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누두흉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9초

성인 여자 오목가슴 환자에서 유방 확대술과 동시에 시행한 너스 수술 - 1예 보고 - (Simultaneous Nuss Operation and Mammoplasty in an Adult Patient with Pectus Excavatum - A case report -)

  • 김경수;조덕곤;조규도;조민섭;강철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4호
    • /
    • pp.523-526
    • /
    • 2008
  • 최근 금속막대를 이용한 누두흉의 최소 침습 수술법이 미용 성형적인 측면에서 널리 시행되고 있다. 누두흉은 형태가 매우 다양하고, 연령에 따라 치료 방법에 차이가 있다. 드물지만 다른 선천적인 기형을 동반할 수 있고 이에 대해 여러 가지 변형된 술식이 개발되어 시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성인 여자에서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는 유방 저형성증을 동반한 누두흉에 대한 너스 술식과 유방 확대술을 동시에 시행한 경험 예를 보고한다.

심방중격결손을 동반한 이차성 전흉벽기형의 동시교정 -1예 보고- (Simultaneous Repair of Secondary Anterior Chest Wall Deformity and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1 Case Report-)

  • 김용희;정종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2호
    • /
    • pp.1247-1250
    • /
    • 1997
  • 7년전 누두흉으로 Ravitch수술을 받은 13세 남아가 이차성 전흉벽기형과 운동시 호흡곤란(NYHA II)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술전 심초음파상 이차성 심방중격결손이 진단되었고, 폐기능검사상 WC가 2.03 L(72%), FEVI이 1.82 L(71%)로 감소된 것외에는 술전 검사상 이상소견은 없었다. 수술은 앙와위에서 흉골을 보존한 채 정 중흉절개를 통해 흉근판을 만든후 기형늑연골 잔유물과 섬유조직을 제거하여 이차성 전흉벽기형을 교정한 후 흉골을 90$^{\circ}$로 세움으로써 개심술을 위한 시야를 확보하여 심방중격결손을 동시에 교정하였다. 술후 1일째 급성호흡부전이 있어 기관내 재삽관 및 기계호흡을 시행하였고 술후 6일째 인공호흡기를 제거하였다. 환아는 합병증없이 회복되어 술후 19일째 퇴원하였다.

  • PDF

너스바 제거 후 발생한 급성 대동맥 손상 -치험 1예- (Acute Aortic Injury after Nuss Bar Removal -A case report-)

  • 이양행;박재민;한일용;윤영철;황윤호;조광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11호
    • /
    • pp.868-871
    • /
    • 2006
  • 흉벽 기형의 일종인 누두흉의 수술방법인 Nuss 술식은 비교적 안전하고 교정 만족도가 높아 최근 많이 이용되는 방법이며 합병증으로는 기흉, 막대 편위, 창상 감염, 심낭염, 흉막 삼출, 혈흉, 심장 천공 등이 있다. 본원에서는 30세 남자 환자에서 Nuss 수술 3년 후 막대 편위로 인한 제거 수술 중 발생한 급성 흉부대동맥 손상을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편위된 막대는 별 저항 없이 뽑혔으나 양측 수술 창을 통해 동맥혈이 뿜어져 나와 양손으로 출혈을 막고 신속하게 대퇴동-정맥 환류로 체외 순환을 시행하면서 정중 흉골절개를 가하고 초저온 순환 정지 하에 대동맥궁 기시부의 열상 부위를 봉합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13일째 별다른 문제 없이 퇴원하였다.

너스수술의 합병증에 대한 고찰: 위험인자 분석과 예방책의 제시 (Analysis of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the Nuss Procedure: Risk Factors and Preventive Measures)

  • 박형주;장원호;전철우;박한규;이석열;이철세;염욱;이길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524-529
    • /
    • 2004
  • 배경: 너스수술법은 최신 수술법으로서 훌륭한 교정효과를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이 수술법은 아직 시행 초기로서 해결되어야 할 문제점들이 적지 않다. 저자들은 3년여의 경험을 통해 그간 발생한 합병증들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9년 8월부터 2003년 10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에서 너스수술을 받은 335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나이는 중앙값이 8세(범위: 16개월∼46세)였다. 소아환자 (15세 이하)가 264명(78.8%)이었고 성인(16세 이상)은 71명(21.2%)이었다. 형태 분류상 대칭형이 193명(57.6%), 비대칭형이 142명(42.4%)이었다. 다 변수분석(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을 통하여 합병증 발생의 위험인자를 구하였다. 결과: 수술의 합병증은 총 61예 (18.9%)에서 발생하였다. 조기 합병증(수술 후 30일 이내)은 49예 (15.2%)로 기흉(n=23, 6.9%), 상처 seroma (n=12, 3.6%), 막대편위 (n=8, 2.4%) 등이었고, 만기 합병증(수술 후 31일 이후)은 총 12예(3.7%)로 심낭염(n=5, 1.5%), 막대편위 (n=4, 1.2%), 혈흉 (n=3, 0.9%) 등이 빈번하였다. 합병증의 예방기법의 개발로 본 경험의 후기에 합병증이 감소하였다(99년 이전: 15/51 (29.4%) vs 2000년 이후: 34/284 (12.2%), p=0.04). 대협곡형 (Grand Canyon type)은 다른 형태에 비해 합병증 발생률이 높았다(대협곡형: 12/30 (40.0%) vs 다른 형태: 37/305 (12.3%), p<0.001). 다변수 분석에서 합병증의 주요 위험인자는 누두흉의 심도 (OR=2.88, p=0.038), 대협곡형(OR=2.82, p=0.044)과 수술시기1 (OR=4.05, p=0.001)이었다. 결론 너스수술의 합병증은 주로 심한 비대칭 협곡형과 수술 경험의 부족(수술시기 1)과 관련이 있었다. 경험의 축적과 변형 기법의 개발로 합병증을 줄일 수 있었으므로, 현재의 변형 너스수술법은 합병증의 발생률이 낮은 안전한 수술방법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