 증가하였으나 가장 높은 농도에서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단백질은 이산화탄소 농도가 3.03 mM인 실험구에서는 영향이 없었지만, 10.3 mM 이상의 농도에서부터 유의한 수준의 CEA 감소가 나타났다. 에너지 소비율은 이산화탄소 최고 농도에서만 유의한 증가 현상이 나타났지만, CEA는 대조구와 비교해 3.03 mM의 실험구부터 감소하였다. 이산화탄소는 해수중 pH를 낮추어 시험생물에 스트레스를 증가시키고, 세포내 에너지 할당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된다. 해산 갯지렁이를 이용한 CEA 평가결과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증가 또는 이산화탄소 저감을 위해 추진되고 있는 해양 지중저장사업 과정에서 누출된 이산화탄소의 해양생태계 위해성을 예측하는 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