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 태양광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2초

봄철 영농형 태양광 시설 하부 휴경논 토양의 온도와 수분 변화 (Changes of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under the Agrivoltaic Systems in Fallow Paddy Field during Spring Season)

  • 조유나;조은이;정재혁;정회정;황운하;조재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18-225
    • /
    • 2023
  • 영농형 태양광 시스템은 노지 작물 경작과 동일한 토지 상부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을 통한 발전을 동시에 하는 시스템이다. 지금까지 영농형 태양광은 에너지와 식량의 양자구도로만 집중되어있다. 영농환경 중 하나인 토양수분은 강우 또는 관개수로 증발 및 유출⋅침투로 손실된 수분을 공급받아 노지 작물 생산에 기여한다. 본 연구는 식량, 에너지와 함께 물의 개념을 포함하여 영농형 태양광 시설을 보고자 하였으며, 미기상 관측을 통해 봄 기간 동안 휴경논에서 영농형 태양광 시설 하부의 토양수분과 지온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영농형 태양광 하부는 패널로 인한 부분차광 조건으로 지면에 입사되는 광 에너지량이 감소하여 지온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토양수분 손실이 적어 대조구인 노지에 비해 습윤한 조건을 보인다. 또한, 태양광 하부는 에너지 제한 환경이며, 상대적으로 지온이 높은 노지는 수분 제한 환경으로 설명된다. 노지와 태양광 하부의 상이한 토양수분 환경은 필연적으로 작물에 영향을 미칠 것이며, 농업 환경과 농촌 경제를 고려한 지속가능한 대처가 필요하겠다.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농촌 그린빌리지 계획의 경제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onomic Analysis of Rural Green-village Planning using Solar Energy)

  • 김대식;남상운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2권4호
    • /
    • pp.27-34
    • /
    • 2010
  • 본 연구는 농촌마을을 환경친화적으로 계획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태양에너지를 고려한 농촌그린빌리지 디자인에 대한 경제성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이 논문에서는 경제적 측면에서 에너지 수지를 고려하여 세 가지 형태의 연구대상 농촌마을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농촌마을들에서 실제로 사용했던 전체 에너지를 태양광 발전으로 대체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시스템인 3 kWp의 단위 모듈 (PV 시스템)의 개수들을 마을별로 추정하였다. 경제성 분석에서는 두 개 마을의 순현재가치 (NPV)가 평가기간 25년내에 마이너스 값을 보였으며, 나머지 하나의 마을에서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에서 시설설치 보조금을 60 % 지원해 줄 경우에는 모든 마을에서 25년 내에 경제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경제성 평가 관련인자들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BC (Benefit/Cost) 비율 변화에 대하여 실시한 결과, 설치비용, 전력판매단가, 할인율, 단가 증가율순으로 높은 변화율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태양에너지가 에너지 재활용이 가능한 농촌마을을 계획함에 있어서 정부의 적절한 지원정책과 에너지 잠재력이 높은 농촌마을을 선별한다면 매우 효과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GIS를 이용한 태양광시설 설치를 위한 적정지역 선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Planning Optimal Location of Solar Photovoltaic Facilities using GIS)

  • 윤성욱;백이;장재경;최덕규;강동현;손진관;박민정;강석원;권진경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43-25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전국을 대상으로 태양광에너지와 관련된 기상 및 지형 대리변수를 고려하여 태양광발전 시설에 대한 취약지역을 분석하였으며, GIS를 이용하여 공간분석을 통해 태양광발전 시설의 적정입지에 대한 평가용 지도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최종적으로 개발된 태양광발전 시설에 대한 취약지도에서는 '취약단계 5(매우 취약)' 지역과 '취약단계 1(매우좋음)' 지역은 나타나지 않았다. '취약단계 4(취약)' 지역은 전라남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취약단계3(보통)' 지역은 광주광역시, 전라북도, 충청북도 및 강원도 등 다수의 행정구역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단계 2(좋음)' 지역은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및 인천광역시 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운영되고 있는 태양광발전소 30곳을 비교 검토한 결과, 대부분 취약단계 2 및 3단계 지역에 위치하며, 상대적으로 태양광에너지가 적합한 지역에 위치함을 나타냈다. 하지만 본 연구의 한계점인 태양광발전소의 제한적인 자료량으로 인해 본 연구결과의 정확성을 명확하게 평가하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GIS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기상 및 지형요소들을 고려하여 전국을 대상으로 태양광발전시설에 대한 취약지도 평가를 시도하였으며, 국내 전 지역에 대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태양광발전과 관련된 부분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물수요중심 용수공급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Water Supply System by Water Demand)

  • 정광근;천만복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794-798
    • /
    • 2004
  • 현재의 물공급중심의 물관리에서 물수요중심의 물관리로의 전환을 위하여 수로에 설치되는 수문의 기능을 고려하여 새로운 수문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제수문의 역할로서 자동으로 수로 내 수위를 유지하는 무동력 자동 재수문과 태양광을 이용하여 수문개폐를 행하는 태양광 전동 수문, 논의 급수를 포장의 담수위 현황에 따라 자동으로 행하는 자동물꼬등이 포함되어 있다. 무동력 및 태양광으로 운영되는 수문의 개발에 따라 부족한 농촌인력과 고령화에 따른 유지관리인력의 절감과 자동물꼬에 의한 급수에 따라 농업용수절감이 기대되며 말단포장이 중심이 된 효율적인 물수요중심의 물공급 체계가 확립될 것이다.

  • PDF

영농형 태양광 시설 하부의 미기상 관측 자료: 보성에서 2019년 11월부터 2020년 5월까지 가을보리 재배기간 동안 (Meteorological Data Measured under Agrivoltaic Systems in Boseong-gun during Winter Barley Season)

  • 조유나;윤창용;김현기;문현동;안규남;조재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4-151
    • /
    • 2020
  • 작물을 재배하는 동시에 전력 생산도 가능한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농업·농촌 분야와 재생에너지 산업 모두로부터 주목 받고 있다. 하지만, 그 역사가 짧은 만큼 영농형 태양광 하부에서의 미기상 환경 변화에 대한 이해와 관측 방법론이 정립되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보성군에 설치된 영농형 태양광에서 2019년 11월 부터 2020년 5월까지의 보리 생육기간 동안 일사광, 광합성유효복사광, 기온, 습도, 토양습도·온도, 풍향·풍속을 5분 간격으로 측정하여 공개했다. 또한, 노지의 일사량 및 광합성유효복사량에 대한 약 13일 간의 자료 결손에 대해서는 가까운 기상청 관측 자료를 활용하거나 영농형 태양광 하부의 자료를 이용한 두 가지 경험적 메우기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고 자료가 영농형 태양광에 대한 농업적 평가에 다양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혁신확산이론을 기반으로 한 농촌 주민들의 태양광 에너지 수용성 연구

  • 안주형;정서용
    • 한국태양광발전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4-6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cceptance of solar photovoltaic energy use based on the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The study looks at a total of 27 rural residents - among them 15 who accepted solar photovoltaic energy through a support system and 12 who accepted solar photovoltaic energy through government support of the village. Paper-bas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o gather additional informa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relative advantages and observability are huge factors in a rural resident's decision to accept solar photovoltaic energy. In order to revitalize innovation in the use of solar photovoltaic energy, This study suggests that we must utilize relative advantages and reinforce trialable observations.

  • PDF

농업인의 영농형 태양광 수용의도에 관한 연구 - 확장된 통합기술수용이론(UTAUT2)을 중심으로 - (A Study on Farmers' Acceptance Intention of Agrophotovoltaics - Focusing on the Extended Unified Theory of Acceptance and Use of Technology 2 -)

  • 김원빈;안주영;심근호;엄지범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30권1호
    • /
    • pp.15-29
    • /
    • 2023
  • Recently,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renewable energy in the agricultural sector. Agrophotovoltaics, producing electricity while farming,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ceptance intention of Agrophotovoltaics. Using the UTAUT2 model, we designed a research model to examine the impact of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social influence, and investment utility on the intention to adopt Agrophotovoltaics through the mediation effect of the user's innovativeness. We conducted a survey on farmers and obtained 212 responses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effort expectancy and innovativeness significantly positively affected the intention to adopt Agrophotovoltaics. Furthermore, innovativeness was found to fully mediate the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expectancy, facilitating conditions, investment utility, and acceptance intention. This suggests that focusing supportive measures on innovative groups could promote the adoption of Agrophotovoltaics.

영농형 태양광 하부의 일사량 변화 분석을 위한 모의 차광 관측 실험 (Preliminary Experiment of the Change of Insolation under Solar Panel Mimic Shading Net)

  • 윤창용;최선웅;안규남;류재현;정회정;조재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58-365
    • /
    • 2019
  • 영농형 태양광 발전은 기존 농지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농지 보존과 일정 수확량 유지를 전제로 전기 생산도 병행하는 시스템이다. 최근 태양광 부지 수요 충족 및 농촌 경쟁력 제고를 위한 방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따라서, 본격적인 개발에 앞서 영농형 태양광 패널 하부에서의 경작지 차광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 작물 생육·수확량 변동 예측에 반드시 필요할 것이다. 본 실험은 연구용 영농형 태양광 건설에 앞서, 영농형 태양광 시설 규격과 유사한 모의 차광 시설을 설치하고 하부의 광합성유효복사량 특성을 분석하였다. 차광막 하부와 외부의 광합성유효복사량 차이는 일사광에서 산란광 비율이 낮아질수록 증가하였는데, 최대 17.08 mol/㎡/day (맑은 날), 최소 3.03 mol/㎡/day (흐린 날)이었다. 이러한 광 조건 변화는 벼의 초기 생육에 있어 초장의 증가와 주당경수의 감소를 가져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