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업적특성

Search Result 1,97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Characteristics of New Ever-bearing Strawberry 'Bokha' Bred for Tropical and Subtropical zone Cultivation (열대 및 아열대 지역 재배용 사계성 딸기 '복하' 육성)

  • Lee, Jong Nam;Kim, Hye Jin;Choi, Mi Ja;Suh, Jong Taek;Nam, Jung Hwan;Hong, Su Young;Kim, Su Jeong;Shon, Hwang Bae;Kim, Ki Deog;Kim, Yul 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rnational Agriculture
    • /
    • v.30 no.4
    • /
    • pp.300-304
    • /
    • 2018
  • 'Bokha' is a new strawberry (Fragaria x ananassa Duch.) cultivar, which was released by the Highland Agriculture Research Institute in 2016. The 'Bokha' cultivar originated from a cross between 'Goha' and 'Saebong No. 3' that showed excellent ever-bearing characteristics, including continuous flowering habit and high soluble-solids contents under long-day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in 2011. This cultivar was initially named 'Saebong No. 8' after examining it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vity in summer culture from 2013 to 2015. After regional adaptability tests in 2016, 'Bokha' was selected from Saebong No. 8 as an elite cultiva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Bokha' include semispreading type, elliptical leaves, and moderately vigorous growth. The fruits are conical in shape, and red in color. 'Bokha' plants have 32.7 leaves, 9.9 more than 'Goha' plants. The soluble-solids content of 'Bokha' was 9.2%, which was 0.2% higher than that of 'Goha'. The average fruit weight of 'Bokha' was about 9.5g and the marketable yield was $27,701kg{\cdot}ha^{-1}$, 72% higher than 'Goha'. 'Bokha' is suitable for tropical and subtropical zone cultivation as a high soluble solids contents cultivar, because it shows continuous flowering habit under long-day and high temperature conditions.

가뭄 진단 및 그 시스템들의 비교분석

  • Byun, Hei-Ryong
    •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2
    • /
    • pp.7-18
    • /
    • 2009
  • 가뭄을 물부족과 구분하여 다시 정의하고, 이에 따라 기상적, 수문적, 농업적, 경제 사회적 가뭄으로 통일할 것을 제의햇다. 이 때 가뭄은 자연력, 즉 강수량 부족에 기인하는 재해만을 의미하며, 그 외 인력, 즉 하천유량 감소, 지하수 및 댐 수위 저하에 기인하는 재해는 가뭄으로 다루지 않고 달리 취급했다. 이에 따라 기상적 가뭄지수는, 단 한 개의 지수로 단기가뭄과 장기가뭄을 모두 표현할 수 있어야 하며, intensive measure여야 하고, 가뭄기간을 먼저 결정한 다음 강도를 결정하는 순서를 택해야 하며, 일별지수로 계산과정이 투명하게 제시되어야 하고, 가뭄 지수와는 달리 수자원의 절대량을 표시해주는 보조 자료가 필요함을 설명하며, 해결책으로 EDI의 특성을 설명했다. 아울러 현재 각국의 가뭄상황을 실시간 Monitoring하는 시스템들을 비교하고 이들이 가지는 문제점과 그 문제점들의 해결방향을 제시한다.

  • PDF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Rice Culm (벼줄기의 기계적(機械的)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Hur, Yun Kun;Lee, Sang Woo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9 no.2
    • /
    • pp.569-575
    • /
    • 1982
  • Mechanical properties of rice plants were tested to determine compressive force, bending force, tensile force and shear force for improvement of harvesting machines and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rice culm during the proper harvesting period. Rice varieties used in this study were two Japonica varieties with Irri 348 and Jinju, and two $Indica{\times}Japonica$ hybrids with Seogwang and Taebaeg, which were grown in the standard fertilization field of Chungnam Rural Development Office. Also Jinju and Taebaeg were tested to elucidate the shearing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d shear force-strain relationship, shear force and shear energy according to the position from the ground level, the shearing angle to the rice culm, and the moisture content. 1. Compressive force, bending force, tensile force and shear force were higher In Japonica varieties than $Indica{\times}Japonica$ hybrids. 2. Shear force to overall culm length decreased progressively to upper positions in Jinju variety but a constant shear force was approximately showed between the ground level and the position of 21cm in Taebaeg variety. 3. Shear force and shear energy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ross sectional area, and the rates of increase were high in general up to the cross sectional area of $10mm^2$ and then they became dull very much. 4. Shear force and shear energy decreased with decrease of moisture content of rice culm after cutting up to the moisture content of 60% (w. b.) and then they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 PDF

Studies on the Isolation and Immunochemical Properties of SIgA from Human and Bovine Milk (인유(人乳) 및 우유(牛乳)로부터 Secretory Immunoglobulin A의 분리(分離) 및 면역화학적(免疫化學的) 특성(特性)에 관(關)한 연구(硏究))

  • Lee, Jo Yoon;Kim, Jong Woo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 /
    • v.22 no.1
    • /
    • pp.82-95
    • /
    • 1995
  • Thes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isolate SIgA from human and bovine milk. The immunochemical properties of SIgA from human and bovine milk were examined by Gel filtration, DEAE and SDS-PAGE. Double Immunodiffusion, and Immunoelectrophoresis.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Human SIgA was purified from colostrum of Korean women by repeated gel filtration on Sephadex G-200 and Sepharose 6B, but bovine SigA was not cleary purified from bovine colostrum of Holstein cows by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using DEAE-Sephadex A-50 and gel filtration on Sephadex G-200 and Sepharose 6B. 2. The immunochemical properties of fractions from gel filtration on the Sephadex G-200 and Sepharose 6B column as assessed by Immunoelectrophoresis and double Immunodiffusion to identify the presence of IgM in first peak fraction, and the presence of pure SIgA in second peak fraction. However, Bovine SigA rich fraction from bovine colostrum of Holstein cows contained a large amount of $IgG_1$-dimer in addition to SIgA. 3. The fragments of reduced bovine colostrum SIgA rich fraction were estimated to have molecular weights of secretory component, heavy chain and light chain (75,000-80,000, 50,000-60,000, 25,000-27,000 daltons) by SDS-PAGE, respectively. Those were similar to the molecular weight of reduced SIgA from human milk.

  • PDF

Effect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Addition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 (백년초 분말 첨가가 소시지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 Jin, Sang-Keun;Shin, Daekeun;Hur, In-Chul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5 no.6
    • /
    • pp.125-134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OFIS) powder addition replacing nitrite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usages stored at $4^{\circ}C$ during 15 days. All samples were divided into six different treatments as follow: C (non-sodium nitrite and -O.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T1 (0.014% sodium nitrite), T2 (0.014% sodium nitrite + 0.5% O.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T3 (0.014% sodium nitrite + 1.0%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T4 (0.5% O.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and T5 (1.0% O. ficus-indica var. saboten powder), respectively. The lightness (CIE $L^*$) of negative control (C) was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p<0.05), and the redness (CIE $a^*$) of T5 treatment showed an intermediate value between T1 and T3 treatment. Yellowness (CIE $b^*$), water holding capacity (WHC) and cohesiveness, springiness and chewiness of T5 treatment were higher than other treatments (p<0.05). However moisture content, pH and whiteness of T1 treatment were the highest (p<0.05). No differences in sensory evaluation were observed between T1 and T5 treatment (p>0.05).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 that OFIS powder improves color and texture properties of sausage, however, specific study related to self-life due to the addition of OFIS powder to sausages may be conducted.

Impact assessment of drainage gate operations on water resources in an estuarine reservoir (담수호의 배수갑문 운영에 따른 수자원 영향 분석)

  • Kim, Sinae;Kim, Seokhyeon;Lee, Hyunji;Kwak, Jihye;Jun, Sang-Min;Kang, Mo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165-165
    • /
    • 2022
  • 담수호는 하구에 방조제를 축조하여 인위적으로 조성된 저수지로, 배수갑문을 통해 적정수위를 유지하면서 이수 목적의 수자원으로 재활용할 경우 경제적이며 효율적인 수자원이 될 수 있다. 한편, 담수호는 유역의 최하류에 위치하므로 담수호의 통합적 수자원 관리를 위해서는 상류 유역 특성과 유입 오염물질 및 수체 특성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수문, 수질, 염도 등 다양한수자원 요소를 고려하여 적절한 관리방안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역모형 및 호소모형을 연계하여 담수호의 내외 수위차를 고려한 배수갑문 운영 시나리오에 따른 호내 수문 및 수질 측면에서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간월호를 대상으로 HSPF (Hydrological Simulation Program-FORTRAN) 모형을 적용하여 상류유역의 장기유출량 및 수질 모의를 수행하여 호내 유입량 자료로 활용하였다. 호소 내 수리-수질 모의를 위해 3차원 수리해석 모형인 EFDC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와 호소수질모의 모형인 WASP (Water Quality Analysis Simulation Program)을 연계하여 배수갑문 운영에 따른 호내 수문 및 수질 변화를 모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수문 및 수질 영향을 고려한 담수호의 최적 수자원 관리방안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Water Budget Analysis for the Target Area Assessment of Groundwater Artificial Recharge (지하수 인공함양 대상지역 평가를 위한 물수지적 접근 방안)

  • Kim, Gyoo-Bum;Hwang, Chan-Ik;Choi, Myoung-R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4-24
    • /
    • 2020
  • 전세계적으로 지하수 인공함양은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가뭄 시대에 효율적인 물확보 방안으로 평가되고 있는 기술로서, 우리나라에서도 2015년 충청 및 강원 지역의 극한 가뭄이 발생한 이후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지하수 인공함양 대상지역의 평가를 위해서는 물의 수요에 대한 진단, 대상지역의 수리수문학적 특성, 지층의 인공함양 가능성, 원수의 확보 여부, 현행 공급 능력의 진단 등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충청남도 홍성군 갈산면 신곡마을은 안정적인 농업용수 공급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상시 가뭄지역으로서 현행 지하수 관정에 의한 취수능력으로는 주기적인 물 부족이 발생하는 지역이며, 대용량의 암반 지하수 관정 개발도 대수층의 특성상 거의 불가능하다. 따라서, 인공함양의 원수로서 하천수 또는 함양영역 밖의 소용량의 암반 지하수를 고려할 수 있다. 월별 물수지 분석 결과, 농번기 초기인 4월에는 수요량 대비 기존 용수원(관정)에 의한 공급량이 충분하여 99 ㎥/d의 여유가 존재하나, 5월에는 215 ㎥/d의 물부족이 발생하게 된다. 반면에, 하천유출량은 3월 1,297 ㎥/d, 4월 2,899 ㎥/d 등으로서 함양원수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수량이 존재할 뿐 아니라, 이 기간의 지하수위가 지표하 약 4~5 m 하부에 위치하고 있어 지하수 함양에 충분한 공간도 확보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정밀한 수치모델링을 통하여 지하수 인공함양을 위한 적정 물량, 지하수위의 분포 변화 예측, 적정 취수량의 결정 등을 수행할 예정이다.

  • PDF

Application Effects of Fermented Mixed Organic Fertilizer Utilizing By-Products on Yield of Chinese Cabbage and Soil Environment (부산물 활용 발효 유기질비료가 배추 수량 및 토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 An, Nan-Hee;Lee, Sang-Min;Oh, Eun-mi;Lee, Cho-Rong;Gong, Min-Jae
    • Journal of the Korea Organic Resources Recycling Association
    • /
    • v.28 no.4
    • /
    • pp.77-85
    • /
    • 2020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mixed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on chinese cabbage growth and soil propert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effects of organic fertilizers, which are developed as an alternative fertilizer for imported castor oil cake. In this study, four treatments were set up: 100% and 200% rate of nitrogen application (320 kg ha-1 for Chinese cabbage) on mixed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A(FA) and mixed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B(FB), respectively, 100% rates of the mixed expeller cake (MEC) fertilizer, and the untreated control. Results revealed that the growth and yield of Chinese cabbage increased as more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was used. However,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rowth characteristics between treatments of 100% rate of mixed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and 100% rate of MEC, the impacts on yields resulted similar. The nitrogen use efficiency (NUE) of Chinese cabbage was measured a range of 20-31% depending on the response to treatment. The 100% FA showed the same as NUE and nitrogen absorption with 100% rate of MEC. Regarding soil properties after cultiv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effects of fertilizers in pH, EC, soil organic matter, and available phosphate. However, the content of exchangeable cations(K, Ca, Mg) was higher in areas treated with mixed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than in untreated areas. Furthermore, the bacterial population density in the soil was higher in areas treated with mixed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than in untreated areas and increased as more mixed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was use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pulation density of actinomycetes and fungi when fertilizer was applied to the soil. These results also show that FA, as a alternative organic fertilizer for imported castor oil cake, has similar nutritional effects as that of MEC. Therefore, further research the appropriate amounts of fertilizer is required to achieve economical and eco-friendly nutrient management.

Development of Horticultural Bedsoils for Organic Seedling (유기육묘를 위한 원예용상토 개발)

  • Yoon, Deok-Hoon;Nam, Ki-Woong;Cho, Dong-Wok;Son, Suk-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9.12a
    • /
    • pp.312-312
    • /
    • 2009
  • 최근 유기농산물의 생산 및 소비 증가에 따라 건전묘 생산을 위한 유기상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의 유기상토는 현재 수도용과 원예용 및 기타용으로 크게 3가지로 구분되고 있으며, 원예용은 채소용과 화훼용으로만 구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작물 특성에 따라 과채류와 엽채류로 구분하여 양질의 묘를 생산하기 위한 유기상토를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개발 유기상토의 원자재는 초탄, 피트모스, 질석, 펄라이트, 제올라이트, 맥반석 및 고형비료의 배합비율을 달리하여 제작하였고, 공정육묘판을 이용하여 작물별로 개발상토와 대조상토로 구분하여 3반복으로 시험하였다. 배추의 경우 개발상토에서 모든 묘소질이 대조상토 보다 좋았으며 광합성 효율을 나타내는 엽면적 지수는 개발상토가 $3.14cm^2$/개 으로 대조상토 $2.91cm^2$/개 보다 높은 결과를 보였다. 육묘트레이당 20개씩 골라 측정한 생체중 및 건물중은 개발상토에서 2.41g과 0.30g으로 대조상토에 비하여 각각 122%, 231%가 증가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오이의 경우, 상토간 엽수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다른 모소질에서는 개발상토가 좋은 결과를 보였다. 고추의 경우 개발상토에서의 엽수는 평균 9.5개인 반면 대조상토에서는 8.5개였다. 초장에서도 개발상토에서 평균 4.2cm정도 컸으며, 엽면적지수 또한 $2.02cm^2$/개로 대조상토의 $1.74cm^2$/개보다 좋은 결과를 보였다. 개발상토를 이용한 고추묘 20개의 평균 생체중은 4.15g이었으며, 대조상토 에서는 2.94g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작물특성에 따라 원예용 유기상토를 엽채류용과 과채류용으로 구분하여 생육특성을 조사한 결과, 초장을 비롯한 모소질이 본 연구에서 개발한 상토에서 양호하게 나타나 유기원예육묘용 상토로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haracteristics of pollutant runoff from sloping upland field during multiple storms (강우시 경사지 밭에서의 오염물질 유출 특성)

  • Lee, Jae Yong;Kim, Jin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99-399
    • /
    • 2015
  • 밭에서의 비점오염은 경사에 따른 토양유실과 높은 비료 시용량으로 부하가 상대적으로 높아 이에 대한 관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개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경사지 밭에서 유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와 특성을 파악하여 밭에서의 비점오염 관리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조사 지구는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미원면 옥화리에 위치한 경사지 밭으로 면적은 0.77 ha이며, 중앙에 위치한 배수로 말단에 삼각위어를 설치하여 4개의 강우사상에 대해 모니터링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강우사상의 강우량은 17.0~33.6 mm의 범위로 나타났으며, 평균 강우강도는 1.0~4.8 mm/h로 나타났다. 유출률은 3.1~26.8 %로 나타났는데, 선행강우가 높은 강우사상에서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오염물질 유량가중평균농도(Event Mean Concentration; EMC)는 TN 5.6~13.1 mg/L(평균 10.8 mg/L), $NO_3-N$ 4.1~12.9 mg/L(평균 9.3 mg/L), TP 0.46~1.34 mg/L(평균 0.8 mg/L), $PO_4-P$ 0.3~0.8 mg/L(평균 0.5 mg/L), SS 1,099~6,547 mg/L(평균 3,438 mg/L) 및 COD 27.1~38.6 mg/L(평균 33.1 mg/L)의 범위를 보였다. TN과 TP의 유량가중평균농도 평균값은 강우시 농촌유역 유출수의 유량가중평균농도인 3.1, 0.3 mg/L보다 높게 나타나 밭으로부터의 유출수가 유역 유출수의 농도를 높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TN 농도는 시비의 영향을 받고, TP 농도는 강우강도와 작물 부분 토양 피복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SS 농도는 평균 강우강도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변화를 보면 TN의 농도는 강우 초기에 높게 나타났으며,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유량이 감소하면서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TP, SS 및 COD의 농도는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유량이 감소하면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SS의 경우 최대농도가 첨두유량 앞에서 나타나는 초기 세척현상(First flush)을 보였다. 향후 보다 많은 강우사상을 대상으로 밭 유출수의 농도 및 오염부하에 대한 추가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오염물질의 유출특성을 파악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