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 경관

Search Result 349,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Landscape for Rural Sprawling Development (농촌 난개발요소 경관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 진안군을 사례로 -)

  • Yang, Hee Se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0 no.5
    • /
    • pp.305-316
    • /
    • 2021
  • Sprawling development factors in rural areas are adversely affecting the rural landscape and furtherthreatening the safety of localresidents. Through the case of Jinan-gun, the government intends to promote sustainable preservation and improvement of beautiful rural landscapes by studying landscape management plans for sprawling development factors and suggesting landscape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plans. In order to analyze the problems of the target site, opinions were collected through analysi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resident interview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case of Jinan-gun, odorreduction management in harmful facilities was the most urgent, and this study planned the relocation of harmful facilities and eco-friendly smart livestock districts.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shape indices through the comparison of regional woodland patches (지역별 산림패치 비교를 통한 형태지수의 특성분석)

  • Kim, Keun-H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16 no.1
    • /
    • pp.63-71
    • /
    • 2010
  • 지난 수십 년 동안 형태지수는 패치의 복잡성을 정량화하여 생물종 다양성 보존과 같은 경관생태계획에 활용되어 왔다. 지역계획 연구자들이나 정책결정자들에게 경관구조와 패턴을 정량화하는 경관생태지수는 대상지역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경관생태지수관련 연구를 살펴보면 연구 목적 및 범위에 따라 활용하는 경관생태지수의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복잡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연구목적에 적합한 경관생태지수를 선정하는 것은 복잡한 수학분석과 함께 많은 주의가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형태지수들을 도시지역, 도시외곽지역, 농촌지역 그리고 산림지역 등 4군데 사례지역에 적용하여 그 결과를 통해 형태지수들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평균형태지수값(MSI)에서는 도시외곽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평균프랙텔차원지수(MPFD)에서는 농촌지역이 높게 나타났다. 넓은 면적을 가진 패치에 가중점을 고려한 평균형태지수값(AWMSI)과 평균프랙텔차원지수값(AWMPFD)에서는 산림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사용한 네 가지 형태지수값의 순위가 4군데 사례지역에서 다르게 나타났다. 특히 둘레와 면적의 로그전환을 이용하고 있는 프랙텔차원지수들의 경우, 도시와 도시외곽지역의 MPFD값은 같고, 도시외곽지역, 농촌지역과 산림지역의 AWMPFD값 차이는 적어 순위 분별력이 떨어졌다. 따라서 넓은 면적을 가진 패치에 가중점을 고려한 평균형태지수(AWMSI)가 지역별 산림패치의 복잡성을 잘 정량화할 수 있음을 본 연구결과에서 보여주고 있다.

Industrization of Natural Plant Resources (자원식물의 산업화)

  • Lee, Cheol-Hee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0.05a
    • /
    • pp.8-8
    • /
    • 2010
  • 자원식물을 소재로 이용하는 생물산업은 21세기 경제성장을 주도할 핵심기간산업이며, 미래형 고부가가치산업이다. 현재 지구상에는 약 55만종의 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은 천연 강우림 등의 미개척지가 상당수 존재하고 있어 더욱 많은 종들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자원식물들 중에는 작물로의 개발이 가능하거나, 개발할 필요성이 높은 식물들이 많이 있다. 자원식물들은 예로부터 식용, 약용, 관상용, 유지용, 기호용, 밀원용, 섬유용, 향신료용, 향료용, 당료용, 호료용, 염색용, 수지용, 탄닌용 등으로 구분되어 이용되어 왔다. 자원식물은 종에 따라 꽃, 줄기, 잎, 뿌리 및 종자 등 부위별로 다양하게 산업적 소재로 활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건강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다양한 건강 기능성 상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관련 시장이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다. 특히 자원식물 등 천연물을 소재로 한 건강 기능성 상품은 안전성이 보장되며 우수한 생리활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자원식물을 소재로 한 건강 기능성 상품의 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다양한 자원식물을 대상으로 이들의 활용가치를 분석하여 상품화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또한 주 5일제 실시 및 여가활용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농촌 경관산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농촌 경관산업은 국민의 여가선용 및 복지향상에 효과적일 뿐 아니라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관광산업으로써 지역 이미지 강화를 통한 지역 홍보, 지역 내 일자리 창출 및 경관산업에 사용된 생물소재를 이용한 바이오산업의 활성화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또한 농촌 경관산업은 자연과 농촌을 활용한 자연 친화형 관광단지를 조성하여 친환경, 고부가가치형 종합산업을 추구하는 추세이다. 그러므로 경관산업 및 이를 활용한 바이오산업의 소재로써 자원식물의 역할은 매우 클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각 지역에 자생하는 고유의 자원식물을 활용하면 지역 특화 경관산업 및 바이오산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 및 친환경 건강 기능성 상품에 대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친환경 건강 기능성 소재 개발과 농촌 경관산업을 활용한 생물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산업적 가치가 우수한 자원식물의 다양한 기능을 분석하고, 각 자원식물별로 특성에 맞는 개발 방안을 구축하여 다양한 산업화의 소재로 활용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 Study on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Rural Landscape Houses to be based on the Authentication System for Landscape Housing Selection of Samcheok City (삼척시 경관인증 기준에 따른 농촌경관주택의 건축적 특징)

  • Choi, Jang-Soon;Kim, Jin-Wo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6 no.4
    • /
    • pp.17-24
    • /
    • 2014
  • To make the beautiful rural landscapes, the Samcheok city of provincial governments is implementing the authentication system about rural landscape housing as one of various landscape policies. This authentication system about the landscape housing is to select the better rural landscape houses to harmonize with surrounding ground plots, ground shapes, villages, mountains and natural environments of landscape houses submitted by house owner every year.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authenticated rural landscape houses and to propose the improvement directions by analyzing architectural features about the rural landscape houses selected by the municipal architecture committee of Samcheok city.

Landscape Assessment and Interpretation in Rural Area Through Analysis of the Physical Housing Environments -Focused on the Province Gyeonggi- (농촌의 물리적 주거환경 특성분석에 따른 경관평가와 해석에 관한 연구 -경기도 농촌을 중심으로-)

  • Lee, Sang-Kyu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 /
    • v.12 no.1
    • /
    • pp.65-74
    • /
    • 2010
  • Physical housing environments of the rural area including houses and its connected facilities have much changed for decades. Such changes had an effect on the landscape of the rural area to much extent. As houses were renovated or rebuilt in rural area, the landscape were also remade. It could be expected that these changes of the physical housing environments are related with both urban developments and demands of the rural area itself. Thus, some rural areas in Gyeonggi province as the most related cases with urban area were chosen for a case study. On the methodology of the landscape assessment, the landscape factors related with housing environments were reviewed and some connected queistions were also interviewed. Landscape Assessment should include various social and cultural aspects, but in this thesis the visible factors are integrated. So considering many support policy oriented for physical investment and improving in rural areas, landscape assessment and interpretation are very helpful and meaningful.

Effects of Fragmentation on the Bird Community in Agricultural Landscapes (농촌 경관에서 파편화가 조류 군집에 미치는 영향)

  • 박찬열;이우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1
    • /
    • pp.22-33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agmentation on the bird community in Seongduck-ri and Hanggum-ri agricultural landscapes of Kangha-myon, Yangpyong-gun, Kyonggido. We analyzed the composition of tree species, forest environmental structures, structures of agricultural landscapes, avifaunas and guild structures. Number and density of tree species ranging from 6 to 10cm in D.B.H. were high in Seongduck-ri, but basal area was high in Hanggum-ri. Coverages of foliage layers under two meters and over 12 meters were high in Hanggum-ri. Meanwhile, Seongduck-ri agricultural landscapes consisted of twelve patches, dominated by Larix leptolepsis and Robinia pseudoacacia Hanggum-ri landscapes was composed of eleven patches, and dominated by Pinus rigida, Castanea crenate, Larix leptolepsis and paddy field. Dominant bird species showed the same order in two study areas, thirty-six species of birds were observed in Hanggum-ri landscapes, but twenty species were in Seongduck-ri landscapes.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belonging to hole-, bush-, ground-nesting and water-, bush-, ground-foraging guild were high in Hanggum-ri landscapes.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belonging to hole-nesting guild showed the high value in Hanggum-ri landscapes that was not fragmented. It could be attributed to the low human disturbance and relative high density of medium and large trees in D.B.H. Also, number of species and density belonging to bush-, ground- and water- foraging guild showed the high value in Hanggum-ri landscapes that had the high foliage amounts in the foliage layer under two meters. It will be related with the paddy field, dry field and brook, which patches covered the 28.4% of Hanggum-ri landscapes. Therefore, road not only dominate the heterogeneous patch in agricultural landscapes, but also easily cause the human disturbance. Thus, road construction would decrease the natural patch diversity and edge effects that are important for sustaining the diverse avifauna in agricultural landscapes.

Characteristics of the Dangsan Forests at Ijeon-ri, Cheongsong-gun and Perspectives on Conservation Scheme (청송군 이전리 당산숲의 경관 특성 및 보전 방안)

  • Choi, Jai-Ung;Kim, Dong-Yeob;Rhee, Sang-Yo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2 no.2
    • /
    • pp.106-115
    • /
    • 2014
  • Traditional village forests called Dangsan forests represent unique cultural landscape as a national cultural asset in Korea with a history of more than several hundred years. Cultural heritage can retain their value when they are fully sustained their authenticity and management scheme. The Dangsan forests established in a large area have been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by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Small scale Dangsan forests, however, are not introduced to the public and on the verge of disappearance. Dangsan forests have a value as a core landscape element in rural landscapes of Korea. The two villages at Ijeon-ri, Cheongsong-gun have small Dangsan forests where Dangsan ritual is performed. At one of the villages, there is Jusanji Reservoir designated for Scenic Site # 105, from which the water is used for growing crops. In this study, the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the Dangsan forests were investigated including rice paddy field, stream, and the Jusanji Reservoir. A conservation measure of rural landscape for sustainable management scheme was suggested by designating 'Conservation area of agricultural landscape ecology'. Dangsan forests, especially where they are in small scale like those of Ijeon-ri, tend to be neglected. The Dangsan forests ought to be recognized for their value and by providing a management scheme including neighborhood elements such as farm fields and streams they can be revitalized to be core areas for conservation of rural landscape.

A Study on Survey and Analysis of Landscape Pla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in Rural Areas -Focus on Byeongyeong-myeon, Gangjin-gun, Jeollanam-do- (농촌지역민 삶의 질 개선을 위한 경관계획 조사·분석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강진군 마량면을 중심으로-)

  • Jeong, Gun-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8 no.12
    • /
    • pp.133-138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thods to activate and functional changes of rural centers to improve residents' quality of life and secure sustainability in rural areas. The existing policy for activating rural centers lacks for placeness because walking-focused features of a Myeon seat have been changed due to the improvement of physical environment for easy car accessibility. They also wanted to solve abandoned houses and secure parking lots in the landscape plan. Based on analysis results, design guidelines were suggested. Long-stay tourism programs for outside visitors should be developed through the rural center activation project. They should be linked with projects for preserving the history of Byeongyeong Fortress and developing Hamel Village. Mountain trails and waterfront should be created to enhance accessibility and linkage methods with other resources should be prepared. As Byeongyeong-myeon has various tourism resources, design guidelines for each element should be made for a macroscopic direction and systematic landscape management.

An Advanced Methodology of Landscape Character Assessment (진보된 경관특성평가 방법론)

  • Kim Keun-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3 no.3 s.110
    • /
    • pp.1-17
    • /
    • 2005
  • 오늘날 지속가능한 발전의 주요 목적으로서 환경의 효과적 보호와 신중한 자연자원의 이용이 강조된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성취하기 위해서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필수적이다. 한국의 경우, 도시화는 전통적인 농촌 경관 변화, 산림 손실과 단편화 등 많은 환경 문제를 야기했다. 특히 산림이 높은 생물 다양성 가치를 갖고 있는 한국으로서는 산림 손실과 단편화는 생태관점에서 보면 아주 치명적이다. 현재 개인 또는 공공 부분 개발 프로젝트를 위한 환경 영향 평가의 일부분으로 시각 경관 영향 평가가 요구된다. 그러나 이런 시각 경관 영향 평가는 단지 전체 경관의 일부분의 경관 정보만을 제공하고, 특히 현재 경관 평가에서는 경관의 생물 다양성 가치를 평가하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한국 상황에 맞는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필수적인 종합 경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경관 특성과 생물 다양성 가치 평가를 위한 생태 이질성 지수를 결합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방법론을 통해 경관 특성 평가에서 12가지 경관 특성 유형(type)을 분류하였고 그것의 분포, 경관 특성적 형태, 경관 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개발 압력 등을 분석하고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과 산업 단지 개발, 농지 형질 패턴 변경, 수변 공간 개발 등이 주요 개발 압력으로 나타났다. 경관 생태 이질성 평가 결과에서는 도시근교 지역과 농촌 경관 특성 유형 지역에서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높았다. 산림 지역 경관 특성 유형에서는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가 중간 수치로 나온 반면 도시 경관 특성 유형에서의 잠재적 생물 다양성 가치는 아주 낮았다. 비록 제한된 데이터와 경관 생태 이질성 지수 사용으로 인한 문제점들(스케일 종속적, 변화 패턴이 예측하기 힘든 지수, 자의적인 분류시 다른 결과 발생, 더 종합적인 생물 다양성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다른 경관 생태 지수 필요 등)이 제기되었지만, 이 연구에서 제시된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을 통해 얻은 종합적인 경관 정보가 지속가능한 경관계획을 할 때 어떻게 잘 활용되어질 수 있는지 예로써 증명하였다. 그 결과 진보된 경관 특성 평가 방법론이 지속가능한 경관 계획을 위한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