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뇌자기공명영상

Search Result 37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Detection of Brain Metastatses Using Limited Brain MR Imaging : Usefulness of Limited Contrast-Enhanced MR Imaging in Brain Metastasis (뇌전이암 진단을 위한 제한적 뇌 자기공명영상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 Kwon, Sun Jung;Lee, Yun Sun;An, Jin Yong;Park, Hee Sun;Jung, Sung Soo;Kim, Ju Ock;Kim, Jin Hwan;Song, Chang Joon;Kim, Sun You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55 no.5
    • /
    • pp.499-505
    • /
    • 2003
  • Background : The brain is a common site of a metastasis in lung cancer patients. If left untreated, the patients succumb to progressive neurological deterioration with a lower survival rate than with other metastases sites. Contrast-enhanced MR imaging in the absence of symptoms or clinical signs is not recommended for identifying a cerebral metastasis in lung cancer patients because of management effectiveness. This pilot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whether or not limited brain MR imaging, which has a lower cost, could be used to replace conventional brain MR imaging. Method : Between April 1999 and March 2001, 43 patients with a primary lung cancer and the others (breast cancer, stomach cancer, colon cancer, malignant melanoma etc), who had neurological symptoms and signs, were examined using conventional brain MR imaging to examine brain metastases. The control group involved four patients who had no evidence of brain metastases the sensitivity, specificity and correlation of limited brain MR imaging were compared with conventional brain MR imaging. Results : All the 43 patients who were examined with conventional brain MR imaging showed evidence of brain metastases, whereas limited brain MR imaging indicated that 42 patients had brain metastases(sensitivity=97.67%). One patient in whom limited brain MR imaging showed no brain metastasis had a metastasis in the cerebellum, as shown by the contrast-enhanced T1 weighted axial view using conventional brain MR imaging. The conventional brain MR imaging and the limited brain MI imaging of the 4 control patients both indicated no brain metastases (specificity=100 %). The Pearson Correlation of the two groups was 0.884(Confidence Interval : 99%) observed. Conclusion : Limited brain MR imaging can detect a brain metastasis with the same accuracy. In addition, it is cost-effective (229,000 won, 180$) compared to conventional brain MR imaging(529,000 won, 480$) when patients had neurological symptoms and signs or staging.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에 나타난 숫자연산의 대뇌 활성화 연구

  • 유재욱;이홍재;이동훈;문찬홍;이은정;나동규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1.11a
    • /
    • pp.103-103
    • /
    • 2001
  • 목적: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숫자 연산과 연관된 뇌영역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성인 자원자 6명을 대상으로 연산과제를 이용하여 연산과제와 관계된 대뇌영역 꼭 활성화를 유도하였다. 실험은 실험 I과 실험II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실험 I에서 연산과제는 스크린을 통해 보여주고 계산식이 맞는지를 판단하여 신호하도록 하였고[예:(4+5)$\times$8=72], 대조과제는 십자모양을 집중하여 보도록 하였다. 실험II에서 연산과제는 실험 I과 동일하였고, 대조과제는 화면에 제시되는 세 개의 수가 모두 홀수 또는 짝수일 때 신호하도록 하였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은 1.5T 초전도 자기공명영상장치에서 EPI BOLD 기법을 이용하여 얻었으며 6명에서 얻은 영상을 정상화(normalize)한 후 SPM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하였다. 활성화된 뇌 영역은 모형뇌에 지도화하여 두 과제에서 활성화된 뇌 영역을 비교 분석하였다.

  • PDF

Acute Cerebral Infarction in a Rabbit Model: Perfusion and Diffusion MR Imaging (가토의 급성 뇌경색에서 관류 및 확산강조 자기공명영상)

  • Heo Suk-Hee;Yim Nam-Yeol;Jeong Gwang-Woo;Yoon Woong;Kim Yun-Hyeon;Jeong Young-Yeon;Chung Tae-Woong;Kim Jeong;Park Jin-Gyoon;Kang Heoung-Keun;Seo Jeong-Jin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v.7 no.2
    • /
    • pp.116-123
    • /
    • 2003
  • Purpose : The present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cerebral diffusion (DWI) and perfusion MR imaging (PWI) in rabbit models with hyperacute cerebral ischemic infarction. Materials and Methods : Experimental cerebral infarction were induced by direct injection of mixture of Histoacryl glue, lipiodol, and tungsten powder into the internal cerebral artery of 6 New-Zealand white rabbits, and they underwent conventional T1 and T2 weighted MR imaging, DWI, and PWI within 1 hour after the occlusion of internal cerebral artery. The PWI scan for each rabbit was obtained at the level of lateral ventricle and 1cm cranial to the basal ganglia. By postprocessing using special imaging software, perfusion images including cerebral blood volume (CBV), cerebral blood flow (CBF), and mean transit time (MTT) maps were obtained. The detection of infarcted lesion were evaluated on both perfusion maps and DWI. MTT difference time were measured in the perfusion defect lesion and symmetric contralateral normal cerebral hemisphere. Results : In all rabbits, there was no abnormal signal intensity on T2WI. But on DWI, abnormal high signal intensity, suggesting cerebral infarction, were detected in all rabbits. PWI (rCBV, CBF and MTT map) also showed perfusion defect in all rabbits. In four rabbits, the calculated square of perfusion defect in MTT map is larger than that of CBF map and in two rabbits, the calculated size of perfusion defect in MTT map and CBF map is same. Any rabbits do not show larger perfusion defect on CBF map than MTT map. In comparison between CBF map and DWI, 3 rabbits show larger square of lesion on CBF map than on DWI. The others shows same square of lesion on both technique. The size of lesion shown in 6 MTT map were larger than DWI. In three cases, the size of lesion shown in CBF map is equal to DWI. But these were smaller than MTT map. The calculated square of lesion in CBF map, equal to that of DWI and smaller than MTT map was three. And in one case, the calculated square of perfusion defect in MTT map was largest, and that of DWI was smallest. Conclusion : DWI and PWI may be useful in diagnosing hyperacute cerebral ischemic infarction and in e-valuating the cerebral hemodynamics in the rabbits.

  • PDF

Neuroimaging Application

  • 정경호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2.11a
    • /
    • pp.37-44
    • /
    • 2002
  • 신경계의 MR영상은 하드웨어적인 발달과 초고속 영상 기법으로 기존의 MRI가 제공해 줄 수 있는 해부학적 정보 외에 기능적인 정보인 물의 확산, 뇌 혈류 정보, 뇌의 기능적 지도화와 뇌대사물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되었다. 반전회복영상(Inversion Recovery), 확산(diffusion), 관류(profusion), 기능적(functional)영상, 뇌의 3차원 뇌표면 rendering 및 곡면재구성영상의 임상적인 의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 PDF

뇌기능 자기공명 영상장치를 이용한 인간 미각에 대한 기초 연구

  • 김수현;이영우;최기승;조지연;박청수;이현용;신운재;은충기;권오식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3.10a
    • /
    • pp.26-26
    • /
    • 2003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미각자극에 대한 인간 뇌의 활성화 영역을 측정하고 가시화하여 미각의 뇌 활성화 부위에 대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있다. 대상 및 방법: 5명의 남자 대학생 (평균 24.8세)을 뇌기능 연구의 실험 대상자로 선정하였고, 대상자들은 미각에 이상이 없고 구강수술 경험이 없는 오른손잡이를 대상으로 3번에 걸쳐 EPI 혈액산 소농도의존(blood oxygen level dependent)법을 이용하여 미각자극에 의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각 자극을 위하여 5%의 saline을 사용하였으며 자체적으로 제작한 Stimulator를 사용하여 자극하였다. 자극은 3회의 휴식기간과 2회의 자극기간에 걸쳐 시행하였으며, 각 자극기간은 30초씩 5초 간격으로 이스 당 42개의 영상을 획득했다. Post-processing은 SPM99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 99, The Wellcome Department of Cognitive Neurology, Oxford 1999)의 correlation법을 사용하여 threshold 0.4∼0.7의 범위에서 통계처리 하였으며, 활성화 영상은 EPI영상과 같은 부위의 T1 강조영상에 overlapping시켰다. 이렇게 얻어진 fMRI 영상으로 활성 영역의 위치를 분석하였다.

  • PDF

Region Segmentation and Volumetry of Brain MR Image represented as Blurred Gray Value by the Partial Volume Artifact (부분체적에 의해 번진 명암 값으로 표현된 뇌의 자기공명영상에 대한 영역분할 및 체적계산)

  • 성윤창;송창준;노승무;박종원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5 no.7A
    • /
    • pp.1006-1016
    • /
    • 2000
  • This study is to segment white matter, gray matter, and cerebrospinal fluid(CSF) on a brain MR image and to calculate the volume of each. First, after removing the background on a brain MR image, we segmented the whole region of a brain from a skull and a fat layer. Then, we calculated the partial volume of each component, which was present in scanning finite thickness, with the arithmetical analysis of gray value from the internal region of a brain showing the blurring effects on the basis of the MR image forming principle. Calculated partial volumes of white matter, gray matter and CSF were used to determine the threshold for the segmentation of each component on a brain MR image showing the blurring effects. Finally, the volumes of segmented white matter, gray matter, and CSF were calculat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objective diagnostic method to determine the degree of brain atrophy of patients who have neurodegenerative diseases such as Alzheimer's disease and cerebral palsy.

  • PDF

A Study of Region Segmentation on the Brain MR Image of Coronal Section (뇌의 수직단면에 대한 MR 영상에서 영역 분할에 대한 연구)

  • 성윤창;김신홍;한기선;송창준;노승무;박종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517-519
    • /
    • 2000
  • 본 논문은 뇌의 수직단면에 대하여 촬영된 자기공명영상에서 뇌 영역을 분리한 후 백질과 회백질 및 뇌척수액을 분리하고 각각의 체적을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는 먼저 뇌의 자기공명영상에서 영상의 배경 및 뇌 내부를 둘러싸고 있는 외피 및 지방층으로부터 뇌 영역 전체를 분리하였으며, 부분체적의 문제(partial volume artifact)에 의해 명암값의 번짐 현상을 보이는 뇌의내부 영역에서 각 성분의 부분체적을 산출하여 각 조직을 분리하기 위한 명암 값을 결정한 후 백질과 회백질 및 뇌척수액의 영역을 분리하였다. 본 연구는 뇌의 위축을 보이지 않은 정상인의 자기공명영상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향후,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알쯔하이머 병이나 뇌성마비 등과 같은 퇴행성 뇌질환 환자의 뇌 위축정도를 객관적으로 진단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 PDF

Z-Score를 이용한 관류영상과 조영전후 감산에 의한 역동영상의 뇌관류 양상의 비교 관찰

  • 최순섭;오종영;남경진;이영일
    • Proceedings of the KSMRM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1-171
    • /
    • 2001
  • 목적: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Z-score를 이용한 관류 영상과 조영전후의 감산에 의한 역동 영상의 관류 양상을 비교 관찰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이상 소견이 없는 젊은 환자 1명, Moya moya 환자 1, 중대뇌동맥 폐색 환자 1명, 외상후 증후군 1명, 뇌종양 1예를 대상으로 하여, 뇌의 routine 자기공명 영상과 함께 Gd-DTPA 0.1 mmol/kg를 급속 주사 후 자화율 대조 EPI 영상을 얻었다. 영상 기기는 Magnetom Vision(Siemens Medical Systems, Erlangen, Germany)이며, EPI 영상 지표들은 TR/TE는 0.8/29 msec, slice 두께 6 mm, slice 수 10, 화소수 128 $\times$ 128, FOV 215 $\times$ 215 mm, 영상획득 1 회, 1회 검사시간 1.32 초, 검사수 30 회로서, 총 검사시간은 40 초였다. 검사 후 영상처리(post processing)는 Magnetom Vision의 VB31D 자체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는데, 2-score를 이용한 관류영상은 조영제 유입전 영상들, 조영제 최대 유입기 영상들, 그리고 조영제 배출기 영상들 4-5 회를 각각 한 군으로 하여, Z-score 1.2에서 2.0 사이에서 여러번 반복하여 영상을 재구성하였다. 감산에 의한 역동영상은 조영제 도달 전의 영상으로부터 조영제 유입 후의 영상을 차례로 빼어서 영상을 재구성하였으며, 이들 영상을 재정리하여 각 단면의 시간 경과에 따른 관류 양상을 연속하여 관찰하였다 두 방법에 의한 영상 재구성은 각각 약 10분 정도가 소요되었다.

  • PDF

Neuroimaging of Traumatic Brain Injury (외상성 뇌손상의 영상진단)

  • Choi, Woo Suk
    •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Psychiatry
    • /
    • v.2 no.2
    • /
    • pp.169-176
    • /
    • 1995
  • 두부 외상은 많은 발생율과 사망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건강한 생활을 위해 큰 관심을 갖게 되었다. 신경방사선영상은 외상성 뇌손상 환자들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인 방법이다. 뇌손상의 기본 기전, 병리, 그리고 영상 소견을 이해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1970년대에 Glasgow coma scale의 형상과 전산화단층촬영(CT)의 발달은 임상의사들이 두부외상에 대한 평가와 환자들의 경과를 예상하는데 극적인 변화를 주었다. 최근 자기공명영상(MRI)의 발달로 외상성 뇌손상의 형태를 더욱 이해 하게 되었고, 두부 외상의 발견율이 높아지게 되었다.

  • PDF

Comparison of Pulsed Arterial Spin Labeling with Conventional Perfusion MRI in Moyamoya Disease Patient (모야모야병에서 펄스 동맥 스핀 표지 영상과 고식적인 관류자기공명영상의 비교)

  • Jo, Gwang-Ho;Bae, Sung-Jin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0 no.4
    • /
    • pp.427-433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of PASL image technique through visual and quantitative assessment by dividing CBF image, conventional per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e, anterior cerebral artery, middle cerebral artery and posterior cerebral artery into 6 territories both right and left in moyamoya disease. In visual assessment, the scope of decreased perfusion in the PASL CBF image and conventional perfusion MR CBF image agreed with the position of deficiency in the MR image. The quantitative assessment, showed that the scope and position of decreased perfusion accord with both in the PASL CBF image and the existing conventional perfusion MR CBF image but the assessment of measuring the quantity of perfusion according to signal intensity showed a little differ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