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축계수

검색결과 192건 처리시간 0.03초

방사성물질의 해양중 거동특성 평가

  • 송영일;이명찬;이갑복;정성태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677-682
    • /
    • 1998
  • 영광원전주변 해양에서 조사된 환경방사능 조사결과를 토대로 Cs-137과 Sr-90 방사성물질의 해수와 부유물에서 분포특성과 해양생물로의 전이.농축특성을 분석하였다. 방사성물질의 분포특성 분석은 해양에서 방사성물질의 용해성과 부유물에의 흡착성 평가뿐 아니라 방사성물질의 해양확산을 평가하는데 필수적 요소이다. 지금까지는 방사성물질의 해양확산 평가시 완전 용해성으로 가정하여 단순한 해수유동 특성만을 고려하여 평가하였으나, 흡착성 등 물리화학적 거동특성을 평가함으로써 좀더 사실적인 해양확산을 평가할 수 있다. 평가결과 Cs-137과 Sr-90의 분포특성을 나타내는 분배계수가 각각 8.1$\pm$1.4E-4, 7.4$\pm$2.3E-5 로 나타났다. 이는 두 핵종 모두 용해성이 높고 흡착성이 낮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Cs-137과 Sr-90에 비해 상대적으로 흡착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 전이.농축특성 분석결과는 김에서 Cs-137과 Sr-90의 전이.농축계수가 66과 3, 서대와 병어에서는 122.5와 6, 패류에서는 Sr-90의 전이.농축계수가 6으로 나타났다. Sr-90은 전반적으로 전이.농축계수가 낮게 나타나 생물체에유입되더라도 쉽게 배출돼 축적경향이 매우 낮음을 보여준다. 반면 Cs-137은 Sr-90에 비해 상대적으로 농축특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향후 이를 토대로 해역의 고유 환경특성에 맞는 방사성물질의 해양중 거동특성을 고려한 해양확산평가 및 해양감시가 이뤄져야할 것이다.

  • PDF

해수담수화 역삼투막 공정의 무기질오염에 대한 스케일 억제제 효과 연구 (Effects of Antiscalant on Inorganic Fouling in Seawater Reverse Osmosis Membrane Processes)

  • 강남욱;이석헌;권지향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677-685
    • /
    • 2011
  • 역삼투막 공정의 무기질 스케일은 주로 산을 주입하거나 혹은 스케일억제제를 사용하여 제어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여러 가지 고분자 형태의 스케일 억제제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른 성상의 스케일 억제제 세 개를 선택하여 $CaCO_3$ 무기질 오염에 대한 제어효과를 분석하였다. 농축계수가 1.43, 2.5 및 5일 때 Spectra Guard를 사용하여 회수율, 즉 농축계수에 따른 제어능을 비교하였고 농축계수가 2.5일 때 SHMP, Spectra Guard, Flocon 150 N을 사용하여 억제제별 제어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농축계수별 제어능 실험은 농축계수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양의 스케일 억제제를 필요로 하였으며, 필요량은 농축계수 5의 범위까지 거의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내었다. 또한 임계값보다 적은 양의 스케일 억제제를 주입했을 경우 일정한 시간 경과 후에 스케일이 형성 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한 세 종류의 스케일 억제제는 모두 스케일 억제 효과를 보였으나, 억제제별로 스케일 제어에 필요한 시간과 적정 주입량 등에 차이를 보였다. Spectra Guard는 주입농도가 0.6 mg/L 이상이면 바로 스케일 제어효과를 나타내었다. SHMP은 적정 농도는 0.4 mg/L로 작았으나 스케일 제어효과가 나타내는 데까지 약 30시간 이상이 걸렸다. Flocon 150 N은 3 mg/L 이상의 주입농도와 30시간 이상의 운전시간이 필요하였다. 이러한 적정 농도 및 제어 반응시간의 차이는 억제제 성분에 따른 억제 기작의 차이로 보이며, $CaCO_3$ 스케일 억제제로 polyacrylate 계의 Spectra Guard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국내산 인삼 가공과정 중 difenoconazole의 가공 및 감소계수 연구 (Processing and Reducing Factors of Difenoconazole during Ginseng Processing)

  • 김종걸;박홍열;양규완;김성수;권찬혁;정연호;허장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63-270
    • /
    • 2011
  • 본 연구는 인삼 및 인삼 가공품에 대한 합리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과 인삼 및 가공품 중 농약의 잔류성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인삼 가공단계별 농약의 감소계수와 가공계수를 산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농약은 difenoconazole로 6년근 인삼포 2곳(강원도 원주, 경기도 이천)에 농약사용기준에 따라 살포한 후 수삼을 수확하여 건삼, 홍삼, 인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시료로 가공하였다. 시험결과 difenoconazole의 잔류량은 원주, 이천수삼에서 모두 LOQ(0.02 mg/kg) 미만, 건삼은 각각 0.04 mg/kg, 0.10 mg/kg, 홍삼은 각각 LOQ(0.04 mg/kg) 미만, 0.08 mg/kg, 인삼 알코올 농축액은 각각 0.07, 0.36 mg/kg, 인삼 물 농축액은 모두 LOQ(0.04 mg/kg) 미만, 홍삼 알코올 농축액은 각각 0.08 mg/kg, 0.18 mg/kg, 홍삼 물 농축액은 모두 LOQ(0.04 mg/kg) 미만으로 모두 농약잔류허용기준(MRL) 이하였다. Difenoconazole의 가공계수는 건삼 3.55, 홍삼 3.17, 인삼 알코올 농축액 10.78, 인삼 물 농축액 2.00, 홍삼 알코올 농축액 6.45, 홍삼 물 농축액 2.00으로 산출되었으며, 감소계수는 건삼 1.09, 홍삼 1.02, 인삼 알코올 농축액 3.74, 인삼 물 농축액 0.73, 홍삼 알코올 농축액 2.42, 홍삼 물 농축액 0.74였다.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해수내 어류 병원바이러스 농축법 (A Simple Method for the Concentration of Fish Pathogenic Virus in Sea Water)

  • 오명주;김석렬;정성주;김형락;김흥윤;여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61-66
    • /
    • 2000
  • 해수중에 소수로 분포하는 어류 병원 바이러스의 검출을 목적으로 해산어류 병원바이러스의 일종인 marine birnavirus (MABV)를 대상으로하여 한외 여과막과 centricon을 이용한 농축효과를 바이러스의 주화세포내 감염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CPE (cytopathic effect) 출현에 근거한 바이러스 감염가 측정법인 $TCID_{50}$ 계수법 및 주화세포상의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형성되어지는 plaque 계수법을 통해 검토하였다. 바이러스 희석액 시료 20 L를 1차 중공사한외여과막으로 3 시간 가동하면 200배로 농축되어지고, centricon으로 2차 농축하여 최초 시료 대비 20,000배 (최종량: 1 ml)로 농축가능하였다. 바이러스 회수율은 농축 전 바이러스 감염가와 비교하여 $TCID_{50}$치로서는 94.4%, plaque 계수법으로는 88.7%를 나타내었다. 중공사 한외여과막과 centricon을 이용한 본 농축법은 해수내 바이러스의 검출을 위한 효과적인 농축방법으로 수계 바이러스 연구에 이용되어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졌다.

  • PDF

투과증발법을 이용한 감귤 Essence Aroma 모델액의 농축 (Concentration of Citrus Essence Aroma Model Solution by Pervaporation)

  • 이용택;박중원;신동호
    • 멤브레인
    • /
    • 제16권1호
    • /
    • pp.68-76
    • /
    • 2006
  • 본 연구는 투과증발법을 이용하여 수용액 중 미량의 감귤 향 성분을 농축하는 방법으로, 4종류의 실록산계 고분자 복합막을 이용하여 막 종류와 구조에 따른 투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최적의 막을 선정하여 공급액의 온도와 농도, 순환 유속에 따른 투과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resistance-in series model을 이용하여 해석하였다. 4종류의 실록산계 고분자 복합막을 통한 감귤 essence aroma 모델액의 투과 실험에서 지지층이 polyvinylidene fluoride (PVDF)이고 활성층이 polyoctylmethyl siloxane (POMS)인 막이 가장 높은 향 성분 플럭스와 농축계수 값을 나타내었으며, 공급액의 온도와 농도, 순환유속을 변화시키며 투과 실험을 하였다. 그 결과 공급액의 온도와 농도가 증가됨에 따라 향성분의 플럭스는 증가하고 농축계수 값은 감소하였으며 순환유속이 증가됨에 따라 향성분의 플럭스와 농축계수 값 모두 증가하였다.

가열 매체 및 증발온도가 마늘즙의 농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ing Medium and Evaporation Temperatures on Concentration of Garlic Juice)

  • 김병삼;박노현;박무현;한봉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01-305
    • /
    • 1992
  • 원심식 박막증발기를 이용해 마늘 착즙을 농축한 경우 가열 매체 및 증발온도가 농축비, 총괄열전달계수, 증발속도 등에 대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마늘착즙의 급액속도와 증발온도가 일정할 때 가열증기의 온도가 높을수록 농축비, 증발속도, 및 총괄열전달계수는 증가하였으나, 가열증기의 온도가 $110^{\circ}C$ 이상이 되면 이들 값의 증가가 현저하게 둔화되었다. 증기온도 $100^{\circ}C$ 이하에서는 증발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축비, 증발속도, 총괄열전달계수는 감소하였다. 그러나 그 이상의 온도에서 어느 일정 증발온도까지는 이들 값이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급액속도가 일정할 때 증기의 온도와 증발온도와의 차이가 $70^{\circ}C$가 될 때까지는 농축비, 증발속도 및 총괄열전달계수는 모두 증가하였다. 그러나 온도 차이가 $70^{\circ}C$ 이상이 되면 이들 값의 증가가 둔화되거나 감소하였다.

  • PDF

인삼의 재배 및 가공단계 별 Azoxystrobin 잔류성 (Residues of Azoxystrobin during Cultivation and Processing of Ginseng)

  • 김종걸;김성수;박홍열;지광용;이경희;함헌주;임무혁;허장현
    • 농약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32-240
    • /
    • 2009
  • 본 연구는 인삼 및 인삼가공품에 대한 합리적인 농약잔류허용기준 설정을 위해서 인삼 중 농약의 잔류성을 규명하고 이를 토대로 인삼 가공단계별 농약의 감소계수와 가공계수를 산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시험농약은 인삼재배 중 사용등록 되어 있는 azoxystrobin으로 강원도 원주와 경기도 이천의 6년근 인삼포에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살포한 후 수삼을 수확하였으며, 건삼, 홍삼, 인삼 농축액 및 홍삼 농축액 시료는 KT&G의 협조를 받아 가공하였다. 시험결과 azoxystrobin의 잔류량은 원주, 이천 수삼에서 각각 0.05, $0.03\;mg\;kg^{-1}$, 건삼에서 0.12, $0.14\;mg\;kg^{-1}$, 홍삼에서 모두 $0.05\;mg\;kg^{-1}$, 인삼 알코올 농축액 0.28, $0.33\;mg\;kg^{-1}$, 인삼 물 농축액에서 0.22, $0.16\;mg\;kg^{-1}$, 홍삼 알코올 농축액에서 0.31, $0.20\;mg\;kg^{-1}$, 홍삼 물농축액에서 0.09, $0.11\;mg\;kg^{-1}$으로 모두 MRL수준 이하였다. Azoxystrobin의 가공계수는 건삼 3.25, 홍삼 1.34, 인삼 알코올 농축액 7.84, 인삼 물 농축액 4.63, 홍삼 알코올 농축액 6.15, 홍삼 물 농축액 2.56으로 산출되었으며 가공과정을 거치면서 농축에 의해 농약 잔류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소계수는 건삼 1.19, 홍삼 0.51, 인삼 알코올 농축액 3.41, 인삼 물 농축액 1.91, 홍삼 알코올 농축액 2.74, 홍삼 물 농축액 1.00으로 약제가 초기 잔류량과 비슷하거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휴폐광산 지역에서 폐석의 중금속 존재 형태와 지화학적농축계수 평가 (Fraction and Geoaccumulation Assessment Index of Heavy Metals in Abandoned Mines wastes)

  • 김휘중;박병길;공성호;이재영;옥용식;전상호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10권6호
    • /
    • pp.75-80
    • /
    • 2005
  • 남한강 상류지역의 금속광산인 거도, 만정, 조일광산은 1988년 석탄광산합리화 사업과 더불어 폐광되었으며, 휴$\cdot$폐광된 이후 다량의 광산 폐기물을 방치하여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광미, 폐석 등의 이동에 의한 주변의 토양오염에 대한 정량적 평가가 없기 때문에 이들 광산폐기물에 의한 오염정도를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폐광된 거도, 만정, 조일 광산의 광산 폐석에 의한 수질 오염 가능성 평가를 위해 각 광산에서 폐석 시료를 채취하였으며, HCl 처리 농도에 따라 지화학적 농축 계수(Index of geoaccumulation), 중금속 존재 형태와 이동성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카드뮴, 납, 아연, 구리, 니켈 그리고 크롬의 지화학적 농축 계수는 각각 6, $4\~6,\;0\~6,\;4\~5$, 2, 0을 나타냈다. 광산 폐석에서 카드미뮴, 납, 아연, 구리의 지화학적 농축계수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지역이 상당한 오염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광산 폐석에서 중금속의 존재 형태는 구리의 경우 유기물 형태, 납은 탄산염 형태, 니켈과 아연은 잔류상 형태로 나타났다.

대두올리고당 생산을 위한 대두침출액의 한외여과 (Ultrafiltration of Soybean Cooking Water for the Production of Soy-oligosaccharides)

  • 목철균;구경형;박동준;김남수;손헌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81-184
    • /
    • 1995
  • 두유제조공정에서 부산물로 다량 발생하는 대두침출액으로부터 대두올리고당을 생산하기 위한 공정으로 한외여과의 적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차단분자량 20,000인 막을 사용하여 용적농축비 5.0 이상으로 한외여과할 경우 단백질을 약 40% 정도 제거할 수 있었으며 올리고당은 거의 전량을 여액으로 회수할 수 있었다. 제단백계수는 용적농축비 5.0 이상에서 완만하게 증가하기 시작한 반면 제당계수는 용적농축비 5.0에서 6.57%이었다가 용적농축비 10.0에서 19.95%로 급격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제거계수를 기준으로한 적정 용적농축비는 5.0이었다. 반면 대두올리고당의 회수율은 용적농축비 10.0에서 최대치를 나타내었다.

  • PDF

수영만 양식 미역, 모자반 및 환경해수의 수은, 카드뮴, 납, 구리의 농도에 대하여 (CONCENTRATIONS OF MERCURY, CADMIUM, LEAD AND CUPPER IN THE SURROUNDING SEAWATER AND IN SEAWEEDS, UNDARIA PINNNATIFIDA AND SARGASSUM FULVELLUM, FROM SUYEONG BAY IN BUSAN)

  • 김장양;원중훈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69-178
    • /
    • 1974
  • 1. 수영만내 미역 양식장외 환경해수와 미역 및 모자반의 수은 카드뮴 납 및 구리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2. 환경해수의 수은농도는 $0.00\~0.39ppb$에 평균이 0.16 ppb, 카드뮴은 $0.00\~0.46ppb$에 평균이 0.18ppb, 납은 $0.00\~0.94ppb$에 평균이 0.26 ppb, 주리는 $0.00\~0.86ppb$에 평균이 0.25 ppb였다. 3. 수영만해수의 중금속 농도는 물때에 따라 약간의 차가 생긴다. 4. 미역의 수은농도는 풍건물로서 $0.02\~0.48ppm$에 평균 0.07 ppm근 농축계수는 $0.13\times10^3\~1.0\times10^3$에 평균이 $0.42\times10^3$이다. 카드뮴의 농도는 $0.14\~3.2ppm$에 평균이 0.37 ppm고, 농축계수는 $0.8\times10^3\~4.9\times10^3$에 평균이 $2.1\times10^3$이다. 납은 $0.8\~5.0ppm$에 2.3 ppm, 농축계수는 $3.1\times10^3\~19\times10^3$에 평균이 $8.9\times10^3$이다. 구리는 $1.4\~6.9ppm$에 평균이 3.7 ppm고, 농축계수는 $6.0\times10^3\~28\times10^3$에 평균이 $15\times10^3$이다. 5, 미역의 중금속농도는 체장과는 뚜렷한 상관성이 보이지 않는다. 그러나 귀 부분이 엽체부보다 큰 차는 없지만 대체로는 낮은 경향이다. 6, 모자반의 수은농도 및 농축계수는 풍건물로서 $0.01\~0.09ppm$ 및 0.04 ppm에 $0.06\times10^3\~0.56\times10^3$$0.25\times10^3$, 카드뮴은 $0.11\~0.31ppm$ 및 0.18 ppm에 $0.61\times10^3\~1.7\times10^3$$1.0\times10^3$이고, 납은 $0.8\~2.2ppm$ 및 1.4 ppm에 $3.1\times10^3\~8.5\times10^3$$5.4\times10^3$, 구리는 $3.6\~13.1ppm$ 및 5.7 ppm에 $14.4\times10^3\~52.4\times10^3$$22.8\times10^3$이다. 7, 미역의 수은 카드뮴 및 납의 농축계수는 모자반의 약 3배가되고 구리의 그것은 오히려 모자반이 크다. (이 연구는 1973년도 문교부 연구조성비로 되었으며, 시료를 제공해 주신 해운대 김경재씨에 감사드립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