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업적특성

Search Result 1,970,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Paenibacillus polymyxa JE201 with Antifungal Activity Against Fungal Leaf Spot Disease of Aster scaber (취나물 점무늬병을 억제하는 Paenibacillus polymyxa JE201의 생물학적 특성)

  • Ahn, Seong-Ho;Kim, Dayeon;Park, Byeng-Yong;Han, Ji Hee;Lee, Sang-Yeop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 /
    • v.29 no.2
    • /
    • pp.257-273
    • /
    • 2021
  • Koreans consume cham-chwi (Aster scaber thunb.) as a common vegetable in a meal because of its bitter taste and rich flavor. In addition, it is the crop with the most residual pesticides detected in the last five years. Among the detected pesticides, the most common was azoxystrobin, which is a drug used primarily to prevent the leaf spot disease of A. scaber caused by Septoria sp.. We isolated the microorganisms that antifungal activity against Septoria sp.. The optimum incubation conditions (temperature, pH and growth medium) were examined for the growth of the isolates. Additionally, cellulase and protease activity and siderophore production ability were also examined. According to 16S rRNA sequencing of the isolate was affiliated to Paenibacillus polymyxa JE201. Largest inhibition zone measuring up to 9.2 mm was observed for P. polymyxa JE201 after 7 days of inoculation. P. polymyxa JE201 strain showed antifungal activity against various fungal phytopathogens Altanaria sp., Botrytis cinerea, Colletotrichum acutatum, Fusarium oxysporum, Phytophthora capsici, Ph. drechesleria, Rhizoctonia solani and Stemphylium sp.. Based on these observations, P. polymyxa. JE201 can be used as a promising biocontrol agent for preventing the leaf spot disease and other phytopathogens.

Analysis of estuary reservoir water environment under future environmental changes (미래 환경 변화에 따른 하구담수호 물환경 분석)

  • Hyunji Lee;Seokhyeon Kim;Sinae Kim;Jihye Kim;Jihye Kwak;Moon Seong K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61-461
    • /
    • 2023
  • 하구담수호는 하구에 방조제를 축조하여 인공적으로 조성된 저수지로 배수갑문을 통해 적정수위를 유지하고 담수된 물은 농업용수, 공업 및 생활용수로 활용되고 있다. 최근 담수호 수질을 살펴보면 호소수 수질환경기준 IV등급을 상회하여 농업용수로 부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구담수호 수질은 간척농지와 담수호 유역내 농경지, 축사 등에서 배출되는 영양염류, 유사 등에 의해 오염되며, 이들은 경지의 경사, 토양, 강우 특성 등과 같이 다양한 인자들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다. 도시화와 기후변화 등으로 인해 변화하는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위해 하구담수호 물환경의 변화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월호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호소 연계 모형을 이용하여 미래 기상, 토지이용, 용수수요량 등의 변화에 따른 담수호 물환경을 분석하였다.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미래 기상을 적용하였으며 Markov Chain기법 및 FLUS (Future Land-Use Simulation model)모형을 통해 미래 토지이용을 구축하였다. 미래 환경 변화를 적용하여 HSPF-EFDC-WASP 모형을 구동하여 담수호의 수문, 수질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미래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하구담수호를 관리하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을 개발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Monitoring of the Underground Pollutant Infiltration Loads in Greenhouse and Conventional Farming Practices (시설 및 관행재배 지역의 지하침투 오염부하 모니터링)

  • Yoo, Seung-Hwan;Choi, Jin-Yong;Nam, Won-Ho;Hong, Eun-Mi;Choi, Soon-Goon;Park, Na-Young;Jang, Jeo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5-465
    • /
    • 2011
  • 강우가 발생하거나 관개를 함에 따라 농경지의 토양침식물, 잔류 비료나 농약 등의 비점오염원은 지표 및 지하 유출과 함께 거동함으로써 지표수 뿐 아니라 지하수 수질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최근 고부가가치 농산물 수요의 증가로 전국적으로 시설재배 농업이 확대되고 있으나 시설재배 내에서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는 미흡하다. 따라서 시설재배 농업과 관행농업의 비점오염원의 거동 및 지하침투 오염부하를 비교 평가하고 비점오염원을 저감하기 위한 적절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 및 관행재배 지역의 지하침투 오염부하량을 평가하기 위하여 주변 영향이 배제되어 시설재배와 관행재배의 비교 평가 가능한 포장 및 광역 단위 시험포장을 선정하고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먼저 필지 단위와 광역 단위 단위에서의 모니터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수문 및 수질 분석 항목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관행재배지에서의 물수지 모니터링을 위하여 기상 및 강우량, 지하수위, 토양수분, 관개 및 배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고, 토양수 및 지하수의 물질 수지 분석을 분석하기 위한 토양수, 지하수, 논담수 등의 수질 샘플망을 구축하였다. 또한 시설재배지에서의 물수지 모니터링을 위하여 기상, 지하수위, 토양수분 및 관개량을 측정하기 위한 장비를 설치하고, 토양수 및 지하수의 물질 수지 분석을 분석하기 위한 토양수, 지하수, 관개용수 등의 수질 샘플망을 구축하였다. 향후 본 시험 포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샘플링 실시하여 다양한 항목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이 이루어진 다면 시설재배지 비점오염원 모니터링 및 정량화 기술개발을 통해 시설재배지에서의 비점오염에 대한 정량적 자료구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국내 농업비점오염총량 추정 기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spatial variation for evapotranspiration using ECOSTRESS satellite imagery (ECOSTRESS 위성영상을 이용한 증발산량 공간변동성 분석)

  • Jeon, Min-Gi;Nam, Won-Ho;Ok, Jung-Heun;Hwang, Seon-Ah;Hur, Seung-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8-38
    • /
    • 2021
  •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인해 수문·기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심각성이 야기되고 있으며, 가뭄, 집중호우, 태풍 등과 같은 자연재해의 발생빈도와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봄철 가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발생지역이 확산되는 추세이다. 증발산량(evapotranspiration)은 기상학과 수문학에 주요한 농업기상 매개 변수로 다루어지며, 작물의 생육·성장에 필요한 물 수요 및 관개용수 산정에 필요한 인자로 가뭄 분석에 활용하는 중요 인자들 중 하나다. 증발산량 자료 구축에는 증발산계 (Lysimeter)를 이용하여 현장 데이터를 실측하는 방법과 구조화된 알고리즘을 통해 증발산량을 산출하는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우리나라의 경우 증발산계가 설치된 지역이 많지 않고 분포도 조밀하지 않으며, 기상, 식생, 토지 피복 등 다양한 요인들의 영향을 받는 증발산량의 특성상 실측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 이에 물수지 기법, 기상 변수 기반 추정 등 간접적인 방법을 통해 증발산량을 추정하는 연구가 일반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국항공우주국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NASA) 제트 추진 연구소 (Jet Propulsion Laboratory, JPL)의 The ECOsystem Spaceborne Thermal Radiometer Experiment on Space Station (ECOSTRESS)에서 제공하는 위성영상 중 증발산량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구축한 ECOSTRESS 증발산량 적합성 확인을 위해, 청미천·설마천에서 제공하는 증발산량과 비교 및 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시공간적 변동성 분석을 위해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증발산량의 시공간 변동성 결과를 통해 지역별 가뭄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pplication of VIIRS land products for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농업가뭄 모니터링을 위한 VIIRS 센서 지표산출물 적용성 분석)

  • Sur, Chanyang;Nam, Won-Ho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1
    • /
    • pp.729-735
    • /
    • 2023
  • The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is a multispectral sensor that has been actively researched in various fields using diverse land and atmospheric products. MODIS was first launched over 20 years ago, and the demand for novel sensors that can produce data comparable to that obtained using MODIS has continuously increased. In this study, land products obtained using the Visible Infrared Imaging Radiometer Suite (VIIRS) of the Suomi National Polar-orbiting Partnership (Suomi NPP) satellite launched in 2011 were introduced, including land surface temperature and vegetation indices such as the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and enhanced vegetation index. These land products were compared with existing data obtained using MODIS to verify their local applicability in South Korea. Based on spatiotemporal monitoring of an extreme drought period in South Korea and the application of VIIRS land products, our results indicate that VIIRS can effectively replace MODIS multispectral sensors for agricultural drought monitoring.

Study on Characteristics of Vacuum Cooling for Agriculture Products (농산물의 진공예냉 특성에 관한 연구)

  • Lee, W.O.;Yun, H.S.;Chung, H.;Lee, H.D.;Cho, K.H.;Lee, K.H.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02.07a
    • /
    • pp.202-208
    • /
    • 2002
  • 진공냉각장치의 효율적인 설계를 위하여 파일럿 규모의 진공냉각장치에서 진공압력에 따른 작물별 냉각특성과 운전조작에 따른 냉각특성을 구명하는 요인실험을 실시한 결과 가. 배추와 같이 조밀하게 결구되어 있는 작물은 프레시 포인트로부터 습구온도와 품온에 따라 진공압을 조절함으로서 표면과 심부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고 버섯, 상추와 같이 개체가 작은 작물은 진공압력에 따른 온도편차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나. 포장방법에 따른 냉각 특성에서는 무개공 및 개공율 5% 골판지상자, PE 상자, 6mm 통기공이 있는 필름 포장에서의 냉각속도는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으나 0.8mm의 통기공을 가지고있는 필름 포장에서는 냉각속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나 필름 포장을 했을 경우 최소 개공율의 구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 예냉전 농산물 표면에 가수를 했을 경우 배추와 같은 결구성 농산물은 감모율 저하에는 효과적이었으나 무가수에 비해 냉각균일도와 냉각속도가 낮게 나타났으며 버섯에서는 감모율 저하 및 냉각속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ecipitation and the Groundwater Levels and Electrical Conductivity Variation in Agricultural Villages (농업마을에서 강수량과 지하수위와 전기전도도 변동량의 상관관계)

  • Jo, Won Gi;Kang, Dong-hwan;Park, Kyeo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15-415
    • /
    • 2021
  • 농업시설의 확장과 함께 수자원으로서 지하수의 중요성이 점차 커지면서 지하수 수질 특성을 설명하기 위하여 강수량과 지하수 그리고 전기전도도의 상관관계를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많은 연구에서 선행 강수를 고려한 누적이동강수량을 사용하여 지하수위와 강수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줄어든 강수일수와 강수량으로 인하여 지하수 수질 변동의 장기간 분석이 어려워짐에 따라 지하수 수질변동에 대한 강수량의 단기간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지하수위 변동량과 강수량의 상관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지하수위 변동량은 지하수 함양률 산정 및 함양 특성 분석 등 지하수 변동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 예산 효교리에서 2019년 7월 1일부터 2020년 6월 30일까지 지하수위와 전기전도도를 관측하였고 지하수위와 전기전도도 변동량을 강수량과 비교 분석함으로써 단기적인 변동 특성을 해석하고 상관관계를 도출하였다. 먼저, 강수량과 지하수위, 전기전도도의 시계열 분석을 통한 교차상관분석(cross-correlation)을 수행하여 자료 간에 지연 시간(lag time)을 산정하였다. 다음, 지연 시간을 고려하여 강수량과 지하수위 변동량의 상관성 분석과 강수량과 전기전도도 변동량의 상관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A Comparison Between the Agricultural Traits of GM and Non-GM Rice in Drought Stress and Non-stress Conditions (건조 스트레스 환경과 스트레스가 없는 환경에서 GM벼와 non-GM벼의 농업 형질 비교)

  • Racheal, Nafula;Park, Jae-Ryoung;Jeon, Dong Won;Kim, Kyung-Mi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30 no.5
    • /
    • pp.411-419
    • /
    • 2020
  • The development of GM crops has gained significant economic importance, and the number of countries cultivating commercial GM crops has continuously increased since the 1960s. Globally, the area given to cultivating GM soybean, maize, cotton, and canola alone had reached 114 million hectares by 2007. Although the economic importance of cultivating and commercializing GM crops has increased, there is still a need to assess their agricultural traits in comparison to non-GM produce. This study evaluated the agricultural traits of GM rice containing the drought-tolerant gene CaMsrB2 and standard rice to investigate any unintended effects of genetic engineering. The GM and non-GM rice were compared in terms of various agricultural traits in a drought greenhouse and an irrigated paddy fiel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field-grown crops, bu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tiller number and yield in the greenhouse. These results therefore suggest that GM rice lines containing the CaMsrB2 gene are superior in performance to non-GM rice in drought stress conditions and could be grown in drought-prone areas where drought intolerant rice may not be able to grow.

An Analysis of Regional Types of Rural Areas (농촌지역의 유형화와 특성 분석)

  • Yim, Seok-Ho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1 no.2
    • /
    • pp.211-232
    • /
    • 2005
  • Recently, Korean agriculture and rural areas face a huge crisis due to the change in the market environ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under WTO and FTA. Thus, rural policy needs to break from the agriculture-centered sectoral perspective and to develop the various potentials in rural areas. The transformation of rural policy is also required from the aspect of increasing regional differentiation in rural areas. In this context, the paper aims to classify the regional types of rural areas and analyse their features in geographical location, population, farming, public finance and so an. The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rural areas can be classified into 5, 9 or 15 regional types by stages. This implies that there is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tiation ill rural areas. However, there is regional polarization as much as differentiation in rural areas. In this point, rural policy should catch up regional polarization as well as diversity in rural areas.

  • PDF

Genetic Studies of Major Agronomic Traits in Hybrid Populations of Maize Inbred Lines. (옥수수 유망자식계통들의 잡종집단에서 주요 농업형질들의 유전분석)

  • 김남수;이주경;박종열;박기진;류시환;신지현;이명숙;민황기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7 no.3
    • /
    • pp.304-313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scientific maize breeding protocol for developing high performing single cross hybrid using introduced U.S. elite inbred lines; the pattern of inheritance, heterosis and heritabilities of six agronomic traits were studied in the progenies derived from five crosses (Mo17/B14A, Va85/B73, C103/ND203, FR35/Oh43, Wf9/A632). Among the five cross combinations, the cross combination of Mo17/B14A showed the highest heterosis for the most agronomic traits. Among 6 agronomic traits, the grain yield showed the highest heterosis effect in most cross combinations. Most of the agronomic traits in this study showed more than 50% heritability for six cross combinations, with an exception of the ear length trait. In conclusion, since Mo17/B14A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for most of the agronomic traits, these inbred lines were desirable combination and regarded as superior germ plasm sources for F1 hybrid development. The results of current studies will be utilized for developing high performing single cross hybrid from maize inbred lines, and will be used for the further genetic analysis of agronomic traits and maize breed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