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 소하천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alculation of delivery ratio in Agricultural Catchment using SWAT (SWAT 모형을 이용한 농촌 소하천 유역의 오염부하량 유달율 산정)

  • Kim, Man-Sik;Jung, Se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17-1521
    • /
    • 2007
  •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국가하천이나 주요 지방하천에 대해서는 환경부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측정망을 통해서 꾸준히 수질자료가 축적되고 있으나 농촌유역의 소하천 수질개선 사업을 위해 필요한 수질관련 자료는 거의 없다. 최근에 와서 수질 정보 시스템의 개발 및 수질 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측정망의 확충 등과 같은 관리체계의 개선에 대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이에 소요되는 재원문제 등으로 채취빈도나 분석항목이 크게 미흡하다. 특히 조사가 유역이 크고 복잡한 복합유역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자연히 오염물질 유출에 미치는 변수가 너무 많이 개입되므로 해석자체가 특정유역에 제한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 과업에서는 농촌 소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실측 수질-유량 상관분석을 통한 수문모형을 구축하였고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2004)에서 제시한 토지계의 발생부하 원단위를 이용하여 SWAT 모형을 보정하였다. 보정된 모형을 이용하여 소유역별 1년(12개월) 오염물질 부하량 및 강우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현장실측을 통해 산정된 유달부하량과 모의 부하량과의 비를 이용한 유달율을 산정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a Water Quality Model for Streams in an Upland Agricultural Watershed (농촌 유역 상단부의 소하천에서 수질예측모형의 개발)

  • Choe, Hye-Suk;O, Gwang-Jung;Kim, Sang-Hye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3 no.1
    • /
    • pp.73-85
    • /
    • 2000
  • A water quality model was developed for small stream at a upland agricultural watershed. A control volume method was employed to digest the severe variability of stream shape, water quality and discharge at small streams. We estimated optimum reaction coefficients and model structure using a random number generation technique. The index of agreement and coefficient of efficiency were introduced for the model calibration criterion. As the result, the reliability of model parameter estimation could be improved. The applicability of model was tested by a set of sampling results at Yongduckchun in Kimhae. The variability of water quality reaction coefficient was explored through the observed data and using the developed model. model.

  • PDF

A Study on the Irrigation Reservoir to prevent Drying Stream (건천화방지를 위한 농업용수 개발방안)

  • Choi, Nag-Weon;Choi, Hyun-Il;No, Hwang-Won;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0-394
    • /
    • 2009
  •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지형여건상 최근 농촌지역 하천의 건천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전통적인 농촌지역 하천의 기능이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건천화 원인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은 극히 저조하다. 농촌지역 소하천의 건천화 원인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각각의 원인에 따라 방지 대책이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일률적인 방지책을 시행하고 있어 그 효율성이 불확실한 상태이다. 농촌지역 소하천 건천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기존 저수지 유지수량 미확보, 유휴지 난개발, 지하수 과다사용, 무분별한 하천개수, 하천 퇴사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원인분석 없기 때문에 개략적인 방지 대책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중소하천의 생태환경 건전성을 위해서 농업저수지를 비롯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용수 공급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정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유량 공급방안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농촌 소하천 유역에서 상류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는 우선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함에 따라 소하천들은 수문순환 과정이 인위적으로 단절되어 심각하게 건천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안정적인 하천유지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촌 소하천의 건천화에 따른 하천수의 부족은 용수확보의 불가능, 수질오염의 심화 등의 문제를 초래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손실을 가져오고 있으며 하천이 갖추어야할 친수공간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주민들이 여가 활용과 휴식공간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농업용저수지의 시설규모를 확장하여 추가적으로 하천유지용수를 확보함으로써 하천의 건천화를 예방하고 향후 확장 가능한 농업용수 전용저수지의 설계방향을 제시코자 한다. 기존저수지의 지역적 요소 및 환경적 요소를 감안하여 저수지 증고에 의한 재개발 방향을 검토 분석하여 물부족에 의한 하천 건천화를 예방하고 추가 용수량의 확보를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겠다.

  • PDF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Flood Inundated Scar of Rural Small Stream Area Using RADARSAT SAR Images (RADARSAT SAR 영상을 이용한 농촌지역 소하천주변의 침수피해지역 추정 연구)

  • Lee Mi-Seo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139-144
    • /
    • 2006
  • 농촌지역 소하천 주변의 홍수범람지역을 추정하기 위하여 강우와 구름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홍수기간의 데이터 취득이 가능한 RADARSAT 영상을 이용하였다. 대상 지역인 안성천유역의 1998년 9월 홍수시기에 대해서 홍수 전, 직후 그리고 후, 세시기의 RADARSAT 영상을 사용하였다. 5m DEM을 이용하여 정사보정을 한 후 RGB 합성방법과 ratio 방법을 적용하여 성환천과 학성천 합류지점에서 침수지역을 발견하였다. 침수지역은 두개의 하천이 합류하는 지점에서 발생하였으며, 하천의 통수능력을 상실하여 범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Urban Stream Velocity Measurement System Utilizing Ubiquitous Floaters and GIS (Ubiquitous Floater와 GIS를 활용한 도시하천 유속계측 시스템 개발)

  • Yi, Jae-Eung;Ji, J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4-218
    • /
    • 2007
  • 최근 들어 기상이변 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가뭄 및 홍수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가뭄과 홍수는 농촌지역에서도 피해를 발생시키지만, 특히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도시지역에서 막대한 피해를 유발시킨다. 도시유역 소하천에서 가뭄과 홍수로 인한 피해를 경감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속적이고 신뢰성 있는 하천유황 자료의 획득이 시급하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수집되고 있는 유황자료는 자료의 수집이 대하천에 편중되어 있고, 관측소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어 원하는 시점과 지점의 자료를 획득하기 힘든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언제 어디서나 쉽게 유황자료를 획득할 수 있는 관측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소하천 지리정보시스템과 ubiquitous floater로부터 발생된 유황자료를 결합하여 PC에서 원거리에 위치한 도시 소하천 흐름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홍수, 갈수와 같은 하천흐름의 이상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도시 소하천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cological Aspects of Stream in Rural Village (농촌마을 소하천의 구간별 특성에 관한 연구 - 농촌 주거지역 소하천의 구조,수질,식생을 중심으로 -)

  • 이춘석;라순애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3 no.1
    • /
    • pp.23-3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tructur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treams in rural village. The methods used in this study were measuring the section and surveying the vegetation of the stream at three points(upstream, inner village, downstream ) of 10 rural villag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average width of streams is 9 m, and the height of banks 3.1 m. the downstreams are the widest(average 10 m), and the inner-villages are the narrowest (average 8 m), and the slopes of basin are 7.33 %, 2.67 %, 1.39 % at upstream, inner-village, downstream respectively. 2) The downstreams are more contaminated than upstreams due to the sewage from the residents, especially livestock wastewater. 3) The dominant species in the streams are Persicaria thunbergii H. Gross (average Cover 17.76 %) and cumulus japonicas Sieb et. Zucc (average Cover 7.75 % ). 4) The average area covered by vegetation is 53.31 % the downstreams are covered 65.7 %, but inner-village area covered by vegetation is 46.6 %. 5) The problem found in this study are severe water contamination, poor accessibility to stream and poor vegetation of inner-village area, etc.

  • PDF

A Study on the Extraction of Flood Inundated Scar of Rural Small Stream Area Using RADARSAT SAR Images (RADARSAT SAR 영상을 이용한 농촌지역 소하천주변의 침수피해지역 추정 연구)

  • Lee, Mi-Seon;Park, Geun-Ae;Kim, Seong-J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9 no.11 s.172
    • /
    • pp.969-976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ace the flood inundation area around rural small stream by using RADARSAT image because it has the ability of acquiring data during storm period irrespective of rain and cloud. For the storm August 9, 1998 in the Anseong-cheon watershed, three RADARSAT images before, just after and after the storm were used. After ortho-rectification using 5 m DEM, two methods of RGB composition and ratio were tried and found the inundated area in the tributary stream, the Seonghwan-cheon and the Hakjeong-cheon. The inundated area had occurred at the joint area of two streams, thus the floodwater overflowed bounding discharge capacity of the stream. The progression of damage areas were stopped by the local road and farm road along the paddy. The result can be used to acquire the flood inundation data scattered as a small scale in rural area.

A Study on the Distribution of Underground Plant Biomass and its Effect on the Stream Bank Stability (농촌 소 하천 제방 상의 식물 근계 분포 현황에 따른 제방 지지 역할에 관한 연구 - 경남 진주시 농촌 소하천 유역의 대나무와 잔디를 대상으로 -)

  • Lee, Chun-Seok;Kim, Jung-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5 no.1 s.9
    • /
    • pp.95-10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stribution of underground biomass and its soil stabilizing effects. Bamboo and grass were examined and compared. 1. Thirty 'soil & root' samples were collected to the depth of 30cm with Impact-corer, and then divided into three sections(0-10cm, 10-20cm, 20-30cm). Each piece had a volume of $950cm^3$ and the underground biomass was separated from the soil particles by washing with flowing water. The average underground biomass rates of bamboo and grass were 10.8% and 4% of each sample, respectively. The rate of grass root biomass declined with depth, but the bamboo root biomass was at peak at around 20cm depth. 2. The shear strength was measured with con-penetration tester at each sample collecting site. Three measurements were made at each depth(0-10cm, 10-20cm, 20-30cm) and were compared with the impact counts needed to insert the corer to the depth of 30cm. The shear strength has clear correlations with underground biomass. The more underground biomass, the higher shear strength. The shear strength of bamboo was about three times larger than the gras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