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뇌공학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9초

시각 자극의 집중에 따른 뇌유발전위의 공간-주파수 상관 분석 (Spatio-Spectral Coherence Analysis of ERP signals for Attentional Visual Stimulus)

  • 이벽진;유선국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10호
    • /
    • pp.217-22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인간의 시각집중에 따른 뇌기능을 코히어런스와 바이코히어런스 방법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집중에 관련된 시각자극 실험을 통하여 유발된 뇌유발전위 데이터와 합성한 모의실험 데이터를 통하여, 바이코히어런스는 고정된 두피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간의 위상 동조를 보이는데, 코히어런스는 고정된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다른 두피 위치간의 위상동조를 나타내는데 유효하다는 것을 확인 하였다. 두 방법 모두 자극시점과 첨가된 백색잡음의 크기에 영향을 받았다. 집중관련 자극수행에 대하여 바이코히어런스는 ${\Theta}$, ${\delta}$, ${\alpha}$ 대역간의 위상동조를, 코히어런스는 뇌의 전두엽과 두정엽 간의 위상동조를 보였으며, 비집중 자극 수행에 대해서는 위상동조 현상이 두드러지지 않게 관측됨으로써, 인간의 집중과 관련하여 뇌의 기능적인 공간-주파수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지향성 탐지 기제에서의 개인차: 전공에 따른 뇌 활성화 영역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ntionality Detection: Brain Activation Areas According to College Major)

  • 박민;윤효운;정우림;김혜리;이승복
    • 인지과학
    • /
    • 제18권2호
    • /
    • pp.139-15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마음이론의 기본적 기제로 알려진 지향성 탐지 기제에서의 개인차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비되는 두 가지 전공 영역의 참가자들이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을 촬영하여 뇌 활성화 영역을 비교해보았다. 공학 전공자의 경우에는 우반구의 하두정소엽과 상두정소엽이 활성화되었던(이승복 등, 2006) 반면, 동일한 지향성 탐지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심리학 전공자는 좌반구의 하전두회, 방추상회, 상측두회와 우반구의 방추상회와 변연상회가 활성화되었다. 이런 결과는 참가자의 전공 배경에 따라 지향성 탐지를 하는 동안 활성화되는 뇌 영역들에 차이가 있음을 분명히 보여준다. 지향성 탐지 과제 수행과 참가자 특성간의 관계를 논의하였다.

  • PDF

P300 뇌파를 이용한 뇌-기계 인터페이스 기술에 대한 연구 (Brain-Machine Interface Using P300 Brain Wave)

  • 차갑문;신현출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7권5호
    • /
    • pp.18-23
    • /
    • 2010
  • 본 논문은 유발전위(evoked potential) 뇌파인 P300에 기반한 뇌-기계 인터페이스의 실시간 구현을 위한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P300 뇌파는 외부 시각 자극이 인간의 의지와 일치할 경우, 100-300ms 부근에서 negative pick를 갖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특성에 기초하여 P300 뇌파의 포텐셜(potential) 감소를 감지하여 인간의 의도를 역으로 추론할 수 있으며, 이를 뇌-기계 인터페이스에 활용할 수 있다. 연구에서 P300 뇌파는 인간의 두개골 외부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얻어졌으며, 시각적 자극으로는 2차원 알파벳 신호를 사용하였다. P300 뇌파의 포텐셜 감소 검출을 위하여 뇌파 포텐셜을 자극과 연계하여 확률적으로 모델링하였다. 확률적 모델은 피실험자가 의도하는 신호의 모델(target model)과 의도하지 않는 신호의 모델(non-target model)로 구성된다. 이러한 확률적 모델에 기반하여 피실험자의 의도를 추론하기 위해서 최우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사용하였다. 실험에는 신체 건강한 성인 남자 3명이 참가하였으며, 'A'와 'E' 실험에 대한 피실험자 k의 평균 성공률은 98%, 피실험자 j의 평균 성공률 90%, 그리고 피실험자 h의 성공률은 79.8%였다.

뇌전도 측정 및 처리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development of electroencephalography Measurement and Processing system)

  • 이두현;오유준;홍진희;채준수;최영규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8-46
    • /
    • 2024
  • 일반적으로 EEG 신호 분석은 의료 진단 및 재활 공학에 적용하여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연구에 널리 사용되는 뇌 자극을 기록하는 객관적인 모드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 때문에 여러 연구의 주제가 되어 왔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뇌전도 측정하기 위한 뇌파 수신 하드웨어 개발 및 처리 시스템 구현을 통해 서버와 데이터 처리로 분류하여 개발을 진행하였다. 뇌전도를 이용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구현의 중간단계 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측정된 뇌전도 데이터에 따라 사용자의 팔의 움직임을 예측하는 형태로 구현되었다. 네 개의 전극으로부터의 입력을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통해 뇌전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이를 통신 과정을 거쳐 서버에 전송한 뒤, 서버에서 합성곱 신경망 모델로 뇌전도 입력을 분류하여 그 결과를 사용자 단말로 표시하는 시스템의 흐름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뉴스와 토픽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5권6호통권397호
    • /
    • pp.6-9
    • /
    • 2002
  • 박테리아, 높은 온도에서도 생존/스스로 수리하는 플라스틱/1억2천만년 전 꽃식물 화석 발견/쌀 유전자 지도 완성/생쥐 뇌에 전극 이식으로 원격조정/운동 효과를 주는 신약 개발/쿼크로 구성된(?) 새로운 별 두개 발견/허블 우주망원경에 새 카메라 설치/우주의 나이는 1백30억년/지구 온난화는 자연적인 현상/버키볼 콩깍지가 트랜지스터 역할/사촌간 결혼으로 생긴 아이 비정상일 확률 낮다/생체공학으로 색소성 망막염 치료

  • PDF

에빙하우스 망각 곡선 기반 효율적인 학습 시스템 설계 (Design of Efficient Educational System based on Ebbinghaus's Forgetting Curve)

  • 김분희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152-1153
    • /
    • 2008
  • 효율적인 학습 방법들을 도입한 교육용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 있는 가운데, 사람의 뇌의 장기기억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교육용 시스템과 다양한 방향에서 적용하고 그 유효성을 밝히는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학생들에게 학습에 용이한 교육 시스템을 적용함에 있어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접근이 용이하도록 인터넷과 연계된 시스템의 유용성은 이미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기반 교육 시스템에서 장기기억이 용이하도록 학습 내용의 구성과 에빙하우스 망각 곡선에 기반한 효율적인 반복학습 시스템을 설계한다.

뇌기능 영상에서 인지 수행 능력, 신경 활성화 면적 신경 활성화 크기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 Performance Ability, Neural Activation Area and Neural Activation Intensity in fMRI)

  • 손진훈;오종현;탁계래;이정한;이수열;정순철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2권7호
    • /
    • pp.200-207
    • /
    • 2005
  • This study compares two different methods of measuring brain-BOLD activation. By comparing two different methods of measurement i.e., one method calculating the neural activation area (the number of activated voxels), while the other measured the neural activation intensity (the mean intensity of selected activated yokels), this study identified the more precise method of measuring brain activation which results from the completion of a visuospatial task. 16 right-handed male college students (mean age 23.2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subjects. Functional brain images were scanned on them using a 3T MRI single-shot EPI method. No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s of cognitive performance and number of activated yokels in the activated brain areas. However,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levels of cognitive performance and the mean intensity of selected activated yokels in the parietal, frontal, and other areas. In conclusion, the method of mean intensity was considered a better index of brain activity rather than the activated yokels measurement method.

파킨슨성 경직의 점탄성에 대한 수술중의 뇌심부 자극의 효과 (Effect of Intraoperative Deep Brain Stimulation on Viscoelastic Properties of Parkinsonian Rigidity during Surgery)

  • 권유리;엄광문;박상훈;김지원;고성범;박병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9권9호
    • /
    • pp.1035-1040
    • /
    • 2012
  • Deep brain stimulation (DBS) of the subthalamic nucleus (STN) has been found to be effective treatment of Parkinson's disease (PD).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ect of DBS for rigidity during DBS surgery. Six Parkinsonian patients who received STN-DBS surgery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xaminer imposed flexion and extension of a patient's wrist randomly. Resistance to passive movement was quantified by viscoelastic properties (two damping constants for each of flexion and extension phase and one spring constant throughout both phases). All Viscoelastic constants decreased by DBS (p<0.01). Specifically, reduction in damping constant during flexion ($B_f$) was greater than those of damping constant during extension ($B_e$) and of spring constant (p<0.05). $B_f$ would be appropriate for evaluation of effect of DBS for rigidity during DBS surgery.

뇌심부자극술 시술환자의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고주파 출력의 제한기준에 대한 임상적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Clinical Usefulness of Radio-Frequency Power Limitation in Brain MRI of Patients with Deep Brain Stimulation)

  • 연규진;장영애;이승근;이태수
    • 방사선산업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39-144
    • /
    • 2017
  • To evaluation of clinical usefulness for B1+RMS limits, we compared image quality of Routine, Specific absorption rate (SAR) and Root mean square (RMS) protocol. 5 volunteers underwent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 of the brain using three different protocols. We draw Region of interest ROI in cortex, white matter, gray matter, putamen and thalamus of axial plan. Signal to noise ratio (SNR) were evaluated in each area and Contrast to noise ration (CNR) were evaluated between white matter and gray matter. Qualitative evaluation was used to score each ROI. B1+RMS is confirmed its usefulness compared to conventional SAR standard on the aspect of improvement of image quality, reduction of scan time and easy adjusting parameter.

정상인과 명칭성 실어증 환자에게서 보이는 의미적 관련성의 좌우반구 편재화 (Hemispheric Asymmetry in Processing Semantic Relationship Shown in Normals and Aphasic)

  • 채수경;김동휘;편성범;홍성빈;이홍재;남기춘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9년도 제11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462-469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단어 자극의 의미 관련성의 차이에 따라 좌우반구의 처리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명칭성 실어증 환자와 정상인 대학생 피험자를 대상으로 점화 어휘판단 과제를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기본 논리는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왼쪽 뇌가 손상되어 있기 때문에 어떤 정보처리가 왼쪽 뇌에서 일어나는 것이라면 정상인과 명칭성 실어증환자간의 수행에서 어떤 차이가 나타날 것을 기대되는 반면, 만일에 우뇌에서 처리되는 것이라면 정상인의 과제 수행 형태와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것이 일치하는 형태를 보일 것이라는 것이다. 실험 1에서는 수직적 범주관련성이 어느 반구에서 정보처리 되는지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은 좌반구에서 유의미한 점화효과가 있고 우반구에서는 점화효과가 없었던 반면에, 명칭성 실어증 환자는 정상인과 정반대의 점화 효과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좌반구가 일차적으로 수직적 범주 관련성 정보처리와 관련이 있음을 시사해 준다. 또한 수평적 범주 관련성에 따른 실험 은 정상인과 환자 두 집단 모두 수평적 범주관련성이 우반구에서 처리되는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었다. 실험2에서는 연합적 범주관련성에 따른 두 집단간의 점화 효과를 비교하였다. 정상인 집단과 환자 모두 좌우반구에 점화효과를 보여주고 있지만, 정상인 집단의 경우에는 우반구에서, 환자는 좌반구에서 점화량이 더 컸다. 연합관련 정보처리는 좌우반구 모두에서 일어난다고 하는 기존의 견해와 관련하여 볼 때 연합관련 정보처리는 좌우반구에서 일어난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명칭 실어증 환자의 정보처리는 정상인과 다르게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좌우반구에서의 차이가 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실험1과 2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단어의 범주적 관련성이 주는 어휘정보 처리는 반구에 따라 처리하는 기능이 다르다고 결론 내릴 수 있다. 즉, 좌반구는 수직적 범주 관련성을 담당하고 우반구는 수평적 관련성을 담당하며, 연합적 관련성은 좌우반구 모두에서 정보처리 된다는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