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 이용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e of the Rural Housing Standard Plans)

  • 이을규;장택주;주우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17-24
    • /
    • 2011
  • This research is according to the a future-oriented strategy, low-carbon green growth, and it is a basic research for dissemination of rural housing standard plan. Through the survey of plans use, we look at ways to rural housing standard plan use and then needed to establish measures for this. Looking at the type of used plans, we can find several points. One of them, 19 kinds of rural housing standard plans were used among the 61 total cases. Almost all change the plan, the reasons is different for the condition of the land, such as site conditions, family members, personal preferences, house color or material. A few cases have been constructed as rural housing standard plans, but rural housing standard plans are important data for the rural resident to determine plans, and it has an important role in the rural housing design process. Common features of the many rural houses is concrete structure, two stories, and construction period is two to three months. Land area is $300m^2$ to $600m^2$, building area is $71m^2-110m^2$. Heating system is an oil boiler.

농촌주택표준설계도의 분석 (A Study on standard farm-house design)

  • 김진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637-640
    • /
    • 2010
  • 농촌주택표준설계도란 농어촌주택설계를 위한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설계도서를 미리 작성하여 두고 건축하고자 하는 국민들의 취향에 따라 이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건설교통부 장관이 공고한 설계도서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기별로 나타나는 표준주택설계도의 평면 특징을 고찰하고 최근 농촌주택표준설계도의 특징을 고찰 분석하고자 한다.

  • PDF

농촌표준주택의 패턴언어 적용 관계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he Pattern Language in 'Standard Rural-Houses Design')

  • 황용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208-216
    • /
    • 2019
  • 연구의 배경은 농촌주택이 도시주택의 공간구성을 모방하면서 원래의 모습을 잃어버리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농촌주택표준설계도에 크리스토퍼 안렉산더의 패턴언어를 적용하여 농촌주택에 필요한 디자인 구성 요소를 추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범위와 방법은 한국 농어촌공사에서 2009년에서 2014년까지 제작 배포하고 있는 표준설계도에 패턴언어에서 제시하고 있는 디자인 패턴을 적용하여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1) 표준설계도에서 주택배치는 다양한 농촌의 부지 조건을 무시하고 있었고. 2) 대부분 주택마당은 농촌생활의 다양한 행위를 담을 있는 공간임을 고려하여 적극적으로 계획하지 않았다. 3) 표준설계도는 어린이를 위한 공간이 없었고 부엌은 L.D.K 형식으로 내부공간을 통합하여 융통성 있는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4) 귀촌 귀농민을 위한 임대 가능한 별채와 사무공간으로 겸용할 수 있는 공간계획은 없었다. 5) 2014년에는 부부만을 위한 표준설계도 계획으로 면적이 좁은 평면계획이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이 표준주택설계도에서 농촌의 환경과 생활 패턴이 무시된 부분도 있었지만, 패턴언어에서 제시하고 있는 다양한 패턴언어를 농촌주택의 표준 디자인 구성요소로 개발하여 귀촌 귀농민을 유입하고 농민들의 생활패턴에 가장 적합한 주택으로 개발할 수 있는 방안모색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 고령자주택 사례조사에 근거한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 분석 (An Analysis on Rural Housing Standard Plans for the Elderly based on Case Studies of Elderly Housing in Rural Area)

  • 이윤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122-130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problems associated with Rural Housing Standard Plans for the Elderly based on the current status of 12 houses belonging to elderly people (60's and over) living in rural areas and engaged in farming activities, and to suggest improvements. The methods employed were a field survey with interviews and literature review.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lans were deemed inappropriate to prevent the possible accidents in entrance area such as slippiness and falls because the eaves are not long enough. Second, the area of foyer and the volume of foyer storage in the Plans are not enough to accommodate the subject's behaviors and their rural life. Third, rather than using the sink, many subjects preferred to wash simply in the shower while sitting, so the planning of a bathroom can't meet the subject's needs and behaviors. Fourth, the subjects prefer L + DK to LDK but the Plans were designed in the manner of LDK only. Fifth, the subjects have needs for bathrooms belong to the master bedrooms, but only one case of Plans satisfied their needs. Six, bedrooms with the exception of the master bedroom are used as storage in order to make up for a lack of storage space, but many storage space such as dressing rooms and pantries wa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Plans. Lastly, the planning of storehouses does not meet the subjects' using behaviors for storehouses and the level of desirable capacity of g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