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작물

검색결과 794건 처리시간 0.026초

VGG16을 활용한 미학습 농작물의 효율적인 질병 진단 모델 (An Efficient Disease Inspection Model for Untrained Crops Using VGG16)

  • 정석봉;윤협상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9권4호
    • /
    • pp.1-7
    • /
    • 2020
  • 농작물 질병에 대한 조기 진단은 질병의 확산을 억제하고 농업 생산성을 증대하는 데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합성곱신경망(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과 같은 딥러닝 기법을 활용하여 농작물 잎사귀 이미지 데이터세트를 분석하여 농작물 질병을 진단하는 다수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농작물 질병을 90% 이상의 정확도로 분류할 수 있지만, 사전 학습된 농작물 질병 외에는 진단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미학습 농작물에 대해 효율적으로 질병 여부를 진단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VGG16을 활용한 농작물 질병 분류기(CDC)를 구축하고 PlantVillage 데이터세트을 통해 학습하였다. 이어 미학습 농작물의 질병 진단이 가능하도록 수정된 질병 분류기(mCDC)의 구축방안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해 본 연구에서 제안한 수정된 질병 분류기(mCDC)가 미학습 농작물의 질병진단에 대해 기존 질병 분류기(CDC)보다 높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재해로 인한 농작물의 생산비 피해액 산정

  • 심기오;이철규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2권4호
    • /
    • pp.77-85
    • /
    • 2002
  • 우리나라 정부에서는 재해피해에 대하여 공공시설의 피해는 복구비를 100% 부담하고 있으며, 사유시설인 농작물의 피해에 대해서는 복구지원금 단가산정에 의해 70%를 지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해피해 발생시 농작물에 대한 생산비 개념을 기준으로 피해액 산정을 하고자 하였다. 5가지의 농작물 피해에 대하여 작물별 단가를 고려하여 피해액을 산정하였으며, 6종류의 농작물은 상추, 호박, 고추, 시금치, 토마토, 오이 이다. 산정결과 국가에서 지급하는 복구지원금의 비율은 현 방법에 의한 농작물 피해액에 대해서 $3.3%{\sim}13.8%$, 제안된 방법의 피해액에 대해서는 $5.7%{\sim}34.1%$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안된 피해액 산정방법은 현재방법의 피해액산정 방법보다 농작물의 피해율, 생산비 및 생육기간별 투입비율을 고려한 생산비 피해액 산정방법이다.

Design of Smart Farm Growth Information Management Model Based on Autonomous Sensors

  • Yoon-Su Je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8권4호
    • /
    • pp.113-120
    • /
    • 2023
  • 스마트 팜은 IoT 기술과 인공지능 기술이 접목되면서 농작물에 투입되는 노동력·에너지·양분 등을 최소화는 연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스마트 팜에서 농작물의 생육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연구는 현재까지 미진한 상태이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팜에 자율 센서를 적용하여 농작물의 생육 정보를 효율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농작물의 생육 정보를 자율 센서를 통해 수집한 후 생육 정보를 농작물 재배에 재활용하는데 초점을 갖는다. 특히, 제안 기법은 농작물의 생육 정보를 한 슬롯으로 할당한 후 로드밸런싱을 수행하도록 농작물별로 가중치를 부여하며, 농작물의 생육 정보 간의 간섭을 서로 최소화한다. 또한, 제안 기법은 농작물의 생육 정보를 4단계 (센싱 탐지 단계, 센싱 전송 단계, 애플리케이션 처리 단계, 데이터 관리 단계 등)로 처리할 때, 농작물의 중요 관리점을 실시간으로 전산화하기 때문에 관리 기준 이외의 경우에는 즉각적인 경고 시스템이 동작한다. 성능평가 결과, 자율 센서의 정확도는 기존 기법보다 평균 22.9%의 향상된 결과를 얻었으며, 효율성은 기존 기법보다 평균 16.4% 향상된 결과를 얻었다.

홍수에 따른 농작물 피해 추정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Crop Loss Assessment Method by Flood Disaster)

  • 김길호;홍승진;최천규;김경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5-225
    • /
    • 2019
  • 건물, 차량, 사회인프라시설과 달리 농작물이란 물리적인 시설이 아닌 농업경제 활동의 결과물로서 최종적으로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행위에서 재난으로 인하여 지장을 받게 되는 경제적 피해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홍수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생산비 매몰비용"과 "순수익 손해"를 농작물 피해추정의 척도로 하였다. 생산비 매몰비용이란 경작시작부터 피해발생까지 투입된 생산비의 회수불가에 따른 피해이며, 순수익 손해란 피해발생에 따른 기대 순수익 하락에 따른 피해를 의미한다. 다양한 작물 가운데 10종의 대표작물을 선택하고, 각 작물의 표준생산비와 표준순수익을 농업생산 및 수익과 관련한 통계자료로부터 결정하였다. 이로부터 생육경과율과 홍수 발생시기(6~9월)를 고려하여 월별 투입생산비 및 기대순수익을 결정하였다. 대상지역 내 재난에 노출된 작물정보를 정의하는 농작물 인벤토리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제작된 스마트 팜 맵(농경지 전자지도)을 활용하였고, 다양한 작물이 혼재된 밭의 경우 농업면적조사 결과를 토대로 결정한 밭작물 재배현황비를 고려하였다. 홍수에 따른 취약성을 설명하는 농작물 손상함수는 영향인자는 침수심, 침수기간이며, 이를 기준으로 한 손상함수는 농림부의 농업재해피해조사요령과 일본 치수경제조사메뉴얼을 참고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농작물 피해 추정 방법은 기존 방법인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법(MD-FDA)과 비교할 때 대표작물의 현실화, 국내 실정을 고려한 손상함수, 그리고 면적 기반의 원단위를 사용함으로써 실무적으로 명확하고 실용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사과.배에 대한 농작물 재해보험 (The Crop Insurance Covering Apple and Pear)

  • 조명동;장한익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74
    • /
    • 2001
  • 최근 지구온난화 등 이상기상으로 인하여 금년에 들어서도 벌써 한파와 폭설로 한해를 시작하고 있다. 이러한 재해는 '90년대 들어서서부터 금년까지 한해, 냉해 등을 비롯하여 무려 9차례나 되어(표 1), 거의 매년 기상재해로 인한 농작물의 피해가 급증하고 농가의 안정적인 삶과 농작물의 안정공급에 막대한 지장을 주고 있다.(중략)

  • PDF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주말농장 관리 서비스 구현 (Implementation of Weekend Farm Management Service Using Internet of Things)

  • 유현석;정동원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61-864
    • /
    • 2016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농작물 재배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 앱을 구현하여 사물인터넷 기반의 농작물 관리 시스템 서비스를 제안한다. 사물인터넷 기반 농장 관리 시스템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있었으나 농작물 생장 환경 모니터링을 통한 에너지 절감, 데이터 수집을 통한 활용방안에 대한 연구에 그쳤다. 그 결과 주말농장을 이용하는 도시 농부와 농장주들이 가지고 있는 주말농장의 문제점은 해결되지 않았다. 제안 서비스는 도시 농부와 농장주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체계적인 농작물 재배와 원활한 농장관리 서비스를 모바일 기기에서 제공한다. 특히, 농작물 재배에 필수적인 정보와 위치기반 주말농장 검색기능을 제공함으로써 관리의 정확성과 편의성을 제공한다.

농장 시뮬레이션을 위한 농작물 NPC 모델링 (NPC Modeling of Plants for Farm Simulation Game)

  • 박상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939-948
    • /
    • 2020
  • 가상현실 기술을 농업 기술 교육에 접목하려는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농기계 교육과 같은 직접적인 교육뿐만 아니라 게임을 이용한 간접 교육에도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가상현실에서 핵심적인 기술은 사용자가 실제와 같이 느낄 수 있게 대상을 모델링하는 것이다. 농장에서 재배하는 농작물은 농장의 환경에 따라 동일한 영향을 받는다. 또한, 농작물은 각각 독립적인 특성도 가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농작물 모델링의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여 NPC 형태로 모델링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개별 농작물이 날씨와 농장의 특성을 반영하는 방법과 독립적인 특성을 반영하는 방법을 구현한다. 구현 결과는 제안하는 방법이 간단한 알고리즘을 사용하지만 농작물을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보여준다.

농업 생산과 농작물 가격에 관한 균형 모델 (Equilibrium Model in Price Behavior and Agricultural Production)

  • 이상율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48-756
    • /
    • 2006
  • 본연구는 생산과 수요 양면을 고려한 농업입지모델에서 농작물 시장가격의 단기 및 장기적 변화를 고찰한다. 농작물 가격과 생산량의 단기적 변화 상황은 생산량의 연간 변화량에 의해서 결정되는 것으로 파악하면서 수리적 모형을 제시한다. 장기적 모형에서 농작물의 가격은 여러 가지 농업을 둘러싼 환경 및 변수(수요, 생산량, 생산비용, 운송률)의 변화를 고려하였다. 또한 예상 수익 모델(expected return model)과 보장 수익 모델(guaranteed return model)을 각각 제시하면서, 농작물의 생산량과 가격의 장기적 변화를 조사한다. 농작물 가격 하락은 지대 및 토지 가격의 하락과 관련된다.

  • PDF

농작물 생육 관리를 위한 스마트 멀티센서 및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Smart Multi-Sensor and Environment Monitoring System for Agriculture Growth Management)

  • 김영민;강의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38-147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농작물의 생육 관리를 위하여 농작물에 설치된 센서 정보를 수집하고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스마트 멀티 센서와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소개하고자 한다. 기존의 농작물 모니터링 시스템에서는 각 센서의 정보를 취득하기 위해 센서를 종류별로 농작물에 설치하였다. 이 과정에서 각 센서들의 설치 비용이 발생하며 센서 설치 위치를 수동으로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센서의 설치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센서들을 단일화한 스마트 멀티 센서를 설계 및 구현하였고 RFID 통신을 이용하여 설치된 스마트 멀티 센서의 위치 정보 및 센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