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하천

Search Result 19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Irrigation Reservoir to prevent Drying Stream (건천화방지를 위한 농업용수 개발방안)

  • Choi, Nag-Weon;Choi, Hyun-Il;No, Hwang-Won;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0-394
    • /
    • 2009
  •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지형여건상 최근 농촌지역 하천의 건천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전통적인 농촌지역 하천의 기능이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건천화 원인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은 극히 저조하다. 농촌지역 소하천의 건천화 원인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각각의 원인에 따라 방지 대책이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일률적인 방지책을 시행하고 있어 그 효율성이 불확실한 상태이다. 농촌지역 소하천 건천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기존 저수지 유지수량 미확보, 유휴지 난개발, 지하수 과다사용, 무분별한 하천개수, 하천 퇴사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원인분석 없기 때문에 개략적인 방지 대책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중소하천의 생태환경 건전성을 위해서 농업저수지를 비롯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용수 공급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정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유량 공급방안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농촌 소하천 유역에서 상류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는 우선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함에 따라 소하천들은 수문순환 과정이 인위적으로 단절되어 심각하게 건천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안정적인 하천유지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촌 소하천의 건천화에 따른 하천수의 부족은 용수확보의 불가능, 수질오염의 심화 등의 문제를 초래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손실을 가져오고 있으며 하천이 갖추어야할 친수공간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주민들이 여가 활용과 휴식공간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농업용저수지의 시설규모를 확장하여 추가적으로 하천유지용수를 확보함으로써 하천의 건천화를 예방하고 향후 확장 가능한 농업용수 전용저수지의 설계방향을 제시코자 한다. 기존저수지의 지역적 요소 및 환경적 요소를 감안하여 저수지 증고에 의한 재개발 방향을 검토 분석하여 물부족에 의한 하천 건천화를 예방하고 추가 용수량의 확보를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겠다.

  • PDF

Identification of Critical Source Areas on Water Quality in a Rural Watershed (하천수질자료를 이용한 농촌하천유역 오염원의 규명)

  • Hong, Seong;Kwun, Soon Kuk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 /
    • v.43 no.5
    • /
    • pp.145-152
    • /
    • 2001
  • 농촌유역하천에서 수집된 수질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주요 오염원을 규명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수질항목은 BOD, COD. EC, pH. TN, TP,$NO_3-N,PO_4-P$ 등으로서 하천 본류내 구간별로 쌍대비교를 통해서 항목별 차이에 대한 유의성 검정을 하였다. 유의성 검정에 이용된 방법은 쌍대비교를 위한 비모수검정법인 Wilcoxon 순위검정법을 이용하였다. 검정결과, 유기성 오염물질의 지표로 이용되는 BOD와 COD가 상승하는 구간은 주로 생활하수가 유입되는 구간으로 나타났다. 인구밀도가 매우 높으나 생활하수가 처리장으로 배제되는 지역의 하천구간에서는 이들 농도변화는 없었다. 유역 내 축산농가가 밀집되어 있는 지역의 하천구간에서도 농도의 변화 또한 존재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유역에서와 같이 축산분뇨를 퇴비화 및 농지환원하는 경우에는 하천수질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농촌지역의 하천 수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생활하수에 대한 처리가 선행되어야 한다.

  • PDF

A time rivers outflow interpreting according to an agriculture reservoir operation (농업용저수지 운영에 따른 시기별 하천유출 해석)

  • Oh, Seung-Tae;Kim, Jin-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73-177
    • /
    • 2007
  • 현재 농업용수 이용량은 158억$m^3/yr$로 우리나라 전체 수자원이용량의 48%에 해당되며 하천유지수량을 제외하였을 경우 61%에 해당된다. 농업용수의 이용은 노후화된 농업수리시설과 관리기술 부족 등의 원인으로 이용효율이 낮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황을 뒷받침해 줄 측정 및 조사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농업용수의 물관리 연구는 장기간의 신뢰성 있는 수문자료의 획득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물관리 상황을 조사파악하는 것이 중요한다. 이러한 자료의 축척은 체계적이고 일관되게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농촌공사에서는 2000년에 경기도 용인에 위치한 이동저수지 유역을 종합시험지구로 선정하여 운영하게 되었다. 이동시험지구는 경기도 용인시, 평택시, 안성시, 사이에 위치한 전형적인 농촌지역이다. 저수지와 양수장 시설이 복합적으로 운영되어 농업용수를 공급하는 지구로 농업용수의 물관리 연구 수행을 위해 적합한 지역이다. 이동시험지구에 강우계, 저수지 수위계, 하천 수위계, 수로 수위계를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유지 관리 및 자료수집을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농촌지역 수문자료를 축척하고 있다. 이동시험지구의 운영은 농업용수 물관리와 관련된 체계적이고 신뢰성 있는 장기간의 수문자료를 축척하고 축척된 현장 자료의 분석을 통해 물관리 기초자료를 계량화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농업용 저수지의 용수공급 운영에 따라 하천에서의 유출특성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농업용저수지가 하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시험지구 덕성교 하천수위관측지점의 하천유출율은 65 %, 재인교 하천수위관측지점의 경우 하천유출율은 60 %를 나타내었다. 이동유역의 경우 상류에 저수지가 있으며 저수지의 시기별 저수상태와 강우량에 따라 유출에 영향을 받고 있다. 1월에 상류 저수지의 저수상태가 만수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예년에 비하여 많은 강우가 발생하여 저수위 조절 차원에서 인위적으로 방류한 양이 많았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두 지점의 1월 유출이 100 % 이상인 것은 동절기 하천 결빙으로 인한 유량파악이 힘든 것으로 나타났다. 1월의 하천수위는 계측기에 기록된 수위값으로 유량을 산정한 것이다. 3월, 10월, 12월의 유출이 많은 것은 전월말 발생한 강우의 영향으로 크게 나타났다.

  • PDF

Evaluation and analysis of future flood probabilities in rural watershed based on probability theory (확률론 기반 농촌 유역의 미래 홍수 확률 평가 및 분석)

  • Kwak, Jihye;Lee, Hyunji;Kim, Jihye;Jun, Sang Min;Kim, Seokhyeon;Kim, Sinae;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87-187
    • /
    • 2022
  • 우리나라의 농촌 유역은 크게 1) 상류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 2) 저수지 방류부, 3) 저수지 하류하천, 4) 하류 농업 지대로 구성된다. 이들 모두 유역의 홍수·침수와 연관되어 있으나 각각의 설계 빈도가 서로 달라 일시에 수용 가능한 수자원의 양이 상이하다. 예컨대 극한 강우가 발생한 경우 PMP를 고려하여 설계된 저수지에서는 유입 홍수량이 통제될 수 있으나 50-200년 빈도로 설계된 하류하천에서는 측면 유입량 때문에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유역의 홍수 확률을 산출할 때에는 유역 구성지역별 홍수 확률을 산정한 후 종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특히 농촌유역의 경우 하류하천 및 농경지의 설계 빈도 기준이 도시에 비해 낮아 유역 구성요소 간 처리 가능한 수자원 양의 차이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 유역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한편,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 강우 사상의 빈도가 잦아짐에 따라 유역 내 홍수의 발생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농촌 유역의 홍수 발생 여부 파악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CMIP 6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의 GCM (General Circulation Model) 기상산출물을 농촌 유역에 적용함으로써 미래 농촌 유역의 홍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CMIP 6의 GCM 산출 기상자료의 시간 단위는 24시간 혹은 3시간으로 시간적 해상도가 낮으므로 유역 홍수 모의를 위하여 GCM 산출물의 시간 분해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MRC (Multiplicative Random Cascade) 모형을 기후변화 시나리오 기상자료에 적용함으로써 강우 자료의 시간 분해를 수행하고, 시간 분해 결과물을 활용하여 농촌 유역의 미래 홍수 확률을 산정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농촌 유역의 홍수 확률 산정 기법에 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cological Role of Urban Stream and Its Improvement (도시하천의 생태학적 역할과 개선방안)

  • Son, Myoung-W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4 no.1
    • /
    • pp.15-25
    • /
    • 1998
  • A stream plays an important role as the source of drinking water, the ecological space and the living space. But the today's urban stream whose ecosystem is destroyed and water quality become worse in consequence of covering, concrete dyke construction, and the adjustment of high-water-ground[dunchi], is deprived of the function as a stream.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role that urban stream plays ecologically and to try to find a improvement to the problem. A stream is the pathway through which several types of the solar radiation energy are transmitted and the place which is always full of life energy. In the periphery of a stream, primary productivity is high and carrying capacity of population is great. Thus ancient cities based on agricultural products grew out of the fertile surroundings of stream. In Korea most cities of the Chosen Dynasty Period based on the agriculture have grown out of the erosional basins where solar energy is concentrated. The role of a stream in this agricultural system is the source of energy and material(water and sediment) and a lifeline. In consequence of the growth of cities and the rapid growing demands of water supply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 stream has become a more important locational factor of city. However, because cities need the life energy of urban streams no longer, urban streams cannot play role as a lifeline. And As pollutant waste water has poured into urban streams after using external streams' water, urban streams have degraded to the status of a ditch. As the results of the progress of urbanization, the dangerousness of inundation of urban stream increased and its water quality became worse. For the sake of holding back it, local governments constructed concrete dyke, adjusted high-water-ground[dunchi], and covered the channel. But stream ecosystem went to ruin and its water quality became much worse after channelization. These problems of urban stream can be solved by transmitting much energy contained in stream to land ecosystem as like rural stream. We should dissipate most of the energy contained in urban stream by cultivating wetland vegetation from the shore of stream to high-water-ground, and should recover a primitive natural vigorous power by preparation of ecological park.

  • PDF

Network Modeling of Paddy Irrigation System using ArcHydro GIS (ArcHydro를 이용한 GIS기반의 관개시스템 네트워크 모델링)

  • Park Geun-Ae;Park Min-Ji;Jang Jung-Seok;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53-57
    • /
    • 2006
  • 현재, 많은 분야에서 데이터 모델링을 지원하는 GIS관련 프로그램으로 ArcObject 컴포넌트를 제안하고 있다. 특히 수자원분야에서 유역과 하천네트워크의 정확하고 효과적인 표현을 위해 ArcHydro Model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군 고삼면의 안고용수구역을 대상으로 ArcHydro Model을 이용하여 관개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위해 유역경계, 하천망, 수리시설물의 위치도, 수혜구역도 등의 기본 공간자료들을 구축하고, 이 자료들을 이용하여 수리시설물에 따른 수혜구역을 가시적으로 확인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하천의 위상관계를 정립하고 공간자료간의 연계성을 구성하였다. 또한 수리시설물의 농업용수 수요공급량의 정량적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ArcHydro Model에 한국농촌공사에서 개발한 AWDS (Agricultural Water Demand and Supply Estimation System. 농촌용수 수요공급량 시스템)와 연계하고, 시설물정보, 수요량분석, 공급량분석을 할 수 있는 메뉴를 구성하여 그 정보를 획득하였다.

  • PDF

Flood Stage Analysis on Vegetated Patterns with River Sites (하천유형별 식생모델의 홍수위 분석)

  • Lee, Jong-Seok;Song, Joong-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1
    • /
    • pp.452-460
    • /
    • 2010
  • This study carried out stability evaluation for design flood stage of vegetation models with river sites using 1D HEC-RAS and 2D RMA-2 numerical models. The vegetation models establish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which channel reaches consist of urban, rural and mountain rivers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sites. Examination results from the numerical models showed a similar aspect with the design flood stage of these rivers before vegetation modeling. Also, no embankment overflow was shown from the urban river with additional vegetation density of 25%, although there were approximately 0.20m rising in the flood stage. In case of ural and mountain rivers, vegetation models showed scarce rising in flood stage.

Development of Inundation Simulation Method for Unmeasured Farmland (미계측 농경지 침수 모의 기법 개발)

  • Jun, Sang Min;Hwang, Soon Ho;Lee, Hyun Ji;Choi, Soon Kun;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84-384
    • /
    • 2019
  • 기후변화 및 집중호우 등으로 최근 농경지 침수 피해는 증가하고 있다. 농경지 침수 피해에 대한 대책 수립을 위해서는 수리 수문 모델링을 통한 침수 피해 예측이 선행되어야 한다. 농경지 침수 모의를 위해서는 유역 특성 자료, 농경지 특성 자료 및 하천 특성 자료 등을 구축해야 한다. 하지만 농경지 면적, 배수 구획, 표고 등과 농촌유역 소하천 단면 특성 자료는 측량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미계측 농경지의 침수 모의를 위해서는 농경지 및 하천 특성 자료를 생성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농경지를 대상으로 자료 생성 및 침수 모의 기법을 개발하고 적용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측량 자료가 존재하는 청미천 유역 단평지구를 대상지구로 선정하였으며, 항공사진, KRF (Korea reach file) 자료, DEM (Digital elevation model), 항공사진 등을 이용하여 하천 및 농경지 특성 자료를 생성하였다. 측량 자료와 생성 자료를 이용하여 하천수위 및 농경지 수위를 각각 산정하고, 배수지연 등 농경지의 수문 특성을 반영하여 침수 모의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미계측 농경지의 침수 모의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Calculation of delivery ratio in Agricultural Catchment using SWAT (SWAT 모형을 이용한 농촌 소하천 유역의 오염부하량 유달율 산정)

  • Kim, Man-Sik;Jung, Seung-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17-1521
    • /
    • 2007
  • 현재 우리나라의 경우는 국가하천이나 주요 지방하천에 대해서는 환경부 등 지방자치단체에서 측정망을 통해서 꾸준히 수질자료가 축적되고 있으나 농촌유역의 소하천 수질개선 사업을 위해 필요한 수질관련 자료는 거의 없다. 최근에 와서 수질 정보 시스템의 개발 및 수질 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측정망의 확충 등과 같은 관리체계의 개선에 대한 노력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이에 소요되는 재원문제 등으로 채취빈도나 분석항목이 크게 미흡하다. 특히 조사가 유역이 크고 복잡한 복합유역을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자연히 오염물질 유출에 미치는 변수가 너무 많이 개입되므로 해석자체가 특정유역에 제한되기 마련이다. 따라서 본 과업에서는 농촌 소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실측 수질-유량 상관분석을 통한 수문모형을 구축하였고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수계오염총량관리기술지침(2004)에서 제시한 토지계의 발생부하 원단위를 이용하여 SWAT 모형을 보정하였다. 보정된 모형을 이용하여 소유역별 1년(12개월) 오염물질 부하량 및 강우유출량을 산정하였으며, 현장실측을 통해 산정된 유달부하량과 모의 부하량과의 비를 이용한 유달율을 산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