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누적위험

Search Result 201,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Fitting competing risks models using medical big data from tuberculosis patients (전국 결핵 신환자 의료빅데이터를 이용한 경쟁위험모형 적합)

  • Kim, Gyeong Dae;Noh, Maeng Seok;Kim, Chang Hoon;Ha, Il Do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1 no.4
    • /
    • pp.529-538
    • /
    • 2018
  • Tuberculosis causes high morbidity and mortality. However, Korea still has the highest tuberculosis (TB) incidence and mortality among OECD countries despite decreasing incidence and mortality due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medicine. Korea has now implemented various policy projects to prevent and control tuberculosis.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ublic-private mix (PPM) tuberculosis control program on treatment outcomes and identifies the factors that affecting the success of TB treatment. We analyzed 130,000 new tuberculosis patient cohort from 2012 to 2015 using data of tuberculosis patient reports managed by the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A cumulative incidence function (CIF) compared the cumulative treatment success rates for each factor. W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wo popular types of competition risk models (cause-specific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and subdistribution hazard model) that account for the main event of interest (treatment success) and competing events (death).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Indicators for the Risk Assessment of Ground Depression Using SAR Imageson (SAR 영상을 활용한 지반침하의 위험평가를 위한 지표결정에 대한 연구)

  • Lee, Hyojin;Yoon, Hongsic;Han, Hak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2 no.7
    • /
    • pp.13-20
    • /
    • 2021
  • The problem of subsidence of the roadbed near the Honam High Speed Railway, which opened in April 2015, continues to be raised, and the ground stability of the area near the Honam High Speed Railway may also be problematic.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indicators and indicators in producing the risk maps. Existing risk indicators are calculated as the final displacement volume based on the last observed date of the observed period, and time-series indicator displacement must be identified to analyze the cause of subsidence and the behavior of the indicator. Furthermore, for a wide range of regions, it is economically inefficient to conduct direct level measurements, so we wanted to observe surface displacement using SAR images. In this paper, time series indicator displacement was observed using PS-InSAR techniques, and risk was compared by rating each factor using the difference between final indicator displacement, cumulative indicator displacement, minimum displacement and maximum displacement as factors for determining risk indicators. As a result, the risk rating of the final displacement is different from that of each factor, and we propose adding factor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in determining risk indicators. It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study in finding the cause of ground subsidence and finding solutions.

최근 강수 추세 및 가뭄년도의 특성

  • Jang, Gi-Ho;Jeong, Jin-Im;Cha, Yeong-Min;Yang, Ha-Yeong;Choe, Yeong-Jin;Gwon, Won-Tae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1 no.1
    • /
    • pp.54-6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 기상관측소 325개소(기상관서:61개소, 자동기상시스템(AWS):264개소)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최근 10년간의 강수 현황, 평년대비 변화 추세, 그리고 전국적 가뭄년도의 강수 특성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최근 10년간의 연강수량은 평년 대비 7.3% 증가하는 추세로서 7월의 경우 평년 대비 25% 증가하나 11월의 경우 34% 감소하여 가뭄과 홍수의 자연재해 발생 위험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10년간의 언론보도 조사결과, 가뭄이 발생하지 않은 2003년을 제외하고 매년 지역적 강수부족으로 제한급수가 실시되어져 지역적 강수부족은 매년 존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가뭄년도와 비가뭄년도의 월별 강수 변화 분석결과, 최근 20년 전국적 가뭄이 발생한 연도에는 2-5월사이 10년 평균강수량에 못미치는 강수가 발생하고 있음이 나타났고 이 특성을 이용한 누적강수량의 지속적 감시는 가뭄 조기경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사료된다. 이에 관하여 최근 90일 누적 강수량과 댐 수위 상황도를 산출하고 이를 사례분석하여 보았다. 이 방법을 사용할 때 현재(2011년 3월말) 강수부족이 지속된다면 낙동강 중 상류지역에 물부족이 발생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Development of Nomograph for Debris Flow Forecast (토석류 예보를 위한 Nomograph 작성)

  • Oh, Cheong Hyeon;Nam, Dong Ho;Lee, Suk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97-297
    • /
    • 2019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태풍 및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2차 피해인 산사태와 토석류 피해 또한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한국 또한 토석류로 인해 도심지역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많은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현재 한국에서는 산림청의 산사태 예보기준 및 기상청의 호우예보 기준을 사용하고 있으나, 토석류에 대한 예보 기준과 시스템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석류 예보를 위해 토석류가 발생했던 피해사례 40종을 수집하여 토석류가 발생했던 시점에서의 누적강우와 강우강도를 이용하여 강우경보지수(Rainfall Triggering Index, RTI)를 산정하였다. 또한 RTI를 강우량의 함수인 한계누적강우량(Critical Accumulated Rainfall, Rc)으로 변환하여 토석류 발생위험지역에 거주하는 일반인들이 강우지수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토석류 예보를 위하여 RTI 10, 70, 90%에 해당하는 한계누적강우량(Rc)을 산정하여 지속시간에 따른 Rc곡선을 작성하였으며 Nomograph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토석류 예보 단계를 시각적으로 표출하였다. 또한 실제 토석류가 발생했던 인제, 서울, 청주의 사례에 대해 Nomograph를 작성하여 산림청, 기상청의 예보 기준과 비교 분석하였다.

  • PDF

스마트그리드에서의 CPS (cyber-physical system) 시뮬레이션 구현을 위한 제반 연구이슈 및 방법론 검토

  • Kang, Dong-Joo;Kim, Huy-Kang
    • Review of KIISC
    • /
    • v.22 no.5
    • /
    • pp.62-72
    • /
    • 2012
  • 스마트그리드는 전력시스템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통신 인프라를 중심으로 다양한 시스템이 서로 통합되는 종합적인 플랫폼으로 이해할 수 있다. 기존에 각기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시스템과 통신 인프라가 통합되기 시작하면서 다양한 상호작용이 파생되고 그로 인해 잠재적인 보안 측면의 위험성도 커지게 된다. 전통적인 전력시스템은 폐쇄적인 SCADA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최소한의 보안강도가 보장되었지만, 스마트그리드 하에서는 개방형 통신망과 연계되면서, 기존의 사이버 보안 위협들이 전력시스템으로 유입하게 된다. 기존의 IT 시스템과는 달리 전력시스템과 같은 제어시스템은 물리적 작동과 공정이 수반되기 때문에 새로운 위험이 발생하기도 하고 기존의 위험이 증폭되기도 한다. 전력시스템에서는 가용성이 그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스마트그리드 체제하에서의 다양한 위협요인을 미리 파악하고 이에 대비한 계획을 수립함으로써, 그러한 가용성의 수준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사이버 위협이 어떠한 경로를 통해 전력시스템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그로 인한 잠재적 위험이 얼마나 되는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스마트그리드는 아직까지 구축중인 미래형 시스템이고 누적된 과거 데이터가 없기 때문에 가상의 하드웨어 기반 테스트베드 내지 소프트웨어 기반의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이를 사전적으로 테스트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마트그리드는 서로 다른 IT 시스템과 물리적 설비들이 결합되는 복잡한 시스템이라는 측면에서, 잠재적으로 발생 가능한 다양한 위험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모델의 수립이 요구된다. 본고에서는 그러한 CPS 기반 시뮬레이션 모델에 대한 현재의 연구동향을 검토하고, 향후 실질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A 5-year prospective clinical study of Neobiotech implants for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부분 무치악환자에서 Neobiotech 임플란트의 5년 전향적 임상연구)

  • Labriaga, Wilmart;Hong, Ju-Hee;Park, Jin-Hong;Shin, Sang-Wan;Lee, Jeong-Yol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 /
    • v.55 no.3
    • /
    • pp.272-278
    • /
    • 2017
  • Purpose: The aim of the present prospective clinical study was to assess the cumulative survival rate (CSR) of Neobiotech implants restored with fixed partial prosthesis in relation to its potential risk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Thirty six partially edentulous patients received Neobiotech implants and implant supported fixed partial prosthesis at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Dental Center from November 2009 until November 2011. The observation period was set from the implant placement and the last clinical visit until December 2015. Implant survival rate was determin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ant survival rate and the potential risk factors were analysed using the multi Cox proportional analysis (P<.05). Results: A total of 69 implants were placed in 36 patients after a mean observation period of 45.9 months. Two out of 69 implants failed before loading, yielding a 5-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of 97.1%. The maxillary implants have a lesser CSR than the mandibular implants based on log rank test analysis (maxilla=91.3%; mandible=100% P<.05). However, the multi Cox proportional analysis showed that implant location h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mplant failure (P>.05). Conclusion: Neobiotech implants showed predictable results with a 5 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of 97.1%.

An Analysis on the Prevention Effects of Forward and Chain Collision based on Vehicle-to-Vehicle Communication (차량 간 통신 기반 전방추돌 및 연쇄추돌 방지 효과 분석)

  • Jung, Sung-Dae;Kim, Tae-Oh;Lee, Sang-Su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0 no.4
    • /
    • pp.36-43
    • /
    • 2011
  • The forward collision of vehicles in high speed can cause a chain collisions and high fatality rate. Most of the forward collisions are caused by insufficient braking distance due to detection time of driver and safe distance. Also, accumulated detection time of driver is cause of chain collisions after the forward collision. The FVCWS prevents the forward collision by maintaining the safety distance inter-vehicle and reducing detection time of driver. However the FVCWS can cause chain collisions because the system that interacts only forward vehicle has accumulated detection time of driver. In this paper, we analyze forward and chain collisions of normal vehicles and FVCWS vehicles on static traveling scenario. And then, we analyze and compare V2V based FVCWS with them after explaining the system. The V2V FVCWS reduces detection time of driver alike FVCWS as well as remove accumulated detection time of driver by broadcasting emergence message to backward vehicles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system decrease possibility of forward and chain collisions. All backward normal vehicles and 3~4 backward FVCWS vehicles have possibility of forward and chain collisions in result of analysis. However V2V FVCWS vehicles almost do not chain collisions in the result.

A study on Guideline of flood risk standards using flood damage case (홍수피해 사례를 활용한 홍수위험 기준 설정방안 연구)

  • Choi, Cheon Kyu;Kim, Kyung Tak;Choi, Yu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70-370
    • /
    • 2020
  • 홍수위험 전망정보, 홍수피해, 홍수량, 대응단계홍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하면 인명 피해는 물론 사회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홍수가 발생하는 원인은 다양하지만 단시간 내 발생한 강우량과 하천에 흐르는 유량의 범람이 홍수피해가 발생하는 원인 중 하나이다. 이 중 하천에 흐르는 유량에 의한 홍수가 발생하면 넓은 지역에 인명과 자산에 큰 피해를 준다. 이에 홍수통제소에서는 홍수 위험을 사전에 인지하여 대비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하천 주요지점을 중심으로 홍수예보를 발령하고 있으며, 계획홍수량을 기준으로 대응단계를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계획홍수량을 기준으로 설정한 대응단계는 홍수피해가 발생하는 지역 특성을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상 지역의 홍수피해 특성을 반영한 대응단계를 설정하기 위해 과거 홍수피해 사례를 활용하여 홍수량 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낙동강권역을 대상으로 홍수피해가 발생한 기간 내 3시간 누적 최대 강우량과 최대 홍수량을 조사하였으며, 지점별 무피해 사상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활용하여 홍수량 증가에 따른 홍수피해 발생 비율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통해 홍수량 기준을 홍수피해 발생 사례 중 최대 홍수량의 약 45%와 약 74%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홍수량 비율은 지점별 계획홍수량 또는 홍수피해가 발생한 사례 중 최대 홍수량을 기준으로 비율을 적용하여 대응단계를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각 지점별 실제 피해 사례와의 비교를 통해 지속적인 보완 및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volutionary Evolution on the Hydrological Climatology using 4-dimensional Rain Indexes (4차원 강수지수를 이용한 강수기후연구의 혁명적 진화)

  • BYUN, Hi 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648-648
    • /
    • 2015
  • 이 연구는 수자원 환경을 전반적으로 객관화, 계량화하는 새로운 방법이 성공적임을 소개한다. 기존의 계량법이 일강수량, 월 강수량, 년 강수량 등등, 단순한 수학적 합계에 치중한 결과 가중 중요한 강수의 시간 분포를 간과하였다. 이 단점을 해결하여, 1) 구체적으로 매 시간, 매일 남아 있다고 추정되는 물의 양 만을 합산하는 방법을 택했다. 시간적 감소함수를 이용하여, 강수 후 유출과 증발 등으로 사라지는 물의 양을 고려한 것이다. 2) 합산기간을 객관화하였다. 기본 합산 기간을 365일로 하고, 물 부족 또는 물 과잉이 지속될 경우는 지속되는 기간만큼, 합산기간을 늘이는 방법을 택했다. 따라서 다른 지수들이 임의로 3개월 또는 12개월 등등으로 기간을 결정하는 단점을 해결했다. 이렇게 계산되는 4차원 강수지수(4-Dimensional Rain Index, 4RI)는 1) 일별유효강수지수 (AWRI), 2) 일별가뭄지수(EDI), 3) 일별 홍수지수(FI), 4) 시간별 장기 물지수(LWI), 5) 시간별 단기 물지수(SWI) 등 5개가 기본지수이다. AWRI는 매일 남아 있는 물의 양이다. 이로 인해, 전 지구의 수자원과 재해위험의 시공간적 분포의 정량화 분석이 정밀해졌다. 지구상에서 물 집중이 가장 강한 곳은 캄보디아 내의 한 지점이며 시기는 7월 말이고, 가장 약한 곳은 사하라 사막의 한 지역임이 확인되었다. 또 한국에서 발생하는 갈수기와 풍수기가 정의되었고, 이들의 각 지역별 특성과 차이가 정량적으로 드러났다. 시간적 분포 또한 명확하게 드러나, 각종 저수지의 물 관리나 농?임산물의 생산관리에 획기적 전환점이 마련되었다. 각 국가별로, 각 지역별로 이런 분석은 향후도 무수히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EDI는 매일의 AWRI를 그 날짜의 평균치와 비교한 값이다. 장기가뭄 및 단기가뭄의 강도를 모두 가장 정밀하게 표현한다. FI는 일별로 홍수, 산사태, 침수, 토사 (이하 홍수 등이라 칭함)의 위험을, LWI는 장기 누적된 강수량에 의한 돌발적 홍수 등의 위험을, SWI는 단기 누적된 강수량에 의한 돌발적 홍수 등의 위험을 잘 반영한다. 이들은 모두 시간적으로 산발적인 호우에 의한 홍수 등의 위험을 한 개의 지수로 표현해 주는 장점이 있다. 강수 후 홍수가 발생하기 까지는 시간차이가 있기 때문에, 특히 호우 경보에는 SWI가, 홍수 경보에는 LWI가 아주 효과적이다. 결론적으로 5개의 4차원 강수지수는 물환경의 시공간적 분포진단과 예측, 그리고 조기경보에 혁명적 진화를 초래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추후 모든 강수기후와 연관된 연구는 연강수량 등의 단순 합산보다, 4차원 강수지수를 먼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임이 제안되었다.

  • PDF

5 Year Cumulative Survival Rat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in Permanent First Molars (제1대구치 복합레진 수복의 5년 누적 생존율)

  • Jung, Yoonsun;Shin, Jisu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46 no.3
    • /
    • pp.310-31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evaluate the survival rate of composite resin restorations in permanent first molars in pediatric patients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risk factors related to patients and teeth. 172 patients (6 - 12 years old) who had their permanent first molars restored with composite resin from July 2010 to July 2012 were investigated. From the dental records, the influence of the risk factors on the survival of restorations was assessed. Location of teeth, classification of cavities, patients' age and caries risk were included as risk factors in this study. The caries risks of patients were evaluated by the value of the decayed-missing-filled teeth index with the records of patients taken at 5 years old. Among 354 restorations, 272 restorations retained and 82 restorations were replaced. The overall cumulative survival rate at 5 years was 73.9%. The main reason for replacement of restorations was secondary caries (81.7%). Patients with older age group and with lower caries risk group showed higher survival rate of restoration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was detected between the survival rates and the possible risk factors : location of teeth, patients' age and caries risk. The survival rate of restoration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the classification of the cavities (p = 0.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