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도 조절

Search Result 3,172,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Effect of Dissolved Oxygen on Microbial Transglutaminase production by Streptoverticillium morbaraense (용존산소 농도 조절이 미생물유래 Transglutaminase 생산에 미치는 영향)

  • 유재수;전계택;정용섭
    • KSBB Journal
    • /
    • v.18 no.2
    • /
    • pp.155-160
    • /
    • 2003
  • The effect of dissolved oxygen(DO) on microbial transglutaminase(mTG) production by Streptoverticillium morbaraense was studied in on-line computer controlled fermentation system. In order to control dissolved oxygen during fermentation, the agitation speed and aeration rate of 2.5 L fermenter ranged from 260 to 360 rpm and 0.3 to 3.9 L/min, respectively. The maximum microbial transglutaminase production was obtained at controlled 20% of dissolved oxygen among the various dissolved oxygen controlled batch cultures tested. The production of microbial transglutaminase at controlled 20% of dissolved oxygen was about 2.12 U/mL which was 1.1 times higher than that obtained in batch culture without control of dissolved oxygen. Also, the highest microbial transglutaminase production was obtained in fed-batch cultures in which dissolved oxygen was controlled at 20%, and it was improved almost 1.3 times in comparison with that without control of dissolved oxygen. Maximal dry cell weight and microbial transglutaminase production were 13.2 g/L and 2.6 U/mL, respectively. Finally, it was also found that fed-batch fermentation at controlled 20% of dissolved oxygen showed a good performance for the microbial transglutaminase production by on-line computer controlled fermentation system which may be generally applicable to other microbial cultures.

산소농도 측정을 위한 $UO_{2}$ 펠릿 공기산화로 장치의 갈바닉 센서와 지르코니움 센서의 특성 연구

  • Kim, Yeong-Hwan;Jeong, Jae-Hu;Lee, Hyo-Jik;Park, Byeong-Seok;Yun, Ji-Seop
    • Proceedings of the Korean Radioactive Waste Society Conference
    • /
    • 2007.05a
    • /
    • pp.151-152
    • /
    • 2007
  • ACP(Advanced Spent Fuel Conditioning Process)의 금속전환로에 $U_{3}O_{8}$을 공급하기 위하여 20 kgHM/batch의 $UO_{2}$ 펠릿(pellets)을 처리할 수 있는 공기산화로가 개발되고 있다. 그림 1은 산소농도 조절이 가능한 공기산화로이다. 공기산화로 이전의 공정인 슬리팅 장치에서 탈피복된 $UO_{2}$ 펠릿은 공기산화로로 운반되고, $500^{\circ}C$온도에서 공기를 공급하여 일정한 입도범위의 균질한 $U_{3}O_{8}$을 만든다. 그리고 다음공정의 금속전환장치로 이동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의연료의 산화에 대한 정확한 산소농도를 측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갈바닉 센서와 지르코니움 센서가 사용되었고, 그 특성이 비교되었다. 14종의 금속 산화물이 혼합된 모의연료를 제조하여 산화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시간변화에 따라 산소농도가 측정되었다. 산소농도 컨트롤러와 산소 센서를 사용한 공기산화로는 산소조절기에 의해 산소농도 100%까지 측정될 수 있다. 그림 2는 공기산화로의 산소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산소농도 측정시스템이다. 유량조절기(Mass Flow Controller)를 사용하여 질소와 산소의 혼합비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산소농도 측정시스템은 측정된 산소농도 값을 이용하여 $UO_{2}$의 산화시간을 계산하기 위하여 제작하였다. 산화시간 계산방법은 다음과 같다. 산소와 질소의 가스는 각각 40 L의 압력 봄베에 의해서 산소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공기산화로의 산소농도 측정시스템 안으로 유입된다. 유입된 산소와 질소의 배합은 컨트롤시스템 안에 있는 산소 유량조절기와 질소 유량 조절기를 사용하여 조절하며, 일정하게 혼합된 산소농도는 장치의 입구와 출구에서 산소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다. 투입된 $UO_{2}$ 펠릿이 $500^{\circ}C$에서 반응하면서 공기산화로의 내부에 있는 산소농도가 감소된다. 이때 초기에 같았던 입력과 출력 농도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되며, 펠릿이 완전히 산화됨과 동시에 출력 산소농도가 입력농도와 다시 같아질 때까지 소요된 구간이 산화시간이 된다.

  • PDF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Difference Density and Color (착색렌즈의 농도와 색상에 따른 조절기능 변화)

  • Jang, Jung Un
    •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 /
    • v.20 no.4
    • /
    • pp.453-459
    • /
    • 2018
  • Purpose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accommodative functions by different color density and color of colored lenses. Methods : Participant had a normal NPC and no dyschromatopsia, phoria and eye disease, also had no histories of eye surgery in 31 students of university. Their accommodative functions were measured according to 50%, 80% density of the gray, blue, brown lens and non-colored lenses. Tests of accommodative functions performed include amplitude of accommodation, accommodative facility, relative accommodation, and accommodative lag. Results : The amplitude of accommodation and accommodation lag were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ed lens. Negative relative accommodation was more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ed lens than achromatic. Positive relative accommodation increased when wearing the blue color lens density by 50%. Also, accommodation facility increased when wearing the colored lens, but, as the density of the color increased, the accommodation facility was decreased. Conclusion : As since the accommodation function changes according to density of the colored lenses, working distance and environment of the wearing colored lens should be considered when selecting density and color of colored lenses.

Serratia marcescens Biodegradative, Biosynthetic Threonine Dehydratase와 Acetolactate Synthase의 생합성에 대한 조절

  • 최병범;방선권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1.12a
    • /
    • pp.121-121
    • /
    • 2001
  • 최소 배지에 여러 아미노산과 대사 산물을 첨가하여 배양시킨 Serratia marcescens ATCC 25419 세포추출물에서여 biodegradative threonine dehydratase (BDTD), biosynthetic threonine dehydratase (BSTD)와 acetolactate syntase (ALS)의 비활성도를 조사하였다. S. marcescens BDTD와 ALS는 낮은 농도 (0.5-2 mM)의 cAMP에 의해 촉진적 조절을 받으며, 비교적 낮은 농도의 isoleucine (1-4 mM)에 의해서는 S. marcescens BSTD의 생합성이 증가되고 높은 농도의 isoleucine (10-30 mM)에서는 감소되고 비교적 낮은 농도의 valine (2-4 mM)에 의해서 S. marcescens ALS의 생합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아 S. marcescens ATCC 25419에서 branched chain 아미노산 생합성 과정의 조절 양상은 Escherichia coli K-12와는 달리, isoleucine의 생합성 과정은 BSTD에 의해 조절되고, valine의 생합성 과정은 ALS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Regulation of Ferritin Synthesis by Iron-responsive Element in 5'-Untranslated Region (5'-Untranslated Region에 존재하는 Iron Responsive Element에 의한 Ferritin 합성조절)

  • Chung, In-Sik;Lee, Jung-Lim;Kim, Hae-Yeong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v.41 no.3
    • /
    • pp.224-227
    • /
    • 1998
  • The expression of ferritin involved in iron metabolism is regulated at the translational level by the interaction of iron regulatory protein with iron-responsive element(IRE) in the 5'-untranslated region of ferritin transcript. To identify the role of structural element utilized for translational regulation of ferritin, we studied the effects of mutations in the ferritin IRE by measuring IRP binding activity and translational activity. Our data suggest that the cytosine at bulged position of IRE within ferritin is important for the formation of RNA secondary structure involved in translational regulation.

  • PDF

Target Controlled Conscious Sedation with Propofol and Remifentanil for the Extraction of Impacted Wisdom Teeth (매복지치 발치 시, Propofol과 Remifentanil을 이용한 목표조절농도주입(TCI) 의식하 진정)

  • Bang, Bo-Young;Shin, Teo-Jeon;Seo, Kwang-Suk;Kim, Hyun-Jeong
    •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Society of Anesthesiology
    • /
    • v.10 no.2
    • /
    • pp.159-165
    • /
    • 2010
  • 배경: 매복지치의 수술적 발치 시 propofol과 remifentanil을 이용한 목표조절농도주입(Target controlled infusion) 의식하 정주진정법의 적절한 주입농도를 제시하고 그 안전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방법: 매복지치의 수술적 발치가 예정된 미국마취학회 신체 등급 분류 1, 2에 속하는 15-65세, 142명(여 83명, 남 5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소급 연구하였다. 환자는 수술 전 목표조절농도주입법을 이용한 의식하 진정법 사용에 관한 동의서를 작성하였다. 정맥내 삽관을 시행하고 수액을 공급을 시작하고, 4-5 L/min의 산소를 비관을 통해서 공급하였다. Propofol과 remifentanil의 초기 목표 혈중농도는 각각 $0.5\;{\mu}g/ml$와 1.0 ng/ml로 정하였다. 수술 중, 환자의 불안 통증 정도에 따라 목표농도를 조절하였으며 최저 농도와 최대 농도, 평균 농도, 주입된 총 용량을 기록하였다. 또한 수축기혈압과 맥박 수, 산소포화도, 호기 말 이산화탄소량을 수술 시작 전, 수술 중 5분 간격으로 확인하고 기록하였다. 모든 측정치는 평균 $\pm$ 표준편차나 환자의 수, 초기 측정치에서의 백분율 편차로 표시하였다. 결과: 수술 동안의 목표 혈중농도의 평균은 propofol은 $0.54{\pm}0.11\;{\mu}g/ml$이고, remifentanil은 $1.11{\pm}0.30\;ng/ml$였다. 수술 중 조절된 최대농도는 propofol은 $0.6{\pm}0.23\;{\mu}g/ml$이고, remifentanil은 $1.3{\pm}0.63\;ng/ml$였다. 이는 의식하 진정에 해당되는 범의의 농도라고 할 수 있겠다. 진정동안 환자의 언어적 의사소통은 유지 되었으며 산소 포화도는 4-5 L/min 의 산소 보충 하에 98%이상으로 유지되었다. 수축기 혈압과 맥박은 대부분의 환자에서 정상변위범위(${\pm}20%$)내에서 유지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목표조절 농도주입 의식하 진정에서 사용된 농도(propofol $0.5\;{\mu}g/ml$, remifentanil 1.0 ng/ml)는 안전하게 의식하 진정을 가능한 것을 보여준다. 이는 치과 치료 시 목표조절농도 주입의식하 진정법에서 적절한 목표농도를 제시한다.

Design of Electrolysis Reactor for the Reclamation System (중수도 시스템 운전을 위한 전기분해장치의 설계)

  • Sin, Chun-Hwan;Bae, J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6.11a
    • /
    • pp.323-327
    • /
    • 2006
  • 전류밀도를 $1.0\;A/dm^2{\ell}$로 고정시키고, 촉매로 사용된 소금의 농도를 전체 폐수량의 약 15%로 조절하여 접촉시간을 $0\;{\sim}\;120$ 분으로 조절하여 각각의 시간에서 $COD_{Mn}$ 농도 약 70mg/L의 합성폐수를 전기분해 처리하여 접촉시간 약 30분에서 약 25 mg/L로 제거 되었으며, 60분이 지난 후부터 약 12 mg/L로 제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접촉시간을 1 시간으로 고정시키고, 촉매로 사용된 소금의 농도를 전체 폐수량의 약 15%로 조절하여 전류밀도를 $0\;{\sim}\;2.0\;A/dm^2{\ell}$로 조절하여 각각의 전류밀도에서 $COD_{Mn}$의 농도변화 실험결과 전류밀도 약 1.0 $A/dm^2{\ell}$에서 약 9 mg/L로 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조사 되었다. 접촉시간을 1 시간, 전류밀도를 $1.0A/dm^2{\ell}$로 고정시키고 사용된 소금의 농도를 전체 폐수량의 $0\;{\sim}\;30\;%$로 조절하여 각각의 촉매 첨가율에서 $COD_{Mn}$의 농도변화를 조사결과 촉매 첨가율 30 %에서 가장 높은 처리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촉매의 첨가에 의한 전기분해 효율뿐만이 아니라 직류전원공급기에 전기적 부하 또한 감소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파일럿 시스템 규모의 환경기체조성용 가스 혼합기 개발

  • Lee, Hyun-Dong;Yoon, Hong-Sun;Lee, Won-Ok;Jung, 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93-193
    • /
    • 2003
  • 신선농산물의 환경기체조절 저장 연구 및 호흡속도 측정연구에 필요한 설비중의 하나가 기체 발생기, 기체 실린더 및 이를 제어할 수 있는 가스분석기 이다. 현재는 질소, 산소, 이산화탄소 실린더를 이용하여 기체를 공급하고 기체분석기에서 저장고내의 농도를 측정하여 소정의 기체조성으로 유지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고가의 기체분석기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는 점과 각 기체 실린더의 유지비용이 발생하며 자동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설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격이 저렴하면서 혼합기체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어 파일럿 시스템의 환경기체조절 저장연구에 사용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환경기체조성을 위한 가스 혼합장치의 조작은 시판되는 $N_2$, $O_2$, $CO_2$압축 실린더 또는 질소 발생기 및 공기압축기와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개발된 혼합기의 작동원리는 압력 조절기를 통해서 일정압력 유지시킨 후 정밀 압력 조절기 (IR 2010, SMC Co., Japan)에서 정압을 유지하고 metering valve(SS-SS2, Swagelok Co., U.S.A)를 이용하여 각 기체의 유량을 소정의 비율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각각의 기체는 metering valve에서 조절된 유량의 비로 기체 혼합셀에서 섞이게되고 일정 농도의 혼합기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가스혼합기의 성능실험을 위하여 압력을 조절하여 혼합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실험과 이에 따른 농도 재현성을 측정하였다. 정밀 압력 조절기의 설정압력을 0.04~0.16MPa까지 0.02MPa단위로 압력을 변화 시켜본 결과 발생되는 혼합기체의 유량은 35~175$m\ell$/min의 범위까지 유량을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었으며 발생기체의 농도는 압력에 따라 0.1~0.3%의 편차를 나타내었고 동일압력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재현성 측정 결과는 0.1% 수준으로 나타나 본 장치를 환경기체조절 저장챔버 또는 신선 농산물의 호흡속도 측정에 사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Improvement of Growth and Benzo[c]phenanthridine Alkaloids Production by Modifying Nitrogen Source in Suspension Cell Culture of Eschscholtzia californica (Eschscholtzia californica의 현탁 세포배양에서 질소원 조절에 의한 세포 성장 및 Benzo[c]phenanthridine Alkaloids 생산량 향상)

  • Lee, Song-Eun;Rhee, Hong-Soon;Son, Seok-Young;Park, Jong-Moon
    • KSBB Journal
    • /
    • v.24 no.2
    • /
    • pp.195-200
    • /
    • 2009
  • The effect of nitrogen source on cell growth and benzo[c]phenanthridine alkaloids production by modifying $NO_3\;^-:NH_4\;^+$ ratio in cell suspension culture of Eschscholtzia califarnica was investigated. When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is maintained (60 mM), maximum benzo[c]phenanthridine alkaloids production is about 60.72 mg/L at 50:10 (mol/mol). This productivity was 3.8 times higher than that obtained when cells were grown instandard MS medium. The decrease of $NO_3\;^-:NH_4\;^+$ ratio at 60 mM of total nitrogen caused the decline of both growth and benzo[c]phenanthridine alkaloids production. Under the same concentration of $N0_3\;^-$ (50 mM), higher concentration of $NH_4\;^+$ inhibited cell growth strongly but induced alkaloids production slightly. Also, under the same concentration of $NH_4\;^+$ (25 mM), higher concentration of $N0_3\;^-$ induced alkaloids production strongly but high concentration of $N0_3\;^-$ (${\geq}$100 mM) interfered alkaloids instead. Maximum benzo[c]phenanthridine alkaloids production is about 62.71 mg/L at 50:25 (mol/m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er biomass and higher alkaloids production could be obtained by optimizing each nitrogen concentration as well as $NO_3\;^-:NH_4\;^+$ ratio in the culture medium. Nitrate and ammonium in culture medium have distinct role in the regulation of growth and alkaloids production; ammonium had a strong influence on growth while nitrate had an influence on alkaloids production.

$\textrm{CO}_2$ Concentration Measurement (3) (탄산가스($\textrm{CO}_2$) 농도의 계측 (3))

  • 류관희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 no.1
    • /
    • pp.65-68
    • /
    • 1993
  • 탄산가스는 탄소나 그 화합물이 완전연소할 때, 생물이 호흡할 때, 발효 등에 의하여 생성되는 무색, 무취의 기체로 분자식은 $CO_2$(이산화탄소)이며, 분자량은 44, 비중은 공기 1에 대하여 1.529이다. 식물은 탄산가스와 물을 원료로 태양에너지를 이용하여 탄수화물을 합성하므로 탄산가스는 광합성에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탄산가스가 충분하게 공급되지 않으면 광합성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가 없다. 일반적으로 식물은 대기중의 농도(0.03%)보다 높은 농도에서 포화점을 갖고 있으므로 대기중에서의 탄산가스의 농도는 식물의 광합성작용에 충분하지 못하며, 생육촉진을 위해서는 인위적인 방법으로 탄산가스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실용화되고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