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촌 지역경제 활성화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6초

농촌관광의 내재적동기와 음식선호에 대한 융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od Preferences and Intrinsic Motivation of Rural Tourism)

  • 강경심;이순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72-283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농촌관광 내재적동기와 음식선호의 관련성을 살펴봄으로써 농촌관광 음식상품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을 통해 농촌관광 내재적동기는 '여가지향', '가족지향', '관계지향', '건강지향', 음식선호는 '요리건강성', '재료기능성', '지역자원성', '소비체험성' 요인이 추출되었다. 상관관계 분석결과 '여가·건강지향'은 요리건강성, '건강·관계지향'은 재료기능성, '여가·가족·관계지향'은 지역자원성, 관계지향은 소비체험성과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므로 휴식과 힐링, 건강을 원하는 관광객에게는 건강한 요리를 제공하고, 가족 등과 여가 시간을 희망하는 관광객은 향토요리나 특산물요리를 제공하며, 사람과의 관계를 원하는 관광객은 기능성식품이나 한방약초 요리가 권장된다. 관광객 요구에 맞는 농촌관광 음식상품은 관광객의 만족도를 높임으로써 재방문을 유도하여 농촌관광의 확대를 통해 농촌 지역 경제 활성화를 가져올 것이다.

충청권 농촌지역 쇠퇴 특성 및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Declined Rural Area in Chungcheong Region)

  • 조진희;박형근;모혜란;이한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1호
    • /
    • pp.203-215
    • /
    • 2015
  •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쇠퇴도를 진단하고, 농촌생활권의 기초단위인 읍 면 지역에 대한 공간적 쇠퇴 특성과 유형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충청권 27개 시 군을 대상으로 거시적 차원의 쇠퇴수준과 잠재수준을 분석하여 도시차원의 쇠퇴현상을 진단한다. 다음으로 공간단위를 세분화하여 충청권의 274개 읍 면지역을 대상으로 쇠퇴수준을 분석하고, K-평균군집분석을 적용하여 쇠퇴유형 및 쇠퇴특성을 도출한다. 충청권 시 군 별 쇠퇴수준 및 잠재수준 분석결과, 충남지역의 청양군, 서천군, 태안군이 높은 쇠퇴도를 보이고 있으며, 충북지역의 전통적 낙후지역인 남부 3군(보은, 옥천, 영동)과 단양군, 괴산군의 쇠퇴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충청권의 읍 면지역 중 쇠퇴의 경향을 보이는 166개 읍 면지역에 대한 군집분석 결과 인구 및 주택 노후화지역(29), 경제기반 취약지역(16), 중심지접근성 취약지역(42), 주거환경 열악지역(51), 노령인구 취약지역(28)의 5개 군집유형의 쇠퇴특성이 도출되었다. 충청권 농촌지역의 쇠퇴특성과 유형화를 시도한 본 연구는 농촌지역 활성화 정책 수립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읍 면지역 차원을 넘어 농촌정체성의 기초단위가 되는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종합적인 진단과 맞춤형 정책발굴 연구가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강원.제주 장수지역에 있어 서비스기능의 생산연계와 혁신네트워크 -호남 장수지역과의 비교- (Production and Innovation Networks of Services in the Long-live Area of Gangwon.Jeju - In Comparison with Honam Region -)

  • 송경언;정은진;박삼옥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97-122
    • /
    • 2006
  • 생산활동으로서의 서비스기능 가운데 관광기능과 연구 지원기능의 생산연계와 혁신네트워크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지식정보화 시대의 이상적인 고령사회에 대비한 농촌지역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은 강원도와 제주도의 장수지역이고, 이와 비교를 위해 전주 광주와 호남지방 4개군이 조사되었으며, 조사는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농촌지역의 서비스기능은 지방자치 실시에 따라 지역 산업을 기반으로 활성화되고 있고, 혁신주체간의 네트워크가 서비스기능의 혁신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혁신주체간 네트워크는 관광기능과 연구 지원기능에 따라, 각 기능별로는 공간계층의 차이에 따라 상이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지식정보화 시대의 농촌지역 발전방향은 지역혁신 체계 구축을 위하여 혁신주체 간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가상혁신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 PDF

6차 산업화 영향요인 및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Factor and Efficiency Analysis of 6th Industrialization)

  • 손상철;이승희
    • 산업융합연구
    • /
    • 제15권2호
    • /
    • pp.7-16
    • /
    • 2017
  • 농업의 6차산업화는 농업의 융 복합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농촌지역의 선순환 효과를 촉진시키고 있다. 이에 지역별 효율성 분석 및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국내 6차산업화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분석 자료는 "2015년~2016년 농 식품 6차산업화 기초실태조사 연구" 보고서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DEA 및 Tobit 검증을 통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6차산업화는 소득증대 및 효율성 개선에 기여하고 있다. 두 번째, 연평균 농가 인구증가율, 2차산업 참여 비율은 부(-)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6차산업화 인지여부는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자료의 한계 및 정성적 요인, 외생변수 및 설명력 등의 한계가 있을 수 있지만, 지역별 6차산업화 효율성 제고를 위한 객관적인 시사점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정보통신기술과 농촌 경제: 한국과 일본 정보화마을의 사례 연구 (Can Information Technology Revive Rural Economies?: The Cases of E-villages in Korea and Japan)

  • 허우긍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28-742
    • /
    • 2008
  • 농촌의 부흥을 위하여 정보통신기술에 거는 기대가 크고, 정보화 사업이 도처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통신기술의 보급만으로는 농촌의 경제가 활성화되기 어렵다는 시각도 있다. 이 논문은 농촌의 정보화사업에 대한 이런 쟁점을 가리는데 목적을 두었다. 한국의 정보화 마을과 일본의 무라(촌(村))를 대상으로, 해당 마을의 홈페이지에서는 어떤 수익모델들을 채택하고 있으며 정보통신기술은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고객들은 얼마나 자주 이용하고 있는지, 또 수익은 얼마나 창출되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익모델의 활용과 성과가 전반적으로 기대에 못 미쳤으며, 한국보다는 일본 사례에서 그 성과가 다소 나은 것으로 밝혀졌다. 수익모델의 활용과 성과가 이처럼 미흡한 것은 운영자들의 경험 부족과 농촌 인력의 한계 등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결과는 농어촌의 정보화에 정보통신기술의 보급 못지 않게 인적 자원도 중요함을 부각시켰다.

허브를 이용한 일본의 지역경제활성화에 관한 연구 -일본(日本) Kawaguchikocho의 Herb Festival의 사례연구- (A study on local economy activation of Japan by herv -A case of herb festival in Kawaguchikocho Japan-)

  • 홍영록;조태동
    • 농촌계획
    • /
    • 제5권1호
    • /
    • pp.12-19
    • /
    • 1999
  • This study proposes the following directions on the basis of results gained from a survey in Yamanasihyun Kawaguchikocho, where the herb festival is successfully held, in order to activate the local economy by herb. 1) The herb education for person in charge in the local authorities, the promoter of herb festival, has to be preceded and the local residents should try to understand what the herb is. 2) For a successful herb festival in the aspect of local economy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detailed basic study and publicity including human -, natural environment, ecological conditions for herb should be peformed. 3) Herb event should have various programs and formats to arouse the user's interest and should be a place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PDF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충청북도 허브정책수립 및 적용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herb policy and its application of Choongbuk for the activation of local economy)

  • 조태동
    • 농촌계획
    • /
    • 제3권2호
    • /
    • pp.62-70
    • /
    • 1997
  • This study surveys the herb industry,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economy activation of the advanced countries, and by which Choongbuk, as one of local authorities, makes the first attempt in Korea. It describes the direction of the policy and application, came to a conclusion as follows. 1. Choongbuk is arranging a Herb garden as the first step in connection with the exsiting plan, It could be highly rated because there has been no example yet in korea and therefore it could involve risks. 2. The selection of site will be decided by the Do-authorities considering traffic network and accessibility. Therefore Shi and Gun authorities could have a passive and formal attitude for this policy. 3. The size of the herb garden, by modeling Japanese and European herb garden, will be 15000 pyung(4545m), From the point of view it is a start, the herb garden has still tasks to solve, e.g. lack of experience, organizational and technological problems.

  • PDF

지방 자치단체의 귀농지원 조례 분석 및 발전방안 (An Analysis of Ordinances for Rural Immigrant)

  • 최윤지;한송희;황정임;김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04-104
    • /
    • 2009
  • IMF로 인한 경제위기 시기에 도시에서 농촌으로 귀농 가구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났으나 이후 경제가 활성화 되면서 감소하였다. 연도별 귀농가구의 동향은 1998년 6,409가구를 정점으로 1999년에 4,118가구로 감소하였다가 2001년경에는 매년 1000가구 미만의 수준으로 하락하였으나 2008년 말 기준으로 2,218가구에 이르는 비교적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지방자치단체 특히 인구 과소화 시군에서는 도시민 유치를 위하여 경쟁적으로 귀농자 지원조례를 제정하여 정착하는 귀농인들을 지원하고 있다. 급기야 2009년 4월에는 중앙정부 차원에서 '귀농귀촌 종합대책'이 발표되었다. 도시에서 농촌으로 이주하는 원인으로는 농업을 직업으로 선택한 결과에 따른 것도 있지만 건강한 생활 및 웰빙 전원생활 영위를 위한 이주 등 그 원인이 다양화 되어 가고 있다. 이주하는 개인의 다양한 동기와 함께 지방자치단체의 지원책 또한 하나의 유인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귀농귀촌 인구가 증가세를 보이기 시작한 2000년대 중반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귀농귀촌인 지원대책이 시작된 시기임을 볼 때 그 연계성을 짐작할 수는 있으나 검증된 바는 없다. 그렇지만 귀농인의 입장에서는 선배 귀농인이 많이 거주하거나 지원정책이 잘 되어 있는 곳을 선택하게 될 가능성은 높은 것도 사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귀농인 지원을 위하여 각 지방자치단체가 제정한 지방조례의 내용과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2009년 6월 기준으로 전국 34개 시군에서 지방조례를 제정하였고 이중 13개 시군에서는 시행규칙도 완비하였다. 조례의 주된 내용은 귀농귀촌인에 대한 빈집수리비용, 의료 학자금, 영농정착금, 농지구입자금 등을 지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물론 그 지원 규모에 있어서는 다소의 차이가 있지만 귀농귀촌인에 대한 자금의 직접적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귀농자들이 지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하고 정주할 수 있으려면 직접적 자금지원을 벗어나 지역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지원해 주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지역농산물을 이용한 농촌프랜차이즈 사업화 성공 사례연구 - 경북 영주시 (주)정도너츠 사례를 중심으로 - (A Case Study of Successful Strategy for Farm's Franchise Commercialization through Local Agricultural Products - Focusing on the case of Jung Donuts Co. Ltd., in Yeongju, Gyeongbuk -)

  • 서민교;황보준;송지현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4권1호
    • /
    • pp.1-24
    • /
    • 2013
  • 본 연구는 경북 영주시와 프랜차이즈 기업인 정도너츠가 농촌프랜차이즈 사업화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이룬 사례 분석을 통해 농촌프랜차이즈 사업화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도너츠는 찹쌀도너츠를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외식프랜차이즈 기업으로 영주시 작목반과 협력하여 원료를 계약재배 하고 있다. 이런 농촌프랜차이즈사업의 이점으로는 첫째, 지역농산물의 안정적 판로개척에 큰 의미가 있다. 원재료의 대부분을 영주시 농산물로 사용함으로써 농가의 안정적 판로 역할을 한다. 둘째, 원재료의 안정적 수급으로 인해 합리적 가격 설정이 가능하다. 이는 생산자와 소비자에게 모두 해당되는 이점이다. 셋째, 고용증가의 효과가 있다. 프랜차이즈 본사, 가맹점에 대한 직원고용과 작목반의 인력 증가가 이루어져 고용을 증대시킨다. 마지막으로 지역 특산물의 홍보 효과이다. 프랜차이즈 기업이 전국적으로 가맹사업을 확산함에 따라 원료가 되는 품목의 마케팅적 홍보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성공적인 농촌프랜차이즈사업화를 위해서는 다음의 세 가지 요건이 필요하다. 먼저 체계적 물류시스템의 구축이다. 산지에서 직접 유통되어 전국 가맹점으로 납품되기 위해서는 안정적 물류시스템이 요구된다. 둘째 지속적인 연구개발 활동이다. 원재료 및 기기장비에 대한 연구 활동을 통해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상호 신뢰관계 구축이 필요하다. 각 주체 간 비전을 공유하며 함께 움직이는 신뢰 관계를 구축해야 장기적 사업 성과를 얻을 수 있다.

델파이 기법을 이용한 농업·농촌유산 유지·보전 평가지표 개발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Maintenance and Preservation of Agriculture and Rural Heritage)

  • 김은자;정원일;이유경;임창수
    • 농촌지도와개발
    • /
    • 제21권4호
    • /
    • pp.1191-1226
    • /
    • 2014
  • FAO의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및 국가중요농업유산(Agricultural and Rural Heritage)은 탁월한 보편적 가치뿐만 아니라 농촌의 지역경제 활성화와 농촌발전의 대안으로 그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농업 농촌유산을 지속가능하게 유지하고 보전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평가요소를 도출하고, 도출된 평가요소들을 체계화하여 평가항목과 평가지표를 구안하였다. 구안된 평가항목과 평자지표의 타당화를 위해 농업 농촌유산 관련 전문가 41명을 대상으로 총 3차의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5항목 31지표의 평가지표를 개발하였다. 평가항목의 경우 관리계획, 관리지원체계, 유산의 주변환경, 지역네트워크, 유산활용 중에서 관리지원체계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가지표의 경우 보전정비, 수행계획, 주민공동체 구성, 모니터링, 법령조례의 구비, 생태계관리, 경관적 조화성, 복원 및 전승계획, 주민역량강화 등의 순으로 그 중요성이 나타났다. 이는 국가중요농업유산 및 세계농업유산 지정 등 지역의 잠재적 문화가치를 창출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또한 다원적 자원을 활용한 지역개발사업 및 마을 소득화사업 추진시 탄력적으로 실무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