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지역 감소

Search Result 420,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Variation and Forecast of Rural Population in Korea: 1960-1985 (농촌인구(農村人口)의 변화(變化)와 예측(豫測))

  • Kwon, Yong Duk;Choi, Kyu Seob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v.8
    • /
    • pp.129-138
    • /
    • 199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tflow of rural population and agricultural policy by using time series method. For the analytical tools, decomposition time series methods and regression technique were employed in computing seasonal fluctuation and cyclical fluctuation of population migration. Also, this study predicted farmhouse, rural population till the 2000's by means of the mathematical methods. The analytical forms employed in forecasting farmhouse, rural population were Exponential curve, Gompertz curve and Transcendental for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identified as follows: 1) Rural population and farmhouse population began to decrease from 1965 and hastily went down since 1975. Rural population which accounted for 36.4 percent, 35.6 percent of national population respectively in 1960 diminished about two times: 17.5 percent, 17.1 percent respectively. 2) The rapid decreasing of the rural population was caused because of the outflow of rural people to the urban regions. Of course, that was also caused from the natural decreases but the main reason was heavily affected more the former than the latter. In the outflowing course shaped from rural to the urban regions, rural people concentrated on such metropolis as Seoul, Pusan, Keanggi. But these trends were diminishing slowly. On the other hand, compared with that of the 1970's the migration to Keanggi was still increasing in the 1980's. That is, people altered the way of migration from the migration to Seoul, Pusan to the migration to the out-skirts of Seoul. 3) The seasonal fluctuation index of population migration has gone down since the June which the request of agricultural labor force increases and has turned to be greatly wanted in the March as result of decomposition time series method. As result of cyclical analysis, the cyclical patterns of migration have greatly 7 cycle. 4) As result of forecasting the rural and farmhouse population, rural and farmhouse population in the 2000 will be about 9,655(thousand/people) and 4,429(thousand/people) respectively. Thus,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probloms that rural and farmhouse population will decrease or increase by the degree. But fairly defining the agricultural into a industry that supply the food, this problem - how much our nation need the rural and farmhouse population - is greatly significant too. Therefore, the basic problems of the agricultural including the outflows of rural people are the earning differentials between rural and urban regions. And we should regard the problems of the gap of relative incomes between rural and urban regions as the main task of the agricultural policy and treat the agricultural policy in the viewpoint of developing economic equilibrium than efficiency by using actively the natural resources of the rural regions.

  • PDF

An Analysis on the Change Factor Based on the Industrial GRDP of 5 Gun in Chungcheongnam-do (충청남도 5개 군의 GRDP 변화요인 분석)

  • Kim, Jung Tae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9 no.4
    • /
    • pp.1041-1066
    • /
    • 2012
  • This article aims to analyse the change factor of the industry in rural area. As the regional economy is consist of variety industry in local Revitalization of Rural Economy should consider the growth factor of industry. Analytical method is Shift-Share analysis, analysis data is used GRDP of the 5 target area. Analysis is showed that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s leading position. but Farm population decreased rapidly underway. Side work farmer and industry population is increasing rapidly.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inhibitory of 5 Gun is the weakness of the internal factor. especially Competition component is than industry-Mixed component. and the Growth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is external factor. To improve the regional economy, 5 Gun must improve the fault. and the growth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 should promote the consumption of local products to as the local food system.

Drought Assessment of Upland Crops using Soil Moisture, SPI, SGI (토양수분, 표준강수지수, 표준지하수위지수를 활용한 밭가뭄 평가)

  • Jeon, Min-Gi;Nam, Won-Ho;Ok, Jung-Heun;Hwang, Seon-Ah;Hur,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3-313
    • /
    • 2022
  • 일반적으로 가뭄은 특정지역에서 평균 이하의 강수량이 발생되는 현상으로, 강수량이 감소되면 토양수분, 하천수 수위, 저수지 수위, 지하수위 등이 순차적으로 감소한다. 수문학적 가뭄은 기상학적 가뭄 및 농업 가뭄에 비해 늦게 발현되는데, 이는 강수량의 부족이 토양수분, 하천수량, 지하수 및 저수지 수위 등과 같은 수문학적 시스템에 전이되는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뭄 피해를 경감하기 위해 지하수위 변동성을 이용하여 지하수 함양량을 추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수자원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수위는 농촌 지하수 개발, 가뭄 및 홍수 예측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강수량에 의한 변화가 지표수에 비해 느리게 나타나고 토양을 통과하는 특성으로 인해 단기 및 장기간의 변화 경향이 나타난다. 미국 지질조사국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에서는 지하수위를 월 단위로 보통 이하 (Below-normal), 보통 (Normal), 보통 이상 (Above-normal) 3단계로 구분하여 분포도를 작성하고 전체 관측기간 중 25% 이상에서 보통 이하 (Below-normal)로 나타나면 가뭄으로 판단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형, 유역을 고려한 지하수 수위 및 수질 현황과 변동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국 지하수위 관측망 688개소를 설치하고 운영 중에 있다. 또한, 농촌진흥청에서는 전국 농업기상대와 연계하여 토양수분관측망 (soil moisture monitoring network)을 구축하였으며, 표토 10 cm에 토양수분센서를 전국 168 지점에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량을 기반으로 산정한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와 지하수위를 기반으로 산정한 표준지하수위지수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토양수분관측망의 토양수분의 상관 분석을 수행하고자 한다. 밭작물 가뭄의 중요 요소인 토양수분 함량은 강수에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반면 지표수 및 지하수는 상대적으로 장기간의 강수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밭작물 지역의 가뭄 취약성을 관리하는 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stimation of irrigation water need with climate change in Jeju Island (인위적·자연적 요인에 따른 제주도 농업용수 과부족 전망)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3-363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을 대상으로 현재의 용수공급 보장량을 기준으로 미래 인위적 자연적 요인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를 고려하여 농업용수 과부족을 분석하였다. 인위적인 요인으로서 작물재배면적의 변화를 고려하였으며, 자연적인 요인으로서는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였다. 제주도의 유출특성과 지질특성, 물이용 특성 등을 고려하여 유역 물수지 기반의 순물소모량 개념을 활용하여 수요량을 추정하였으며, 농업용수 보장량(공급량)은 "제주특별자치도 농업용수 관리계획(2013-2022)"에서 제시하는 값을 적용하였다. 순물소모량 산정에 필요한 실제증발산량 및 잠재증발산량 등은 유역모형인 SWAT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인위적인 변화로서 2020년 작물재배면적 추정치를 적용하여 용수 과부족을 분석한 결과, 구좌읍과 성산읍 2개 지역에서 수요량이 보장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참고로 기존의 필요수량 개념의 수요량을 적용했을 때에는 제주시 동지역, 구좌읍, 조천읍, 서귀포시 동지역, 성산읍, 표선면, 남원읍, 안덕면, 대정읍 등 9개 지역에서 용수가 부족할 것으로 분석된 바 있다. 미래 기후변화 영향을 고려하기 위하여 IPCC (International Panel on Climate Chnage) CMIP5(the fifth phase of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에서 제시하는 대순환모델 중 9개 모형의 결과를 활용하여 미래(2010~2099년)의 수요량을 산정하고, 앞서 적용한 2020년 재배면적 추정치와 보장량을 기준으로 지역별, 시기별로 농업용수 과부족을 분석하였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는 RCP 4.5와 RCP 8.5 결과를 적용하였다. 인위적인 영향에 대한 분석과 마찬가지로 구좌읍과 성산읍을 제외하고는 수요량 대비 보장량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시나리오에 따른 영향은 RCP 8.5 보다는 RCP 4.5 시나리오에서의 보장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개 시나리오 모두 미래 후반기로 갈수록 수요량의 증가에 따라 보장률이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이 분석은 재배면적의 변화가 없이 단순히 기상조건의 변화만을 적용한 전망으로서, 향후 실제 기상여건과 재배면적, 물이용, 용수공급체계, 물관리 정책방향 등의 변화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 PDF

Applicability on Wet-land for Management of NPS in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from Agriculture and Livestock Farm Area (가축 사육 농업지역 강우유출수 내 유기물 및 영양염류 관리를 위한 인공습지 적용성 평가)

  • Im, Jiyeol;Kang, Chaewon;Gil, Kyungik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23 no.4
    • /
    • pp.372-380
    • /
    • 2021
  • Non-point source pollutants and high-concentration livestock wastewater are reported as major factor of water pollution in water system and wet-land. So, LID is suggested as a method to manage of them. wet-lands is presented as effective method for management of NPS from agriculture and livestock farm area based on various NPS reduction mechanism. In this research, the application of wet-lands was evaluated based on monitoring and modeling of agriculture and livestock farm in J city, Jeollabuk-do. As a resutl, EMC during rainfall event was found to be about 27 times higher than dry season based on a BOD. indicating that the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ants is urgent. Modeling-based wet-land reduction efficiency was BOD 57.5%, TN 48.9% and Tp 64.2%. However, removal efficiency of wet-land tends to decrease during the winter and large amounts of rainfall runoff occur, it is necessary to manage of wet-l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t-land could be proposed as an alternative to stable management of NPS in agriculture and livestock farm area.

Analysis of water supply management plan and case for agricultural pipeline (농업용 관수로의 급수관리 계획 및 사례분석)

  • Kim, Sun Joo;Kang, Seung Mook;Kim, Phil Sik;Kim, Nam Do;Bark, Mi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93-293
    • /
    • 2015
  • 농촌용수는 자연계의 물순환과 융합한 형태로 반복과 순환의 특징을 갖고 있으며, 지역의 건전한 물순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식량생산 기반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환경 보전, 전통문화 및 지역사회 등과 밀접한 관련이 있어 사회적 자본으로서의 큰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쌀 소비의 급격한 감소로 논 경작면적이 축소되면서 밭 경작면적이 증가하고 있어 우리나라 농업형태가 논 관개 시스템에서 밭 관개 시스템의 특용작물 재배와 같은 첨단시설의 하우스 농업 형태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농촌용수의 활용은 감소하고 있고 관개 형태의 변화로 용수관리 시스템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고, 관개시스템에서 농촌용수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한 수로형태의 변화는 개수로 중심에서 관수로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농촌용수를 저장, 운용 실태를 보면 노후 된 농업기반시설들로 인하여 저수량 감소가 발생하며, 확보된 용수를 재래식으로 운용함으로 인한 관리 손실발생으로 농촌용수 부족사태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농촌용수 관개를 위한 개수로에서의 용수 손실률은 약 15%에 달하며 이는 약 20억$m^3$으로 추정되고 우리나라 총 수자원의 6%에 해당되는 양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개지구의 급수관리 계획 및 사례 분석을 통해 기존의 모의에 의한 농촌용수 추정 값의 불확실성을 확인하고 실측에 의한 정량화 분석을 통해 관수로 시스템 구축의 타당성 제시 및 효과 분석을 하고자 한다.

  • PDF

Assessment of dam function deterioration by landslides-debris flows: a numerical modeling based on vegetation distribution scenarios (산사태 및 토석류 발생에 따른 댐의 기능저하 현상 평가)

  • Seungjun Lee;Hyunuk An;Minseok Kim;Heemin K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39-139
    • /
    • 2023
  • 산사태는 사면에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토사재해이다. 그리고 산사태가 발생하여 사면이 붕괴하였을 때 동반되어 나타나는 토석류는 지형 변화의 중요한 원인으로 간주한다. 산사태와 토석류가 도시나 농촌 등 인구가 밀집된 지역에서 발생할 경우 직접적인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발생시키며, 댐이나 저수지가 위치한 유역에서 발생할 경우 댐/저수지에 토사가 유입되어 유효저수량을 감소시킴으로써 시설물의 기능을 저하할 수 있다. 댐/저수지의 지속적인 운영과 관리하고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수치 모형을 활용하여 현상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하지만 한국은 국토 70%의 산지에 약 18,000개의 댐과 저수지가 설치되어 있으나, 댐과 저수지 유역에서 발생하는 산사태와 토석류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댐이나 저수지 유역에서 발생하는 산사태-토석류로 인해 해당 시설물에 발생하는 피해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자 수치모형을 활용하였다. 또한 산지에서 발생하는 토사재해의 특성을 반영하고자 식생을 고려하기 위한 분포 시나리오를 구축하여 사면 안정성 및 토석류 유동에 있어서 식생의 영향을 파악하였습니다.

  • PDF

A New Direction of Rural Underemployment and Non-Farm Employment (농촌지역 불완전고용 해소와 농업의 일자리 확대 방향)

  • Lee, M.S.
    • Journal of Practical Agriculture & Fisheries Research
    • /
    • v.20 no.2
    • /
    • pp.13-29
    • /
    • 2018
  • Currently, rural labor markets are undergoing a structural change in which the proportion of non-agricultural industries is increasing, instead of decreasing the proportion of agri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policy for job creation in rural areas through analyzing the employment situation in Rural Korea in the context of this structural change. Using the Census of Agriculture, Farm Household Economy Survey, we analyzed the increase of low income farmers and self-employed farmers. We analyzed the changes of non-farm employment in rural areas using the Census on Establishment.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arms' pathways are very diverse by the levels of income from their own farming and other gainful activitie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polici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development pathways of farm household. Second, most of the farms are in low-income and self-employment status. In order to increase their incom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non-farm income earning policy. The rural non-farm economy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rural Korea. The growth of the non-farm economy will be crucially important when it comes to creating new jobs in rural areas in rural Korea. Third, it is necessary to provide systematic support for rural entrepreneurship as a core policy for expanding jobs beyond agriculture. Rural entrepreneurship has the potential to drive innovations that can reduce poverty and create employment. Fourth,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to increase jobs in the welfare field, which is growing fastest in recent years. In the welfare field, we can find vigorous collective actions in some rural communities such as community business, cooperative movement and various community development activities. Those activities will help increase the employment of aged farmers and low-income farm household.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Korea Agricultural Population Forecasting Model and long-term Prediction (농가인구예측 모형 개발 및 중장기 전망)

  • Han, Suk-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6
    • /
    • pp.3797-3806
    • /
    • 2015
  • A population decline in rural area is correlated with the number of household, with agricultural workers, as a result, affects the farming income. Agricultural population is a foundation of agriculture structure. Agricultural population decline influences agricultural policies to be implemented for the future and there is concern about slowdown in producti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uild the ability to use the model and conduct applied analyses of various kinds and to make rational agricultural policies by forecasting and analyzing agricultural population change. Unlike previous studies, which have some assumptions about the giving-up farming rate (GFR) of the key points on the agricultural population model or, After estimating only one equation with respect to the total population, and then distribute by sex and ag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actions are different from the farmhouse, gender, age by estimating giving-up farming rate (GFR) equations each gender & age.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find that Farm Population changes of the simulation can be performed for a variety of agricultural policy in conjunction with existing agricultural simulation models as well.

Analyses of drought propagation characteristics and damage pattern using meteorological, agricultural, and hydrological drought indices (분야별 가뭄지수를 활용한 우리나라 가뭄 전이 특성 및 가뭄 피해 양상 분석)

  • Ho-Jun Son;Ji Eun Kim;Mi ju Oh;Tae-Woo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321-321
    • /
    • 2023
  • 가뭄은 수개월 혹은 수년간 지속적이며, 점진적으로 광범위하게 피해를 미치는 자연재해이다. 강수 부족과 같은 비정상적 기상환경으로 인해 발생하는 기상학적 가뭄이 지속되어 토양 수분량 감소 및 식생에 영향을 미치는 농업적 가뭄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하천유출량 및 가용수자원이 감소하는 수문학적 가뭄으로까지 진행된다. 이처럼 분야별 가뭄이 장시간 지속됨에 따라 다른 종류의 가뭄을 발생시키는 현상을 가뭄 전이라고 하며, 가뭄이 전이되지 않은 비전이 사상보다 지역에 큰 피해를 야기한다.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가뭄 전이와 관련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상학적, 농업적 및 수문학적 가뭄에 대한 가뭄 전이를 모두 고려하여 가뭄의 전이 및 비전이사상간의 피해 양상을 비교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국 단위의 시군구별 SPI(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GI(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및 PHDI(Palmer Hydrological Drought Index)를 사용하여 각각 기상학적, 농업적 및 수문학적 가뭄을 판단하였다. 각 분야별 가뭄간의 시간적 중복여부를 통해 가뭄의 전이 여부를 판단하고, 가뭄의 전이 특성(풀링, 감쇠, 지체, 연장)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가뭄 전이 사상과 비전이 사상이 발생한 시기의 가뭄 피해 관련 자료를 수집하여, 지역별 가뭄 전이 사상 및 비전이 사상간의 피해 양상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과거 충청북도 충주시는 2011년의 기상학적 가뭄(비전이 사상) 발생시 피해 인구가 없었으나, 2019년의 기상학적 가뭄에서 수문학적 가뭄으로 전이가 발생하여 999명의 피해 인구가 발생하였다. 즉, 동일한 지역에서 다른 시기에 발생한 가뭄 피해 및 동일한 연도에서 인접한 지역의 가뭄 피해를 분석한 결과, 비전이된 가뭄 사상에 비해 전이된 가뭄 사상에서 더욱 큰 피해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