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어촌 지역

Search Result 445,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rinking Behaviors of Employeees in Farming and Fishing Communities (농어촌지역 직장인의 음주실태)

  • Yang, Seung-Hee;Kim, Jee-He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a
    • /
    • pp.25-29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지역의 음주문제 관련 상담센타, 사업장 중심의 절주 프로그램이나 치료 서비스가 취약한 형편이어서 농어촌 지역 직장인의 음주문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일 농어촌 지역에 거주하는 20세 이상의 남녀 직장인 53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에 동의하여 회수된 설문지는 512부였으며 이중 부실하게 응답한 12명의 자료를 제외한 50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수집은 2007년 6월 12일부터 2007년 8월 25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설문지의 내용을 이해하며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에게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연구에의 참여를 동의한 대상자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1.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음주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 인식의 평균은 2.93, 부정적 인식의 평균은 3.18로 나타났다. 2. 음주행태에서 음주경험여부는 현재 음주자가 79.7%로 가장 많았고, 비음주자 13.1%, 과거 음주자 7.2%로 나타났다. 음주빈도는 음주경험이 있는 대상자 중 '월 2-4회 마시는 경우'가 38.2%로 가장 많았고, 평소 음주량은 '소주 10잔 이상'이 34.6%로 많았으며 '소주 3잔 이상'인 경우가 전체 대상자의 92.2%를 차지하였다. 3. 대상자의 문제음주 정도 및 특성은 전체 대상자 중 CAGE를 통해 선별된 알코올 의존자(4개 문항 중 2개 이상이 그렇다고 응답하면 알코올 의존으로 규정)의 비율이 96명(25.1%)이었고, AUDIT를 통해 선별된 문제성 음주자(8점 이상)의 비율은 241명(64.8%)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음주로 인한 질병은 위장계 질환이 31.3.%로 가장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볼 때, 농어촌지역 직장인의 음주문제에 관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으로는 음주 문화에 대한 인식개선과 산업체 중심의 절주사업이 필요하며 농어촌 직장인 중 문제음주자 및 알코올 의존자의 조기발견 및 관리를 위한 알코올중독 예방 교육 및 진단 치료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PDF

Analysis of regional inequality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ccording to local welfare environment (지역복지환경에 따른 사회복지시설의 지역분포 불평등 분석)

  • Lee, Yong-Ja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5
    • /
    • pp.75-84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gional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per 100,000 population by using the concentration index(CI)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with the local welfare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distributio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were distributed in rural areas. And concentration of rural area was gradually decreasing. Second, the concentration index of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 was calculated as the negative index. Therefore, social welfar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in rural areas. However, the absolute value of concentration index decreased. Finally, there are many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areas with poor economic conditions, low incomes, low welfare budget input, and poor social demolition indicators. In the fu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inequality of regional distribution of welfare resour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cal welfare environment should be continuously monitored.

ICT-based agricultural water management algorithm (ICT 기반 농업용수 관리 알고리즘)

  • An, Hyunuk;Choi, Eunhyuk;Shin, Ankook;Lee, Jaenam;Kang, Mun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74-174
    • /
    • 2020
  • 현재 4차 산업혁명은 산업 전 분야에 걸쳐 일어나고 있다. 농업용수 분야에서도 데이터를 활용한 수요자 중심의 지능형 물 관리사업 뿐만 아니라 일정규모 이상의 저수지 및 양수장에 대하여 농업용수 공급량 측정을 위한 계측기 설치사업이 추진 중에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설치된 계측장치들의 활용방안에 대해서는 뚜렷한 성과가 도출된 바 없기에 농업용수 계측장치들의 활용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북 진천군 소재 무수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농업용수 계측정보를 활용하여 관개용수의 최적 관리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농업용 저수지의 공급량, 용수간선의 수문개도율에 따른 각각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시나리오별 목적함수를 계산하여 농업용수의 최적 관리를 위한 시설물조작 알고리즘을 도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관개구역 내 수리시설물, 영농방식, 용수공급현황 등의 조사를 통해 농업용수 관개수로망을 구성하고 수리해석을 실시하여 농업용수 최적관리 알고리즘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국내관광트렌드 변화에 따른 어촌마을 활성화에 관한 연구

  • 고신채;안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06a
    • /
    • pp.280-282
    • /
    • 2022
  • COVID-19는 삶의 방식에 매우 큰 영향을 주었고, 특히 관광분야에서 변화는 극명하게 드러났다.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한 여행행태는 '단체/유명관광지'에서 '소수/나만아는장소'로 변화되었으며, 나아가 관광지가 아닌 농어촌지역에 '한달살기', '워케이션' 등 다양한 형태로 분화되고 발전되고 있다. 이러한 여행트렌드는 농어촌지역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동시에 고령화 되고 있는 농어촌지역의 활성화를 위한 촉매체가 될 수 있음이 드러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변화를 시스템화 하여 지역주민과 방문객이 함께 공존하며 지역이 활성화 될 수 있는 종합적 계획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 u-Village' Model for Development Divide Closure between City and Village (${\cdot}$농간 격차해소를 위한 'u-농촌' 모델 연구;지역혁신체계적 관점에서)

  • Koh, Young-Sam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5a
    • /
    • pp.36-41
    • /
    • 2007
  • 최근 도농간 격차가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농림어촌의 발전을 위한 전향적 모색이 요구되고 있는바, 이 글은 u-IT 및 지역혁신체계의 개념을 통하여 이들 지역의 발전모델을 구성하려는 의도로 연구되었다. 이를 위하여 지역혁신체계의 개념, 농어촌 대상 정부정책, u-IT 적용 기술, 농어촌정보화정책 동을 점검하고서, 지역혁신적 u-농촌의 모델을 만들고자 하였다.

  • PDF

Assessment of future rural water requirements using GCMs by extreme climate indices (극한기후지수를 이용한 다중 GCM 분류에 따른 미래 농어촌용수 필요수량 평가)

  • Kim, Yongwon;Kim, Jinuk;Woo, Soyoung;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62-62
    • /
    • 2020
  •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과 강수량 등 기상조건의 변화로 인하여 기상·자연재해뿐만 아니라 작물의 수확량 감소, 병해충 및 잡초 발생의 증가, 흙과 물의 부족, 재배 적지의 변화와 같은 농업인프라 또한 기후변화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농업수자원 측면에서, 농어촌용수는 자연적으로 내리는 강우를 직접 작물성장에 사용하기 때문에 기후변화에 특히 민감하다. 또한 기온의 변화는 농업용 저수지의 증발량 및 유입량의 변화를 일으키며 이러한 변화는 곧 저수위 및 저수량의 변화를 유발하여 농업·농촌 수자원 관리의 어려움으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기후변화에 따라 예상되는 대규모 자연재해를 대비하고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기상·기후 정보의 활용이 중요하며 기후변화로 인한 농업 기상재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미래 기상·기후의 변화에 대한 경향성 분석 및 예측을 통한 영향 평가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국 농어촌용수구역 517개 용수구역 중 접경·도시·도서지역을 제외한 511개 용수구역을 대상으로 증발산량 산정이 가능한 RCP 8.5 기후변화 시나리오 9개를 지역별로 상대적인 기후사상의 크기와 빈도 및 강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STARDEX 극한지수를 적용하여 시나리오의 미래 기상전망을 실시하였다. 기상전망 결과를 이용하여 Kendall-Tau 검정을 통해 시나리오의 순위를 적용하여 각 시나리오의 미래기후변화의 상대적인 정도를 평가하였고, 9개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DIROM(Daily Irrigation Reservoir Operation Model) 모형에 적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높은 불확실성을 고려한 미래 농어촌용수구역의 농어촌용수 필요수량 변화를 지역적으로 분석하고 미래 농어촌용수량의 최대·최소 변화 범위를 제시하였다.

  • PDF

Hydraulic experiment on characteristics of two-way hydroelectric generator (양방향 수력발전기 효율 측정 수리실험)

  • Yoon, Jae Seon;Ha, Taemin;Jung, Jae-Sang;Song, Hyun-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179-179
    • /
    • 2020
  • 최근 관개배수를 위한 배수로의 활용범위는 농경지의 농업용수 공급과 더불어 농어촌 지역의 전기생산량 확보 등 다양한 방면에서 원활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다. 그 중 배수로 내부에 수차의 설치를 연계한 전기에너지 확보는 중소기업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수차의 형상과 가동기법 등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실효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가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수류의 진행에 따라 양 방향으로 수차의 날개 회전이 가능한 양뱡향 수력발전기의 효율적인 운용 유·무 검토를 위하여 배수로 내 수심 및 유속 변화를 적용한 수리실험(원형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실험 조건에 따른 수력발전기의 전기에너지 생산량을 예측하였다. 실험결과 수력발전기의 날개 면이 물과 접하는 최대 흘수심 구간에서 수차의 회전은 최대가속의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전기생산량은 날개 면의 흘수심이 감소함에 따라 비례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

  • PDF

Drought states visualization considering water use sectors (물이용 특성을 고려한 가뭄상황 표출 방안)

  • Kang, Jaewon;Park, Jisung;Seo, Aesook;Cho, You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63-363
    • /
    • 2017
  • 각 기관에서는 가뭄상황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기관의 역할에 맞는 방식으로 가뭄지수를 산정하여 표출하고 있다. 국민안전처에서는 2016년 3월부터 부처간 협동으로 우리나라의 가뭄 상황을 기상학적 가뭄,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으로 구분하여 행정구역단위로 주의, 심각, 매우심각의 3단계로 표출하여 활용하고 있다. 저류시설 등을 고려하여 가뭄지수를 도출하고 가뭄을 세가지 속성으로 나누어서 표출하는 것은 타당하지만, 동일한 행정구역 상에서 각 가뭄속성을 표현하는 것은 실제적인 가뭄상황의 판단과 적절한 전략적 대응을 위해서는 개선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도를 기반으로 용수 이용 상황과 용수공급을 위한 사회기반시설을 고려해서 가뭄상황의 표현을 위한 구역의 재설정과 각 구역별로 적절한 가뭄지수의 적용 및 상황파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통계적 지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설계하고 이를 테스트베드를 대상으로 시범적으로 구현하였다. 산림이나 초지 지역, 관개시설에 의한 용수공급을 받는 논지역, 강수의존형 논지역과 밭지역, 광역상수도나 지방상수도에 의한 공급지역, 기타 생공용수 공급지역 등으로 구분하여 기상학적 가뭄,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 상황이 동일 행정구역내에서도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