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

Search Result 20,842,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일본의 유기농업 기준과 유기.친환경농업 체제 구축을 위한 민간의 노력

  • 도큐에미치야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1.10a
    • /
    • pp.228-235
    • /
    • 2001
  • 먼저 한국의 친환경농업과 유기농업이 놀라울 정도로 발전한데 대해 커다란 존경을 표한다. 특히 한국 유기농업의 본산지라고 할 수 있는 양평에서 이번 학회가 개최된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양평군이 이처럼 친환경농업을 발전시킬 수 있었던 것은 도시의 소비자들과 농민들이 서로 협력하여 이루어진 결과라고 들고 있다. 일본의 농민들과 소비자들은 한국의 경험으로부터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으리라 믿는다. 한일 양국은 많은 면에서 공통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친환경농업과 유기농업 발전을 위해 우리의 지식과 경험을 서로 교환하고 싶다. 나는 이 논문에서 일본이 유기농업과 친환경농업을 어떻게 발전시켜왔으며 공식적인 유기규격을 제정하기 위하여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리고 앞으로 유기농업과 친환경농업 발전을 위하여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지 같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한다.

  • PDF

The Role of Indigenous Knowledge and Agricultural Education in Agriculture Production System: Implications to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Education (농업생산체계에서 농업 재래지식과 농업환경교육)

  • Kotile, Dido G.;Shinn, Yun-H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5 no.2
    • /
    • pp.143-151
    • /
    • 1998
  • 이 연구의 목적은 농업 재래지식(indigenous knowledge)이 농업생산과 환경에 미치는 중요성을 알아보고 농업 및 환경교육에 그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있었다. 우리 나라에서는 농업재래지식은 조상 대대로 농업작부체계에서 매우 유용한 농업기술로 이어져 왔다. 그러나 현대의 과학 농업기술에 의하여 최근에 농업 재래지식의 활용은 급감하였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나 보전이 매우 미흡한 상태에 있다. 그러나 미국, 일본, 케냐 등 많은 국가에서는 여전히 농업 재래지식이 농업생산 및 농촌개발 과정에서 그 적용율이 $9{\sim}27%$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농업 재래지식은 자연농법 및 유기농법과 함께 중요한 환경보전 기술이므로 실태 파악과 그 보전 방안이 강구되어야 할 것이다.

  • PDF

Studying for Agriculture Informationization using Big Data (빅데이터를 이용한 농업 정보화에 대한 연구)

  • Yun, Da Young;Song, Jeo;Lee, Sang 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4.07a
    • /
    • pp.461-462
    • /
    • 2014
  • 모든 산업에서 정보화의 중요성을 언급하고 있는 것처럼 농업부문에서도 농업정보화는 우리나라의 농업이 세계의 농업 속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길이다. 미국과 EU를 비롯한 여러 국가들과의 FTA 체결 등으로 "21C의 농업은 국경이 무너졌다"는 말이 나올 정도로 기존의 농업처럼 국가의 보호아래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국가의 농민들과 경쟁을 해야 하는 농업으로 바뀌었다. 우리 나라 농업도 정보자원을 증대시켜 토지, 노동, 자본 등 전통적 자원의 열위를 극복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정부는 물론 농업의 주체들이 모두 정보화에 적극적으로 나서서 농업을 정보집약 산업으로 육성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을 느끼고 있으며 계속적인 정보화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농업용 S/W와 빅데이터 등의 최신 ICT 기술의 연계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ERRATUM : Effects of Coir Substrate Application and Substrate Volume on the Growth and Yields of Strawberry in a Hydroponically Cultured System (ERRATUM : 딸기 수경재배에 코이어 배지 적용과 근권부 배지 용량이 생육 및 수확량에 미치는 영향)

Percentile Approach of Water Level Management Criteria for Agricultural Reservoirs (Percentile을 이용한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 운영기준 산정)

  • Woo, Seung-Beom;Nam, Won-Ho;Lee, Hee-Jin;Choi, Eun-Hyuk;Lee, Gyu-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179-179
    • /
    • 2021
  • 가뭄은 농작물 수확량 및 농업생산시스템에 영향을 주는 등 농업분야의 주요 문제이며 이는 피해를 야기하므로 농업가뭄의 대안 마련 및 모니터링이 필요한 실정이다. 농업현장에서의 용수공급의 경우 기상학적 가뭄이 발생하더라도 농업용 수리시설물에 의한 농업용수 공급이 가능하여 기상학적 가뭄과 농업현장에서 체감하는 가뭄은 상이하다. 따라서 농업가뭄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농업현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농업용 수리시설물의 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100만톤 이상의 농업용 저수지 중 시범지역을 선정하여 2017년의 일별 저수율을 정규화한 후 미국국립가뭄경감센터 (National Drought Mitigation Center, NDMC)에서 가뭄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하는 Percentile을 활용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관리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Percentile을 활용하여 저수율 기준을 관심, 주의, 경계, 심각 수준으로 분류하고 당해 저수율의 단계별 빈도를 파악하고자 한다. 그 후 표준강수지수(Standrad Precipitation Index, SPI)를 활용한 2017년 가뭄의 공간분포와 2017년 저수율 관리기준 빈도에 따른 공간분포를 구축하여 비교 분석 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농업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정책 마련에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농업기술 - 고령농업인의 건강과 안전 지키기

  • Kim, Hyo-Cheol
    • 농업기술회보
    • /
    • v.47 no.1
    • /
    • pp.50-51
    • /
    • 2010
  • 농촌이 고령화됨에 따라 농업인력의 상당수를 60세 이상의 고령자들이 담당하고 있는 것이 우리 농업의 현실이다. 이에 따라 고령의 농업인들이 건강상의 어려움과 농작업에서의 재해 위험에 크게 노출되어 있다.

  • PDF

세미나 중계

  • 한국유기농업협회
    • THE HEALTH and ORGANIC FARMING
    • /
    • no.217
    • /
    • pp.9-9
    • /
    • 2005
  • 친환경농업과 지역사회 개발 - 지렁이를 이용한 환경보전 국제심포지엄 개최 - 우리나라 친환경유기농업 어디가지 왔나? - 조선대, 친환경생명농업 국제심포지엄 개최 - 친환경농업과 기술개발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