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뇌병변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7초

성인학습자의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Adult Learners' Performance Experience of Convergence Program for Self-Confidence Improvement)

  • 박선희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9-55
    • /
    • 2022
  •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가 주간보호센터 이용 성인 뇌병변 장애인 대상으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 경험의 의미와 본질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고자 질적연구로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인 대상으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 경험한 3명의 성인학습자를 심층 면담을 통해 자료 수집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총 5회기로 90분씩 진행하였고 자료 분석으로 구성된 의미 24개, 하위주제 6개, 상위주제 3개로 범주화하여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첫째, 성인 뇌병변 장애인 대상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 경험이 처음이라 '시작의 긴장감'으로 범주화하여 도출하였다. 둘째, 성인학습자들이 성인 뇌병변 장애인 대상으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하면서 자신, 가족, 이웃 사랑하는 마음이 생겨 '함께하는 즐거움'으로 범주화로 도출하였다. 셋째,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을 성인 뇌병변 장애인 대상으로 진행하면서 전공과 나 자신을 들여다보는 '현재의 나'로 범주화하여 구성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자들이 성인 뇌병변 장애인 대상으로 자신감 향상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진행 경험으로 장애인에 대한 인식변화를 비롯하여 대학 생활의 동기부여와 학습 동기 강화에 활용할 수 있기를 제언하였다.

뇌병변 복지관에서의 장애인 이동속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Walking Speed of the Disabled People by Cerebral Palsy in Welfare Center)

  • 김응식;박지훈;권영숙;김인순;김명훈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328-33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뇌병변 복지관에서 장애인 이동형태에 따른 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두가지 실험을 실시하였다. 첫째는 평상시의 이동속도를 측정하였고, 두 번째로 화재나 재난상황을 가정으로, 실제 대피 실험을 하여 이동속도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를 정상인과의 비교를 통해 분석하고, 장애인 시설 피난 안전에 관한 기준 마련을 위한 기초데이터를 제공한다. 실험 결과 뇌병변 장애인들은 정상인들에 비해 평균이동속도가 현저히 느리고 거동이 불편한 이들이 있기 때문에 표준편차가 큰 값을 갖고 있다. 따라서 대피시의 피난성공을 위한 피난 기준 및 시설 확충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 PDF

뇌병변장애 1급 아동에서 발생한 중증유아기우식증 (SEVERE-EARLY CHILDHOOD CARIES IN CHILDREN WITH GRADE 1 NEUROLOGICAL DISORDER)

  • 이효설;백승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5-20
    • /
    • 2011
  • 뇌병변장애인은 뇌성마비, 외상성 뇌손상, 뇌졸중 등 뇌의 기질적 병변에 기인한 신체적 장애로 보행 또는 일상생활의 동작 등에 상당한 제한을 받는 사람으로 정의된다. 최근에 뇌병변 장애아동의 DMFT는 비 장애아동과 유사하거나 낮다는 연구가 있었다. 그러나, 본 증례는 중증유아기우식증이 나타난 뇌병변장애 1급 아동들을 치료한 것으로, 아동들의 공통점을 통해 중증유아기우식 우식증의 특별한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뇌병변으로 인한 일차적인 운동장애와 이차적인 치과치료를 받기 어려울 정도의 쇠약함, 잦은 입원, 당분이 많은 음식과 약물의 섭취, 구강위생관리 소홀, 늦은 치과 내원, 협조도 저하 등이 우식 유발인자를 높이고, 우식 예방인자를 낮추어 치아우식증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뇌병변 장애아동을 치료할 때, 치과의사는 개인적인 우식 위험도 평가를 통해 철저한 우식 예방프로그램을 만들고, 부모와 의학적 주치의는 구강관리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조기 치과 내원 및 홈케어에 신경을 써야 할 것이다.

뇌병변 소아환자의 기립보조기 사용 시 접촉 패드 유형에 따른 근활성도 비교 (Comparison of Electromyography Activity in Accordance with Contact Pad Type during the Use of a Standing Table for Pediatric Patients with Brain Lesions)

  • 이종훈;오민우;하종규;서재용;황화식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61-16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Pneumatic air fitting system을 적용한 기립보조기 제품을 뇌병변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기립보조기의 신체 고정용 폼패드(foam pad)와 에어패드(air pad) 사용 시, 뇌병변 장애아동들의 체간 및 하지근육의 수축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패드(foam pad vs. air pad) 유형에 따른 근육별 근력 활성도는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큰 동작(식사동작)에서 크게 나타나고, 작은 동작(쓰기동작, 읽기동작)이 작게 나타났다. 이는 Pneumatic air fitting system을 적용한 기립보조기 제품 사용 시, 기존 폼패드에 비해 사용자에게 좀 더 편안함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통원치료 중인 뇌병변 장애노인의 생활스트레스, 가족지원, 우울간의 관계성 검증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Daily Hassles, and Family Support among Elderly Cerebral Vascular Accident Outpatients)

  • 문수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7호
    • /
    • pp.33-43
    • /
    • 2009
  • Depression has a direct relationship with lower quality of life for elderly with cerebral vascular accidents(CVA). Daily hassles worsen depression for elderly with CVA disability and thus an effective intervention is necessary. This research examined the direct influence of daily hassles on depression and the mediation effect of family support among 161 elderly with CVA disability living in Seoul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direct effect of daily hassles on depress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1) while family support was shown to be a mediator between daily hassles and depression. The mediation model of family support was examined using $x^2$ difference and Soble test. As a result, family support was proven to be a partial mediator. Implications are discussed.

교합 거상판을 이용한 뇌병변장애 환아의 자해성 구강 손상의 치료 (TREATMENT OF SELF-INJURIOUS LIP BITING WITH POSTERIOR BITE BLOCK APPLIANCE IN A BRAIN LESION PATIENT)

  • 전혜림;송제선;이제호;이효설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3-96
    • /
    • 2014
  • 본 증례를 통하여 뇌병변 장애 1급 환아에 자해성 구강손상이 발생한 경우 치료에 대해 고려할 점은 다음과 같다. 뇌병변 장애 1급을 포함하는 의식 저하 환자에서는 혀, 입술 씹기 등의 자해성 구강손상 발생 빈도가 높다. 연성 구강보호장치의 용이성으로 우선적으로 고려될 수 있으나, 연성 구강 보호 장치로 병소가 개선되지 않을 경우, 교합 거상판을 포함한 아크릴릭 레진 가철성 장치를 고려할 수 있다. 교합 거상판을 포함하는 아크릴릭 레진 가철성 장치 장착이후 구강 위생 관리 및 치료 부위 유지를 위해 주기적인 치과 검진이 필요하다.

뇌병변 장애자녀 어머니들의 사회복지제도 속에서 생존하기 : 수동적 행위자에서 능동적 행위자로 거듭나기 (Survival of Mothers with Disabled Children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 Growing from Passive Actors to Active Actors)

  • 조유진;김수영
    • 사회복지연구
    • /
    • 제47권1호
    • /
    • pp.93-121
    • /
    • 2016
  • 본 연구는 장애아 어머니들이 사회복지제도 속에서 적극적 행동주체로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드러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사회복지연구들은 사회복지이용자들을 주어진 서비스를 수동적으로 수혜 받는 정책대상으로 묘사하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현실에서 사회복지이용자들은 적극적 주체로서 사회복지제도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하며 전략적으로 제도를 변용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자녀를 둔 어머니들을 사례로, 사회복지제도 속에서 사회복지이용자들은 제도적 제약을 받으면서도 한편으로는 자신의 이익을 쟁취하는 역동적 행위자임을 드러내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뇌병변 장애아동의 어머니 9명을 심층면접하고 이를 근거이론을 통해 분석했다. 본 논문에서는 뇌병변 장애아동의 어머니가 자녀와 함께 사회복지제도 속에서 점진적으로 성장해 가는 모습을 진입기, 각성기, 탐색기, 투쟁기, 체념기, 활용기의 6단계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는 제도-행위자 이론에 대한 경험적 논거를 제시하고, 정책적으로는 장애아동과 그 가족을 위한 사회복지제도와 정보환경의 보완책에 대해 논의할 기회를 마련하고자 했다.

뇌병변 장애 환자의 외상 치아에서 vacuum-formed splint를 이용한 교합 안정술 (TRAUMATIZED TOOTH STABILIZATION USING VACUUM-FORMED SPLINT IN A CEREBRAL PALSY PATIENT)

  • 남옥형;박재홍;김광철;최영철;최성철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89-92
    • /
    • 2014
  • 상악 전치부 완전탈구를 주소로 내원한 지적 장애를 동반한 뇌병변 장애를 가진 25세 환자에서 재식 후 구치부 bite block을 추가한 vacuum-formed splint을 이용한 교합 안정술을 통하여, 외상 치아의 동요도 감소 및 교합안정을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 된다.

특이 체형 패턴 보정을 위한 기초 연구 -뇌병변 장애인을 중심으로- (A Basic Study of Pattern Alteration for People with Body Deformities -Focusing on the Brain Injured Handicapped-)

  • 나현신
    • 복식
    • /
    • 제56권7호
    • /
    • pp.121-132
    • /
    • 2006
  • The feeling of self-confidence, the sense of well-being and of social acceptance that comes from the wearing clothes that is functional, appropriate, and attractive, is important to all the people, but to those with physical limitations, it is much more important. Finding well-fitting clothing can be a big challenge for them. This study focus on the cut of present available ready-to-wear garments and commercial patterns giving better fit and greater comfort and satisfaction. Subjects were limited to the people with body deformities caused by the brain injury. This can also meet the needs of silver groups in the aging society under the terms of human values and human rights. This study is based on the questionaires and interview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ready-to-wear or commercial patterns, purchasing behaviors, and the demand for the functional clothes. This study focused on following objectives; 1) to discover what the problems are which confront the people with body deformity, 2) to find the problems in ready-to-wear garments or commercial patterns, 3) to provide information of pattern alteration f3r people with body deformities. A major limitation to the study is that the subjects numbers are limited and the distribution is not even. For the future study, large database with wide varieties of age and fitting test a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