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뇌전위

Search Result 11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The Effect of Balance Training using Force Platform on Postural Control and Central Somatosensory Pathway in Adults with C. N. S. Disorders (Force Platform을 이용한 평형성 훈련이 중추신경계 손상자의 자세조절 및 중추 감각신경전도로에 미치는 영향)

  • Kim Yoo-Sub;Kang Hyo-Young;Kim Tae-Yoon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v.11 no.3
    • /
    • pp.71-79
    • /
    • 1999
  • 본 연구의 목적은 균형 훈련이 중추신경계 손상자들의 자세 조절 및 중추감각신경전도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중추신경계 손상자로써 실험군 10명, 통제군 10명 등 총 20명을 선정하였으며, 실험군은 본 연구의 훈련 프로그램에 따라 12주간 force platform을 이용하여 균형훈련을 실시토록하였다. 자세조절 변인의 측정은 운동처치 전, 처치 후 8주 및 12주 후에 대상자들의 동적 및 정적 자세에서의 흔들림을 Dynamic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말초신경 근위부 유발전위$(N_9)$ 잠복기, 척수 유발전위$(N_{13})$ 잠복기, 뇌 유발전위 $(N_{20})$ 잠복기는 Neurotec을 이용하여 측정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정적 자세 조절 요인의 경우, 좌우 흔들림과 전후 흔들림은 실험군에서 8주 후부터 유의하게 (p<.05) 감소하였고,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운동처치 8주 및 12주 후에 각각 유의하게(P<.05, P<.01) 흔들림이 감소하였다. 2. 전후 이동면과 전후 기울기면에서 동적 자세 조절의 변화는 전후 이동면에서 좌우 흔들림과 전후 흔들림은 실험군에서 8주 후부터 유의하게 (P<.05) 감소하였으며,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운동처치 8주 및 12주 후에 각각 유의하게 (P<.05, p<.01) 흔들림이 감소하였다. 3.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잠복기 변화는 실험군과 통제군에 있어서 말초신경 근위부 유발전위$(N_9)$ 잠복기와 척수 유발전위$(N_{13})$ 잠복기가 다소 증가하였으나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험군에 있어서 뇌 유발전위 $(N_{20})$ 잠복기는 8주 후부터 유의하게 (P<.05)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12주의 균형 훈련은 자세 조절에 있어서 전후와 좌우의 흔들림을 감소시킴으로써 정적인 상태나 동적인 상태에서의 자세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는 자세 조절에 필요한 항중력근의 긴장성 수축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근육 긴장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으로 신경근 조절 기능의 향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뇌 유발전위 $(N_{20})$ 잠복기의 증가는 중추신경계의 감각기능의 신경학적 회복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추신경계의 감각 운동통합에도 영향을 미쳐 운동기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이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수변전설비의 최적관리와 트러블 대책⑦

  • 한국전력기술인협회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v.242 no.10
    • /
    • pp.11-14
    • /
    • 2002
  • 철탑, 건물 또는 피뢰침에 낙뢰가 들어오게 되면 그 접지극 부근의 대지전위가 상승하고 다른 접지극에서 기기로 뇌 써지가 역류하기도 하고 피뢰기와 보호소자를 역섬락시켜 배전선측, 통신선측으로 뇌 써지가 흐른다. 한편 철탑이 건물의 옥상에 있는 경우는 피뢰침이 건물의 철골, 철근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뇌써지는 건물에도 흐르고 그것도 접속되어 있는 기기의 지지물을 통하여 다른 접지계통에 유입된다.

  • PDF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사건 관련 뇌전위(ERP)에 미치는 영향

  • ;Rina Maiti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2 no.2
    • /
    • pp.63-71
    • /
    • 2004
  •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주관적인 느낌을 파악하고 감성적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주로설문지 등을 이용한 심물리적 스케일(Psychophysical scales) 방법이 주로 이용되어 왔다(Han et al., 2000). 그러나 사용자에게 주관적인 선호도를 점수로 표현하게 하는 심물리적 평가 방법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of EEG and Source Position Estimation (EEG신호의 독립성분 분석과 소스 위치추정)

  • Kim, Eung-Soo
    • The KIPS Transactions:PartB
    • /
    • v.9B no.1
    • /
    • pp.35-46
    • /
    • 2002
  • The EEG is a time series of electrical potentials representing the sum of a very large number of neuronal dendrite potentials in the brain. The collective dynamic behavior of neural mass of different brain structures can be assessed from EEG with depth electrodes measurements at regular time intervals. In recent years, the theory of nonlinear dynamics has developed methods for quantitative analysis of brain function. In this paper, we considered it is reasonable or not for ICA apply to EEG analysis. Then we applied ICA to EEG for big toe movement and separated the independent components for 15 samples. The strength of each independent component can be represented on the topological map. We represented ICA can be applied for time and spatial analysis of EEG.

Desyncronization And Correlation Coefficient of Brain Wave on Scientific Reasoning (과학적인 사고과정에서 나타난 뇌파의 비동기화와 상관계수)

  • Lee, Jo-Ok;Shin, Ae-Kyung;Chou, Byung-Sun;Park, Kuk-Tae;Kwon, Yong-Ju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4 no.2
    • /
    • pp.226-23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the degrees of desyncronization in cranial nerves were related to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brain waves measured on scalp. Based on the hypothesis. this research intended to describe the patterns of brain wave during scientific reasoning. EEG (electroencephalography) signals in 19 electrodes were recorded from elementary (6th grade) and middle (7th, 8th grade) school students as they performed roller-ball tasks: planning experiment, cognitive conflict, bridging, metacognition, and at rest (eyes closed and eyes ope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maller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the bigger the degrees of desyncronization. As compared to resting period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in prefrontal and frontal lobe decreased during scientific reasoning. And the nerves in prefrontal and frontal lobes were most active during scientific reason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n addition to frequency of brain waves be analysed to get meaningful results of researches on scientific reasoning by brain wave.

Sequential Nonlinear Recurrence Quantification Analysis of Attentional Visual Evoked Potential (집중 시각자극 유발전위의 순차적 비선형 RQA 분석)

  • Lee, Byung-Chae;Yoo, Sun-Kook;Kim, Hye-Jin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0 no.11
    • /
    • pp.195-205
    • /
    • 2013
  • The analysis of 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 associated with the attention is essential for the understanding of human cognition. In this paper, the character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attention and inattention status in the brain were inspected by nonlinear analysis. The recurrence quantification analysis was applied to the relatively small number of samples of evoked potential having time varying characteristics, where the recurrence plot (RP), the color recurrence plot (CRP), and mean and time-sequential trend parameters were extracted. The dimension and the time delay in phase transformation can be determined by the paired set of extracted parameters. It is observed from RP, CRP, and parameters that the brain dynamics in attention is more complex than that in the inattention, as well as the synchronized brain response is stable in the mean sense but locally time varying. It is feasible that the non-linear analysis method can be useful for the analysis of complex brain dynamics associated during visual attentional task.

Event Related Potential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사건 관계 전위와 신경심리 검사)

  • Lee, Sung-Hoon;Koo, Ae-Sook;Woo, Jong-Ho;Kim, Byung-Gun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 /
    • v.1 no.1
    • /
    • pp.76-86
    • /
    • 1994
  • Objectives: This research was performed in order to observe the neuropsychological implication and functional anatomical source of event related potentials(ERP) by studying of correlations between event related potentials and neuropsychological tests. Methods: The latency and voltage of P100 of visual evoked potential (VEP), and N120 and P300 of event related potentials were studied in 56 patients and their correlations with neuropsychological tests were computed. Results: The tests showing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latency P100 were visual continous performance test(VCPT) and contingent continous performance test(CCPT) without an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voltage of P100. In latency of N120 category test and verbal IQ of KWI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nd in voltage of N120, finger tapping test, VCPT, CCPT and digit symbol test displayed significant correlations. The latency of P300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rail making A test and Stroop test. In the voltage of P300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shown with trail making B test, digit symbol test and Wechsler memory scale, finger tapping test, stroop test, VCPT and CCPT. Conclusion : N120 may be considered to reflect the function of medial frontal lobe and P300 may be considered to be developed from the subcortical connection of medial temporal lobe, hippocampus, thalamus, basal ganglia and medial frontal lobe.

  • PDF

A study on the Inentified Neurons Related to the Visceral Nerve in the Terrestrial Slug, Incilaria fruhstorferi daiseninana. (육생 민달팽이 Incilaria fruhstorferi daiseninana의 내장신경과 관련이 있는 동정된 뉴우런에 관한 연구)

  • Kim, Yung-Kyu;Chang, Joseph-Jin
    • The Korean Journal of Zoology
    • /
    • v.30 no.1
    • /
    • pp.29-43
    • /
    • 1987
  • Incilaria fruhstorferi daiseninana의 뇌는 쌍을 이루고 있는 뇌(cerebral), 측(pleural), 노(parietal), 족(pedal)신경절과 단일 복부(abdominal)신경절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융합된 신경고리를 이루고 있었다. 복부신경절로부터 나오는 내장신경은 생식, 장, 심장, 신장신경등으로 분지되어 이들 각 기관에 신경을 공급하고 있었다. 다음 3가지 방법, 즉, 내장신경을 Ni$^2$+로 역방향으로 충진하여 세포체를 염색하는 방법, 형광화합물 Lucifer yellow를 세포내로 주입하는 방법, 세포내활동전위와 내장신경의 세포외 활동전위를 동시에 측정하는 방법으로 적어도 12가지의 동정된 뉴우런이 내장신경과 관련되고 있음을 알았다. 알아낸 각 세포의 전기생리학적인 특성을 검지하고, 이것과 각 세포의 돌기 분지상태와의 관련 및 일부 세포간의 상호관계를 검사하였다. 이들중 8가지 세포가 내장신경에 축색돌기를 내보내는 효과신경세포라는 증거를 얻었다.

  • PDF

Real-time brain mapping system using EEG and evoke potential (뇌파 및 Evoke potential을 이용한 실시간 Brain mapping system)

  • Cho, Sang-Heum;Kim, Pan-Ki;Park, Sue-Kyoung;Kim, Ji-Eun;Song, Eun;Kang, Mahn-Hee;Ahn, Chang-Beo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1983-1984
    • /
    • 2008
  • 뇌 활동의 전기적 신호인 뇌파(EEG)와 외부 자극에 대한 유발 전위(EP)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뇌지형도를 생성하는 real-time brain mapping system을 개발하였다. 측정 전극은 32채널을 사용하였고, EEG를 실시간 및 누적 주파수 분석을 통한 뇌파의 활성도 진단, EP를 측정하여 시각적/청각적 자극에 의한 유발 전위 분석을 할 수 있다. 본 시스템은 측정 대상군의 통계적 분석을 위한 Database를 구축하였고, 신뢰성 높은 뇌파 및 유발 전위 신호를 위하여 실시간 측정과정 및 측정 후 Data 검토과정에서 다양한 Artifact 제거 알고리즘이 도입되었다. 또한, 32 채널 Brain map을 구성하여 뇌파를 공간적으로 분석 가능하며, 시간 및 주파수의 증가에 따라 Brain map을 동영상화하여 시간적/주파수적 변화에 따른 분석이 가능하다.

  • PDF

Estimating Neuro-Pathway from Visual and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유발전위를 이용한 뇌의 시감각 및 체성감각 인지영역 추정기술)

  • 배병훈;김동우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15 no.4
    • /
    • pp.481-488
    • /
    • 1994
  • In this paper a study of neuro-pathway estimation based on visual and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 is given. The evoked potentials which are caused by visual and somatosensory stimulation are detected by an average method. The forward problem that is estimating a scalp potential from a given electrical source in the brain is solved by using a triple concentric spherical shell model of the head and a single current dipole model of the neuron activity. The inverse problem which calculates a source position is solved by a least square fit between the model predicted potential and a given evoked potential measurement. The similarities between estimated sensory neuro-pathways and physiological brain function regions are verifi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