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뇌줄중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1초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 균형능력에 기계적 승마치료가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chanical Horseback Riding Training on Trunk Control and Balance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송명수;강태우;김수미;노현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487-494
    • /
    • 2013
  • 본 연구는 기계적 승마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 15명의 뇌졸중 환자가 참여하였다. 연구 대상은 뇌줄중 환자를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각각 7명, 8명씩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모든 환자들은 보존적 물리치료를 받았으며, 실험군에게 추가적으로 기계적 승마치료를 30분동안 시행하였다. 연구는 2013년 3월 4일부터 5월 3일 까지 약 8주간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평가 도구는 체간조절 검사, 뇌졸중 자세조절 검사, 버그 균형 척도, 일어나서 걷기 검사였다. 측정은 중재 전, 후로 실시하였다. 중재 후 군내에서 실험군과 대조군의 체간조절 검사, 뇌졸중 자세조절 검사, 버그 균형 척도, 일어나서 걷기 검사의 중재 전, 후 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실험군은 중재 전, 후 차이값이 체간조절 검사, 뇌졸중 자세조절 검사, 버그 균형 척도, 일어나서 걷기 검사에서 각각 $27.85{\pm}19.03$, $6{\pm}4.04$, $19.28{\pm}4.27$, $16.68{\pm}4.61$ 향상되었고, 대조군에서는 각각 $17.87{\pm}18.3$, $2{\pm}2.07$, $7.62{\pm}6.75$, $3.21{\pm}1.75$ 향상되었다. 두 군간의 중재 후의 평가 비교에서 중재 후 체간조절 감사, 뇌졸중 자세조절 검사, 버그 균형 척도, 일어나서 걷기 검사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는 기계적 승마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체간조절 능력, 균형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하여 앞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뇌졸중 편마비환자의 작업치료에 적용되는 운동학습의 원칙 (Motor Learning Concepts Applied to Occupational Therapy With Adults With Hemiplegia)

  • 심선화;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1권2호
    • /
    • pp.14-22
    • /
    • 2012
  • 서론 : 뇌줄중 환자의 상지 운동 결손은 일상생활에서 수행하는 많은 활동에 큰 어려움을 겪게 만든다. 작업치료사들은 다양한 활동을 제공함으로써 일상생활의 참여를 돕기 위해서 노력하지만 학습자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채 훈련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운동 학습 이론과 원칙에 대해 알아보고 작업치료 영역에 적용하기 위한 임상적 고려에 대해 제언해보고자 한다. 본론 : 운동학습의 원칙으로는 학습의 단계, 과제의 형태, 실행 또는 연습, 피드백이 있는 학습의 단계에 따라 운동학습의 원칙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초기단계에서는 학습목표와 작업환경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지속적이며 차단된 연습, 전체 과제 연습이 학습을 촉진시킨다. 후기단계에서는 내제적 피드백에 의존하도록 유도하여야 하며 열린과제, 무작위 연습이 수행을 증진시킨다. 결론 : 치료기전으로 제공되는 다양한 운동학습의 원칙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치료계획 수립 시에 체계적으로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작업치료사들은 환자 각각의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환자의 수준에서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학습의 원칙을 계획하고 치료적 변화를 계속 모니터링하면서 변경시켜나가야 할 것이다.

뇌졸중 환자의 가정간호요구 (Need Assessment for Home Nursing of Stroke Patients)

  • 강현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50-562
    • /
    • 1997
  • Since patients with strokes occupy a high priority among patients for home nursing, the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such nursing is required and the needs of these patien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guidelines. Therefor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content and levels of home nursing for patients with strokes and to utilize the data in developing the most effective home nursing guidelines for these patients. The level of A, D. L. and the ability to control upper extremities were measured, and through a questionnaire. the needs for home nursing and related variables were also evaluated.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121 patients, 58 inpatients and 63 home care patients who had had a Stroke. Data collection was done from September 1996 to January 1997.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tilizing SPSS /PC,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Home nursing need of inpatients The priority order of home nursing needs for inpatients was : "Training in emergency treatments and how to cope with a stroke"(2.28+1.06), next, "Explanation of diets as limited or recommended", and last, "Nursing care for sleeping Problems". 2. Home nursing need home of patients The priority order of home nursing needs for home patients was : "Care for the paralyzed side" (2, 89+.34), next, "Maintenance of right posture and how to change position" (2.87+.34), and last, "Counseling on sex". 3. Comparison of the levels of home nursing needs between in patients and home patients The results of analyses of home nursing needs according to causes were grouped into seven categories : and t-tests of the seven categori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in all categories, that is, the level of home nursing needs were significantly higher for home patients than for inpatients in all categories of home nursing. 4. Level of home nursing needs by characteristics The variables that have affected the level of home nursing needs for these patients were sex, profession, level of education, accompanying diseases, paralyzed position. A.D.L. levels and ability levels in coordinating upper extremities. There variables, displayed a reverse correlation with the level of home nursing needs, and the degree of correlation was high. In conclusion, the above results, show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riority order of home nursing needs between inpatients and home patients : but the content of home nursing needs wanted by these patients was similar. Meanwhile, the levels of demand for home nursing was exceptionally higher on the part of home patients than inpatients. Although it is realized that nursing guidelines for home nursing needs in all items need to be developed, there is also a necessity to guidelines in accordance with priority orders, and with consideration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evel of home nursing needs. of the factors that affect the level of home nursing needs.

  • PDF

후각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경직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lfactory Stimulation on Balance, Spasticity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인태성;김경훈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403-410
    • /
    • 2020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2주간 후각 자극이 균형, 경직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단일맹검 및 사전 무작위 임상시험으로 진행되었으며, 21명의 만성 뇌줄중 환자는 무작위로 후각자극군(n=10)과 속임 후각자극군(n=11)으로 배정되었다. 후각자극 군은 라벤더 오일을 2주간 주 5회, 총 10회 시행하였고, 속임 후각자극 군은 물을 적용하였다. 경직은 Composite Spasticity Score (CS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정적 균형은 힘판(force plate), 동적균형은 Timed up and go test(TUG), 삶의 질은 Short-Form 36 items(SF-36)를 사용하였다. 훈련 후 후각자극 군이 속임 후각자극 군에 비해 정적균형이 유의하게 개선되었으며(p<.05), 경직과 동적균형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후각자극 군에서 SF 36의 정신적 건강요약과 총점이 속임 후각자극 군에 비해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본 연구는 후각자극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정적균형과 삶의 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킴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