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촌의 변화

Search Result 1,182,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Prediction of Future Agricultural Land Use Change of Geum River Basin using CLUE-s (CLUE-s 모형을 이용한 금강권역의 미래 농업지역 토지이용변화 예측)

  • Son, Moobeen;Kim, Jinuk;Lee, Yonggwan;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31-131
    • /
    • 2020
  • 우리나라는 농산물시장개방이후 휴경면적의 증가, 농지전용, 도시화의 가속화, 시설작물 재배면적 변화 영향에 의한 논과 밭의 이용 패턴변화 등으로 농촌지역의 토지이용구조가 변화되어 왔다. 이는 곧 국내 토지이용패턴의 변화로 연결되고, 농업구조의 변화는 농촌경관, 농업용수 이용, 농촌지역 비점오염 물질 발생패턴의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권역을 연구지역으로 하여, 농업지역의 토지이용변화 중 논 내 시설작물 재배면적 변화에 주안점을 두고 토지이용변화 예측모형인 CLUE-s(Convers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at Small regional extent)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농업지역의 토지이용변화를 예측하고자 하였다. CLUE-s 모형의 입력 자료로 국가수자원관리종합시스템(WAMIS)의 1980~2010년까지 5년 간격 토지이용 통계자료 및 환경부 2008, 2013년 중분류 토지이용 자료에서 금강유역을 추출하여 구축하였다. 모형의 입력자료를 위해 토지이용 항목을 총 7개(수역, 시가지, 논, 밭, 시설재배지, 산림, 초지)로 분류하고 특별토지이용 정책 자료로 농업진흥구역도 및 국토환경성 평가도를 이용하였다. 관측자료의 경향을 이용하여 환경부 중분류 토지이용 변화를 기준으로 농업지역(논, 밭, 시설재배) 변화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농업지역 변화에 따른 수문 및 수질의 영향을 파악하고 미래 토지이용 변화에 따른 농촌지역 비점오염 물질 발생패턴 등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New Direction of Rural Underemployment and Non-Farm Employment (농촌지역 불완전고용 해소와 농업의 일자리 확대 방향)

  • Lee, M.S.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20 no.2
    • /
    • pp.13-29
    • /
    • 2018
  • Currently, rural labor markets are undergoing a structural change in which the proportion of non-agricultural industries is increasing, instead of decreasing the proportion of agri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licy for job creation in rural areas through analyzing the employment situation in Rural Korea in the context of this structural change. Using the Census of Agriculture, Farm Household Economy Survey, we analyzed the increase of low income farmers and self-employed farmers. We analyzed the changes of non-farm employment in rural areas using the Census on Establishment.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rms' pathways are very diverse by the levels of income from their own farming and other gainful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development pathways of farm household. Second, most of the farms are in low-income and self-employment status. In order to increase their incom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non-farm income earning policy. The rural non-farm economy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rural Korea. The growth of the non-farm economy will be crucially important when it comes to creating new jobs in rural areas in rural Korea.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 for rural entrepreneurship as a core policy for expanding jobs beyond agriculture. Rural entrepreneurship has the potential to drive innovations that can reduce poverty and create employment. Fourth,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to increase jobs in the welfare field, which is growing fastest in recent years. In the welfare field, we can find vigorous collective actions in some rural communities such as community business, cooperative movement and various community development activities. Those activities will help increase the employment of aged farmers and low-income farm household.

Changes of Treatment Efficiency According to Seasonal Variation in Rural Area (계절에 따른 농촌 지역 하수종말처리장의 처리 효율 변화)

  • Im, Jiyeol;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7 no.3
    • /
    • pp.311-319
    • /
    • 2015
  • The Korean government has made progress in its project for sewage distribution in rural areas to ensure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and its water conservation system. The project for sewage distribution in rural areas was analyzed with the yearly operational results of municipal wastewater treatment plant (MWTP). The sewage characteristics of the MWTP in a rural area changed according to seasonal variations, and the lowest pollution concentrations were obtained in the summer. The treatment efficiency of nutrients in the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changed slightly more than the treatment efficiency of organic compounds, and the lowest treatment efficiency was obtained in winter.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eatment efficiency and retention time and F/M ratio showed similar results despite seasonal variations. It was considered that sewage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efficiency changed according to seasonal variations when the treatment process was selected in MWTPs in rural areas. Especially, Maintenance of MWPT is need for the stable treatment efficiency of nutrients in the winter.

Analysis of Disaster Vulnerability Impact on Climate Change Scenarios for Agricultural Reservoir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농업용 저수지의 재해 취약성 변화 분석)

  • Kwon, Hyungjoong;Kim, Sunjoo;Kang, Seungmook;Park, Hyunjun;Kim, Haed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43-243
    • /
    • 2017
  • 산업화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는 심각한 기후변화의 원인으로 작용하여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세계는 이에 대응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지구온난화 및 엘리뇨 현상 등으로 인하여 가뭄, 홍수, 한파, 혹서 등의 재해와 기상이변이 속출하고, 최근 들어서는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가뭄이 발생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IPCC 제5차 평가보고서에 의하면 최근 10년간 전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은 이전보다 급격이 증가하였고, 우리나라 온실가스 총배출량도 1990년대에 비해 약 100%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농촌지역에서의 주요 기후변화 영향은 농업용수의 가용성과 적정 공급, 식량 안보, 농업 소득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농업이나 물, 산림, 생물 다양성 등을 위한 추가적인 적응 대책을 농촌지역의 발전을 위한 의사결정 차원의 정책으로 실행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고 있다. 미국, 영국, 일본 등 주요 선진국에서는 기후변화 관련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여 자국의 기후변화 적응 프로그램을 이미 시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기후변화에 대비하기 위하여 체계적인 현실적인 적응 전략 도출을 위한 필요기술을 개발함으로서 농업용수 뿐만 아니라 수자원 관리 기술 및 시설물의 적응 역량을 강화하는 것이 절실한 실정이다. 농업분야에 있어서는 "농업 농촌 및 식품산업 기본법"의 제47조의2, 시행령 제19조의2 제1항, 시행규칙 제5조에 의하여 "기후변화가 농업에 미치는 영향과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 조사 평가"에 관한 기준을 제정하였다. 이러한 법적 근거를 바탕으로 농촌진흥청에서는 작물, 병해충, 가축 등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결과보고서를 5년마다 제출하도록 고시하였다. 농업생산기반시설물 역시 기후변화에 따른 취약성을 평가하고 이를 위한 실태조사를 실시하도록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는 바,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저수지의 재해 취약성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한 미래 농업용수 수문량을 산정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재해 취약성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changes of diet, and food intake between 40~59 years old subjects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in Lao PDR (라오스 도시·농촌 지역별 40~59세 주민들의 식행동, 식생활변화 및 식품섭취 비교 연구)

  • Kim, Ji Yeon;Yi, Kyungock;Kang, Minah;Kang, Younhee;Lee, Gunjeong;Kim, Harris Hyun-soo;Hansana, Visanou;Kim, Yuri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49 no.2
    • /
    • pp.111-124
    • /
    • 2016
  • Purpose: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for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dietary behavior and food intake in different regions of Lao PDR.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979 people aged 40~59 years old living in 25 urban provinces and 25 rural provinces in four districts (VTE Capital-Chanthabuly, Xaysetha, VTE Province-Phonhong, and Thoulakhom) of Laos. General demographic information, health status, and dietary behavior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Results: The literacy ratio (p = 0.000), education level (p = 0.000), asset ownership level (p = 0.000), and government and private employee ratio (p = 0.000) were higher in urban subjects compared with rural subjects. The mean value of weight (p = 0.000), waist circumference (p = 0.000),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p = 0.009) and alcohol consumption (p = 0.000), self-rated health status (p = 0.001), and the rate of obesity (p = 0.000)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urban subjects compared with rural subjects. However, the rate of current smok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ural group (p = 0.023). Meals are becoming more westernized by higher frequency of eating out, consumption of fatty meat and fried or stir-fried food in urban areas compared to rural areas. Urban subjects had relatively better balanced meals compared to rural subjects whereas they consumed insufficient meals per day and consumed meals irregularly compared to rural subjects. Intake of fruit and milk was significantly higher in urban subjects compared with rural subjects. However, the intake of vegetabl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ural areas than urban areas.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raditional Lao diet is being replaced by an unhealthy western dietary pattern, which may be a risk factor for increasing development of non-communicable disease (NCD) in Lao PDR. Planning of proper personalized nutritional intervention and education in each area is needed to decrease the health risks of NCD.

Evaluation of Agricultural Water Impacts due to Climate Change of Precipitation (강수의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용수 영향 평가)

  • Shin, Hyung Jin;Kim, Hae Do;Lee, Jae Nam;Kang, Seok 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27-227
    • /
    • 2017
  • "농업 농촌 및 식품산업기본법" 제47조의 2 신설로 기후변화가 농업 농촌에 미치는 영향, 취약성을 5년마다 조사 평가 공표하고 실태조사를 실시하기 위한 법적 근거가 2014년 5월 마련되었다. 지구 온난화 등 기후변화가 농업 농촌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조사 및 분석하여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국가 수자원 총 이용량의 48%가 농업용수로 이용되고 있다. 논면적(964천ha) 수리안전답은 575천ha에 불과하고, 19.4%(187천ha)는 별도 용수공급시설이 없어 자연강우에 의존하고 있으며, 용수공급시설을 갖춘 관개전은 140천ha로 전국 밭면적의 18.5% 수준('15.7월 행정조사)에 그쳐 논에 비해 열악한 수준이다.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농업용수의 안정적 공급을 위해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용수의 영향분석 및 취약성 평가를 위한 지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IPCC에 따르면 기후변화의 영향과 심각성은 수자원, 생태계, 산림, 보건, 농업 및 사회기반시설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측 혹은 전망되고 있는데 특히 가장 취약한 부분은 강수패턴의 변화로 인한 영향이다. 강수패턴의 변화 의미는 강수 공간, 기간 및 강도의 변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강수에 민감한 농업분야가 기후에 가장 먼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관점에서 강수의 패턴 변화(공간, 강도, 기간)를 분석하여 농업용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 PDF

Regional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for Promoting Area-specific Policies (지역맞춤형 정책 수립을 위한 수도권 근교농촌의 유형화 및 특성 분석)

  • Lee, Da Ye;Lee, Hee Yeo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2 no.2
    • /
    • pp.15-29
    • /
    • 2016
  • Suburbs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have been diversified by the influence of the Seoul and large cities for the last 10 years. This study aims to classify suburban rural areas and to analyze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in order to propose more area-specific policy approach to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Using the cluster analysis method, the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types; garden villages in rural areas, urbanization areas, agricultural-industrial mixed use areas, general rural area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four types of suburban rural areas are much differentiated one another in terms of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local dynamics and problems. In order to suburban rural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apital region, the policy efforts should be address the area-specific problems and policy demand for each type of suburban rural areas.

The Regional Human Ecosystem and Cultural Adaptation in Rural Korea (한국 농촌의 지역인간생태계와 문화적 적응)

  • 류제현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spc
    • /
    • pp.697-707
    • /
    • 1998
  •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의 역사적 변천을 인구변화와 자원관리의 측면에서 분석하는 기존 관점은 인구기초이론, 기술기초이론, 시장기초이론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관점은 어느 한가지 변수를 독립 변수로 가정하는 입장을 취하므로 흔히 '단일요소이론'이라고 불리며, 제각기 장점이 있기는 하지만 현실 세계의 복합성을 단지 부분적으로 설명하는데 그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현실세계의 모든 사건은 개방된 체계 속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모든 사건은 단선적인 인과관계로 파악될 수 없을 만큼 서로 복합하게 얽혀 있다. 이에 대하여 문화생태이론은 단일요소이론의 그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현실세계의 복합성을 분석할 수 있는 개념과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문화생태이론은 실로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가 역사적으로 변천해 온 과정을 탐구하는데 적합한 개념과 방법을 장점으로 내세우는 새로운 관점이라 할 수 있다. 문화생태이온은 인구, 기술, 시장, 제도 등 요소의 중요성이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를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어떠한 요소라도 어느 한 장소와 시점에서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한국 농촌의 인간과 환경과의 관계를 탐구함에 있어서 활성되어야 할 문화생태이론의 기초적인 개념은 '지역인간생태계'와 '문화적 적응'이다. 한국 농촌의 지역인간생태계는 그 특성상 인구, 농업, 시장, 제도로 구성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문화적 적응이란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사회구성원들의 환경에 대한 적응도를 높일 수 있는 행동양식을 새로이 선택하는 행위를 일컫는다. 한국 농촌에서는 적응전략이란 농업의 집약화와 상업화 또는 산아제한과 인구이동이라는 측면에서 분석될 수 있을 것이다. 생존, 기술, 취락형태, 토지이용, 무역이나 교역 등은 적응전략을 분석하는데 간접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것이다.

  • PDF

Analysis of water supply management plan and case for agricultural pipeline (농업용 관수로의 급수관리 계획 및 사례분석)

  • Kim, Sun Joo;Kang, Seung Mook;Kim, Phil Sik;Kim, Nam Do;Bark, Mi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93-293
    • /
    • 2015
  • 농촌용수는 자연계의 물순환과 융합한 형태로 반복과 순환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지역의 건전한 물순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식량생산 기반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환경 보전, 전통문화 및 지역사회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쌀 소비의 급격한 감소로 논 경작면적이 축소되면서 밭 경작면적이 증가하고 있어 우리나라 농업형태가 논 관개 시스템에서 밭 관개 시스템의 특용작물 재배와 같은 첨단시설의 하우스 농업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촌용수의 활용은 감소하고 있고 관개 형태의 변화로 용수관리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관개시스템에서 농촌용수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수로형태의 변화는 개수로 중심에서 관수로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농촌용수를 저장, 운용 실태를 보면 노후 된 농업기반시설들로 인하여 저수량 감소가 발생하며, 확보된 용수를 재래식으로 운용함으로 인한 관리 손실발생으로 농촌용수 부족사태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농촌용수 관개를 위한 개수로에서의 용수 손실률은 약 15%에 달하며 이는 약 20억$m^3$으로 추정되고 우리나라 총 수자원의 6%에 해당되는 양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개지구의 급수관리 계획 및 사례 분석을 통해 기존의 모의에 의한 농촌용수 추정 값의 불확실성을 확인하고 실측에 의한 정량화 분석을 통해 관수로 시스템 구축의 타당성 제시 및 효과 분석을 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