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뇌졸중 영향 척도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5초

음악 감상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편측무시에 미치는 영향: 단일대상 연구 (The Effect of Listening to Music for the Reduction of Unilateral Neglect in Chronic Stroke: A Single Subject Study)

  • 이은영
    • 재활치료과학
    • /
    • 제2권1호
    • /
    • pp.57-65
    • /
    • 2013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편측무시 현상이 나타나는 뇌졸중 환자에게 본인이 선호하는 음악을 감상하게 하여, 편측무시 현상이 지속적으로 감소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편측무시 현상이 나타나는 한명의 대상에 대해 A-B 단일설계를 사용하여 2013년 6월에 4주간 주 3회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편측무시 현상은 선 이등분 검사와 캐서린 버지고 척도(Catherine Bergego Scale; CBS)를 사용하여 결과를 측정하였다. 결과 : 선 이등분 검사에서는 평균오차 범위가 기초선에서는 19.00%, 실험처치에서 9.67%로 감소되었다. 캐서린 버지고 검사는 총점이 기초선에서 17점, 실험처치에서 15점으로 약간의 감소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음악 감상이 편측무시 현상의 감소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Fall Efficac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Patients with Stroke)

  • 이종민;김동희;송승일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5-35
    • /
    • 2012
  • 목적 : 본 연구는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통해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총 4주 동안 가상현실 프로그램 중재를 받는 실험군 10명과 작업치료 중재를 받는 대조군 10명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치료 중재 전 후 낙상 효능감을 비교하기 위하여 낙상 효능감 척도(Fall Efficacy Scale: FES)를 시행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비교하기 위하여 기능적 독립척도(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를 시행하였다. 결과 : 실험군과 대조군의 치료 중재 전 후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5),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향상되었다(p<.05). 결론 : 작업치료와 더불어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적용할 때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뇌졸중 환자의 낙상 효능감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위한 치료방법으로 작업치료와 더불어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급성 뇌졸중 입원 환자의 연하장애 유병률과 관련요인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dysphagia in patients hospitalized with acute stroke)

  • 장희경;윤숙경;길초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417-428
    • /
    • 2019
  • 본 연구는 급성 뇌졸중 입원 환자의 연하장애 유병률과 그 관련요인을 탐색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일상급종합병원에 급성 뇌졸중으로 진단받은 입원 환자 131명(연령 범위 34-92세, 58.0% 남성)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급성 뇌졸중 입원 환자의 유병률은 24.4%였으며, 대상자의 나이, 뇌졸중 중증도, 구강상태, 일상활동 의존도가 연하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뇌졸중 발병 직후부터 연하장애 조기 발견을 위한 적극적인 간호사정과 예방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ual-task Training on Chronic Stroke Patients' Balance and Upper Extremity Function)

  • 박주형;김덕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711-718
    • /
    • 2016
  • 본 연구는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 능력 및 상지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경상북도 A병원에 내원한 뇌졸중 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중과제 훈련은 전 후 평가를 제외한 총 4주 동안 주 5회 30분씩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버그균형 척도(Berg Balance Scale), BTS FreeEMG 300(BTS FreeEMG 300, BTS, Italy)이 사용되었다. 연구 결과 이중과제 훈련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BBS 점수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고(p<.05), CCR값에서도 어깨 및 팔꿈치 관절 동작 모두에서 음의 값이 나타나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이중과제 훈련이 만성기 뇌졸중 환자들의 균형 능력 및 상지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점진적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effects of progressive proprioceptive motor program training on proprioception and balance abilit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김경훈;장상훈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81-91
    • /
    • 2018
  • 본 연구는 점진적 고유수용성 감각 운동프로그램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대상자는 경기도에 위치한 B 병원 재활의학과에 내원한 만성뇌졸중 환자 29명을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 훈련군 15명과 대조군 14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시행하였다. 훈련군은 1주일 3번, 30분씩, 총 6주간 실시하였으며 대조군과 함께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받았다. 모든 대상자들은 실험 실시 전 후에 고유수용성 감각, 버그균형척도,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 BioRescue장비를 사용하여 균형능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고유수용성 감각, 균형능력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러므로 점진적 그리고 고유수용성 운동프로그램의 융합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고유수용성 감각과 균형능력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로 활용 될 수 있으며, 다양한 뇌졸중 환자의 위한 지속적인 융합중재개발이 요구된다.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와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상관성 (Correlat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and Smart Balance Master System for Chronic Hemiparetic Stroke)

  • 송창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741-5747
    • /
    • 2011
  • 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균형능력을 평가하여 낙상의 위험을 예견하기 위하여 임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버그균형척도와 균형 및 평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평형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22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용하고 잘 정돈된 치료실에서 대상자에게 버그균형척도와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버그균형척도와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평형지수는 중등도 이상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6가지 조건에서 모든 '눈 감고 지지면 동요 조건'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며, 다른 5가지 조건과는 중등도 이상의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뇌졸중 환자는 균형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각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버그균형척도가 이런 부분을 적절히 평가하지 못하기 때문에 '눈 감고 지지면 동요 조건'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주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낙상을 예견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이상의 임상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감각기관의 모든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그들의 낙상 위험을 예견하는데 보다 적절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유비쿼터스 의료환경에서 순환식 과제 지향적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sk-Oriented Circuit Training o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이규동;김영훈;문종훈;박경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651-660
    • /
    • 2018
  • 본 연구는 순환식 과제 지향적 집단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경기도 부천 소재의 H 병원에 입원한 20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중재 전과 후 상지 기능과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뇌졸중 기능회복 평가, 운동 활동 지표, 뇌졸중 영향 척도, 캐나다 작업 수행 평가, EQ-5D를 사용하였다. 대상자들을 무작위 할당하여 순환식 과제 지향적 집단훈련을 시행한 실험군 10명과 보존적 작업치료를 시행한 대조군 10명으로 할당하였다. 중재 후, 두 그룹 모두 상지 기능의 향상을 보였으며, 중재 전과 후 운동 활동 지표, EQ-5D 평균 변화량 비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캐나다 작업 수행 평가 결과 다림질하기, 빨래 널기, 수건 접기 활동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이 수행도, 만족도의 향상을 보였다. 순환식 과제 지향적 집단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순환식 과제 지향적 집단훈련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임상적 중재로 활용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뇌졸중 환자의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발바닥 감각역치와 균형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Plantar Tactile Sensory Thresholds and Balance for Life-Care Increase in Patients with Stroke)

  • 안광빈;전혜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37-244
    • /
    • 2020
  • 감각장애는 뇌졸중에서 흔히 나타나며, 발에서 나오는 촉각의 감각정보는 균형을 위해 중추신경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발바닥 감각역치와 균형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Semmes-Weinstein Monofilaments를 사용하여 발바닥의(엄지발가락과 뒤꿈치) 감각역치를 평가하였다. 균형은 버그균형척도와 MTD system을 이용하여 정적 선 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안의 마비쪽과 비마비쪽의 체중 분포 정도를 측정하였다. 정적 선 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안 체중 분포 정도는 비마비쪽보다 마비쪽에서 더 낮았다(P<0.05). 버그균형척도는 36.00±1.53이었다. 마비쪽의 엄지발가락 감각역치는 버그균형척도(r=-0.444, P<0.05), 정적 선 자세(r=-0.332, P<0.05),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r=-0.390, P<0.05)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비쪽의 뒤꿈치 감각역치는 버그균형척도(r=-0.467, P<0.05), 정적 선 자세(r=-0.532, P<0.05),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r=-0.516, P<0.05)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발바닥의 높은 감각역치가 균형 능력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 뇌졸중 환자의 감각 역치에 대한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과 감각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상상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ental Practice on Gait and Quality of Life in Stroke Patients)

  • 김진섭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271-277
    • /
    • 2012
  • 본 연구는 상상연습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보행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참여자는 실험군 10명과 대조군 10명으로 무작위 추첨으로 배정되었다. 두 그룹 모두 중추신경계 발달치료를 1회당 1시간씩 주당 6회, 6주간 훈련을 받았다. 실험군은 상상연습 훈련을 6주 동안 1회당 10분씩 주당 3회를 추가하여 훈련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간적인 보행지수, 10m 보행 검사,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상상연습 훈련 후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을 평가한 결과 보행속도, 활보장, 두발지지기, 한발지지기, 10m 보행 검사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뇌졸중 영향 척도를 통하여 삶의 질을 평가한 결과 근력, 사회참여, 뇌졸중회복 항목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상연습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보행 능력과 삶의 질을 향상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상연습훈련을 이용한 보행훈련은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들에게 유용한 훈련으로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뇌졸중 성인의 낙상 감소를 위한 1대 1 낙상 예방 교육의 효과 (Effects of One-to-one Fall Prevention Education on Decrease in Falls of Adults with Stroke)

  • 김희;정민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426-435
    • /
    • 2015
  • 1대 1 낙상 예방 교육이 뇌졸중 성인의 낙상과 낙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 성인 17명을 대상으로 낙상에 대한 4개의 다른 주제(낙상의 소개, 낙상 예방 운동, 낙상 예방 보조도구, 낙상예방 환경 수정)에 대하여 주 1회, 총 4회기에 걸쳐서 하는 뇌졸중 성인의 인지 능력을 고려한 1대 1 낙상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시행하였다. 종속변인으로 최근 한 달간의 낙상횟수 및 낙상위험횟수, 버그균형척도, 낙상공포, 낙상 효능감, Beck 우울증 척도를 측정하였다. 4회의 1대 1 낙상예방교육에 참여한 결과, 대상자들은 버그균형척도를 제외한 모든 종속변인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p<.05). 본 연구의 결과로 뇌졸중 성인에게 1대1 낙상예방교육을 적용하였을 때, 낙상횟수 및 낙상위험횟수, 낙상공포, 우울증세가 감소하고 낙상 효능감의 긍정적인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뇌졸중을 가진 성인들이 지역사회 및 병원에서 낙상의 위험에서 보다 더 안전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인지수준을 고려해서 개발된 1대 1 낙상예방교육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