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 노즐

Search Result 64,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pray Control System Development of Two-Flow Nozzle to Control Spraying Rate and Droplet Size Independently (분무량과 분무입경의 독립적 제어를 위한 이류체노즐 제어시스템 개발)

  • 안형철;이중용;정창주;이종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2-27
    • /
    • 1999
  • 최근 정밀농업기술의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점살포, 직접살포, 또는 방제목표물의 크기에 따른 분무량 조절 등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나 모든 기술이 분무량 조절에만 치중되어 있다. 일반적인 수압식 노즐의 경우에 분무압을 이용하여 분무량을 제어하면 분무입자의 크기가 적정 이외의 크기로 살포되어 효율적인 방제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하나의 제어인자 즉 분무압만을 이용하여 두 가지의 특성 즉 분무량과 분무입자의 크기를 조절하는 것은 이론적으로 불가능하다 정밀방제에 있어 분무입경과 분무량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려면 두 가지 제어인자를 가진 노즐을 이용해야만 가능하며 이러한 범주에 속하는 노즐로는 원심노즐과 이류체노즐, 정전화노즐 등이 있다. (중략)

  • PDF

Spray Characteristics of the Cold-Fog Machine with Ultrasonic Forcing (초음파 적용 상온연무기의 분무특성)

  • 주은선;나우정;송민근;이경열;정병섭;강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423-428
    • /
    • 2003
  • 2-유체 노즐은 연료와 농약액에 응용되는 경우에는 공기와 쉽게 혼합되고 미세한 분무입자를 얻을 수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이상용, 1996). 특히 2-유체 상온 연무노즐은 온실 내에 사용하기에 다른 방식보다 유용한 점이 많아 널리 보급되어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시설재배가 계속 확대 보급되고 있는 바 이에 상응하는 고효율 방제를 위한 고효율 분무노즐 개발은 필수적이다(Kim,1994). 2-유체노즐은 Bryce (1978), Mullinger(1974), Hurley(1985) 등 많은 연구자에 의해 공기의 보조 및 충돌식 등으로 설계되고 개량되어 왔다. (중략)

  • PDF

An Experiment Study on Spraying Characteristics of Swirl Disc Type Nozzles (디스크형 노즐의 분무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 곽현환;이중용;김영주;장금송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90-96
    • /
    • 2003
  • 약액의 분무입경, 분무각, 분무량은 방제의 효율성과 관련된 중요한 요소로서, 노즐의 형상 설계는 이러한 요소를 결정하는 것에 큰 영향을 준다. 특히 비교적 낮은 압력에서 분무가 되어야 하는 배부식 방제기에서 노즐의 역할은 더욱 커지는데, 노즐의 성능 향상은 분무를 원활하게 하여 농약 사용량을 줄이고, 또한 무화 압력을 낮추어 작업의 편리성을 도모하며, 에너지 절감 효과도 기대 할 수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Vacuum Nozzle Seeder for Cucuribitaceous Seeds - Optimum Operating Conditions of Vacuum Nozzle Seeder - (박과 종자용 진공노즐식 파종기 개발 -진공노즐식 파종기의 최적 작동조건-)

  • 김동억;장유섭;김승희;이공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236-241
    • /
    • 2002
  • 진공노즐방식의 파종기로 파종작업할 경우 박과채소의 대목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립종자들의 최대파종율을 얻기위하여 참박, 특토좌, 흑종호박 종자에 대한 파종시험을 실시하였다. 1) 적정한 노즐구경과 홉착부압은 참박종자가 1.5mm, 7.97kPa, 특토좌종자가 1.5mm, 10.63kPa, 흑종호박종자가 2.0mm, 5.31kPa과 1.5mm, 13.28kPa로 나타났다. 2) 최적작동조건에서 참박종자, 특토좌종자 및 흑종호박 종자의 최대 파종율은 97.6%, 98.8% 및 97.6%로 나타났다. 3) 종자가 커지고 무거워짐에 따라 노즐의 구경이 큰 것이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대목으로 사용되는 종자에서는 1.5mm노즐을 범용으로 사용가능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4) 노즐개수가 많아지면 부착압력이 낮을 경우에는 파종율에 차이가 있었지만 부착압력이 높아지게 되면 파종율의 차이는 약간 낮아졌다. 5) 참박, 특토좌, 흑종호박 종자의 최대파종율을 나타내는 흡착부압 P = η.4W/$\pi$d$^2$로 나타낼 수 있고 여유계수 η ≒ 10으로 나타났다.

  • PDF

A Sectional Flow-Rate Control for a Boom Sprayer (붐방제기의 구간별 유량제어)

  • 김은수;이중용;김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3.02a
    • /
    • pp.83-89
    • /
    • 2003
  • 붐방제기는 분무관에 일정한 간격으로 노즐이 설치되어 있으며 목표물 바로 위에서 농약을 직접 살포할 수 있다. 따라서 비산의 위험성이 적고 작업폭이 넓기 때문에 포장능률도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방제작업에 영향을 미치는 방제속도, 살포폭, 노즐 배출량, 노즐 압력 등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자동제어 시스템을 채택할 수 있어 최적량의 농약을 균일하고 유효하게 살포할 수 있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Precision Spraying System Using Machine Vision and DGPS (기계시각과 DGPS를 이용한 정밀방제 시스템 개발)

  • 조성인;정재연;김유용;남기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426-431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DGPS와 칼라 CCD 카메라를 이용한 잡초의 검출을 위한 영상처리 시스템과 분무시스템을 개발하고 통합하여 정밀 방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방제 요구부위에 실제 정밀한 살포를 위해 펌프, 노즐 및 레귤레이터로 구성된 장치를 구성하고 컨트롤러를 제작 통합하여 분무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별 노즐별로 ON/OFF에 의한 변량 살포가 가능하도록 각 노즐별로 레귤레이터를 장착하였다. 정밀 방제용 이동식 차량을 제작하고 노즐별로 ON-OFF 제어가 가능한 살포장치를 부착하였으며, 알고리즘을 통합하여 정밀방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시스템은 영상 획득 $\longrightarrow$ DGPS 좌표 획득 $\longrightarrow$ 자이로 컴파스 데이터 획득 $\longrightarrow$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작물의 위치정보 획득 $\longrightarrow$ 영상처리를 이용한 방제요구부위 검출 $\longrightarrow$ 노즐별 개별 방제 작업이 순서적으로 반복해서 진행되었다. 완성된 시스템의 성능 및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서울대학교 부속 과수원에서 무를 대상으로 개발된 시스템을 검증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RS-232C 통신을 이용하여 데이터의 전송을 수행할 수 있었으며, 순차적인 진행이 가능하도록 통합 프로그램을 제작하였으며, 검증 결과 정밀방제의 가능성을 보였다.

  • PDF

Comparison of Each Commercial Nozzle on the Application Pattern of Pesticide for Unmanned Aerial Vehicles (UAV) (농업용 멀티콥터를 활용한 무인항공기용 작물보호제 살포양상에 대한 상용노즐별 차이)

  • Park, Bueyong;Jeong, In-Hong;Kim, Sun Woo;Kim, Gil-Hah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60 no.2
    • /
    • pp.229-234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spray patterns and coverage generated by three types of commercial nozzles for spraying pesticides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UAVs) using a multi-copter. Flufenoxuron+metaflumizone SC and bifenthrin EC were sprayed. The falling particles of the spraying agent were measured using WSP (Water and oil Sensitive Paper) and the coverage was determin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niformity of falling particles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wind strength, and there was no difference for different formulations. The injection amount for each nozzle was found to be different from the official information provided by the manufacturers. These results could be us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the control of UAVs and pesticide registration testing.

Heavy Oil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Hot Water Boiler System fueled by Rice Husk and Heavy Oil (왕겨와 중유연료를 겸용으로 이용하는 온수보일러 시스템에서 중유 연소특성)

  • 박승제;김동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2a
    • /
    • pp.217-22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시설원예 난방에너지 공급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대형 온실 난방이나 RPC 시설에 이용할 수 있는 왕겨와 중유 겸용연소 시스템에서 중유의 연소 및 성능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중요 인자로는 분사노즐의 크기(2.0, 2.25, 2.5, 3.0 GPH)와 진공압력(375, 500, 625, 750 Pa)을 설정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진공압력 500Pa조건에서 연료 공급율이 증가할수록 연소실 벽체 열교환기 효율은 감소하고 폐열회수 열교환기와 사이클론 열교환기의 효율이 증가하였으며, 노즐 2.5GPH에서 진공압력이 커질수록 연소실 하부의 온도가 감소하였고 연소실 상부에서는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2, 연소온도특성, 열효율, 배기가스 성분분석 등의 결과로 볼 때 최적의 연소 조건은 노즐 2.5GPH는 진공압력 375Pa, 노즐3.0GPH는 진공압력 500Pa과 625Pa 사이로 판단되었다. 3. 배연가스내의 대기오염 성분은 모든 실험처리에서 CO 함량은 거의 없고 SO$_2$와 NO$_{x}$의 함량 또한 일반 보일러 허용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