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농경지역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The Effect of Crop Diversification on Agricultural Income (작목다각화가 농업소득에 미치는 영향)

  • Choi, Do Hyeong;Choi, Eunji;Lee, Seong W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7 no.4
    • /
    • pp.1-12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rop diversification on farm households' agricultural income. Abundant literature have explored the determinants and efficient strategies for crop diversification. Yet, there is a paucity of research studies that empirically test the effectiveness of crop diversification as a profitable farm management strategy. Utilizing the 2015 Agricultural Census, this study adopts a quasi-experimental research design to compare the outcomes between farm households that opted for crop diversification and farm households that did not engage in such a strategy. In doing so, this study applies the Heckman Selection Model and the decomposition technique to address the problem of selection bias and to identify the causal effect. Our empirical results show that farms that implement diversification are more likely to earn higher agricultural income than non-diversified farms, although the difference would not be much substantial. This study concludes with several policy proposals to stabilize agricultural income in conjunction with crop diversification.

Temperature and Solar Radiation Prediction Performance of High-resolution KMAPP Model in Agricultural Areas: Clear Sky Case Studies in Cheorwon and Jeonbuk Province (고해상도 규모상세화모델 KMAPP의 농업지역 기온 및 일사량 예측 성능: 맑은 날 철원 및 전북 사례 연구)

  • Shin, Seoleun;Lee, Seung-Jae;Noh, Ilseok;Kim, Soo-Hyun;So, Yun-Young;Lee, Seoyeon;Min, Byung Hoon;Kim, Kyu Rang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2 no.4
    • /
    • pp.312-326
    • /
    • 2020
  • Generation of weather forecasts at 100 m resolution through a statistical downscaling process was implement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ost- Processing (KMAPP) system. The KMAPP data started to be used in various industries such as hydrologic, agricultural, and renewable energy, sports, etc. Cheorwon area and Jeonbuk area have horizontal planes in a relatively wide range in Korea, where there are many complex mountainous areas. Cheorwon, which has a large number of in-situ and remotely sensed phenological data over large-scale rice paddy cultivation areas, is considered as an appropriate area for verifying KMAPP prediction performance in agricultural areas.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predicting KMAPP temperature changes according to ecological changes in agricultural areas in Cheorwon was compared and verified using KMA and National Center for AgroMeteorology (NCAM) observations. Also, during the heat wave in Jeonbuk Province, solar radiation forecast was verified using Automated Synoptic Observing System (ASOS) data to review the usefulness of KMAPP forecast data as input data for application models such as livestock heat stress models. Although there is a limit to the need for more cases to be collected and selected, the improvement in post-harvest temperature forecasting performance in agricultural areas over ordinary residential areas has led to indirect guesses of the biophysical and phenological effects on forecasting accuracy. In the case of solar radiation prediction, it is expected that KMAPP data will be used in the application model as detailed regional forecast data, as it tends to be consistent with observed values, although errors are inevitable due to human activity in agricultural land and data unit conversion.

고고학 유적지에서 적용 가능한 농경 지시자료와 한반도의 농경활동

  • Kim, Hye-Ryeong;Yun, Sun-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Quaternary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11a
    • /
    • pp.23-25
    • /
    • 2006
  • 제4기 만빙기에서 후빙기 사이의 기후변화는 인류문명에 있어 정착생활 및 농경활동과 더불어 잉여생산물 저장을 위한 토기제작 등과 같은 생활상의 변화를 가져 온 계기가 되었다(F.M. Chambers, 1993; Guoyu Ren, 1998; Mori Y, 2002; Martin Bell et al., 2004). 식물화석, 화분, 식물규소체 등의 대리자료(proxy data)를 이용하여 이시기의 식생환경을 밝히는 것은 고생태복원분야 뿐 아니라 당시의 환경변수들 을 추정하여 인간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준다. 그러나 홀로세 초기 환경은 인간에게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나 후기로 올수록 인간 스스로가 환경을 변화시키는 주체가 되었다(Martin Bell et al., 2004). Meyer&Turner(1994)는 인간활동이 자연적인 영향보다 생물구에 시계열적인 변화를 가져왔다고 하였으며, R.B Singh(1995)는 현재뿐 아니라 과거까지 다양한 인위 적인 간섭이 전지구적인 환경변화를 야기 시키는 주된 원인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환경을 복원한다는 것은 바로 그 지역을 생활 터전으로 삼았던 당시 선사인들의 생활상을 간접적으로 들여다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준다. 현재까지 국내 고고학 유적지에서 이루어진 대부분의 발굴조사는 유물과 유구를 토대로 당시 선사인의 생활상을 밝히는데 중점을 두었으나 최근 인간과 영향을 주고 받았을 환경에 관심을 갖고 이를 통해 역으로 인간활동을 추적하려는 다수의 연구들이 제4기학, 고고학, 지리학, 인류학, 생물학, 농학, 기후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제간 연구로 진행되고 있다(황상일 등, 1999; 조현종, 2000; 김주용 등, 2002; 최정민, 2004; 윤순옥 등, 2005). 그러나 이러한 연구에 있어서 어떠한 대리자료(proxy data)를 어떻게 고고학 유적지에 적절하게 적용시킬 것인지 대리자료의 조성변화나 값의 해석에 있어서 기후인자와 인간영향을 어떻게 분리해 낼 것인지에 대한 문제점이 남는다. 예를 들어 화분분석의 경우 1차적인 환경변화에 따른 식생조성변화를 반영한다. 인간이 활발한 농경활동을 하게 되면서 주변식생을 제거하게 되고, 제거된 나대지에는 재배작물과 잡초들이 자라게 된다. 그리고 이들 화분은 주변 소택지에 퇴적물과 함께 퇴적되어 화분분석 결과 벼과(科)(Gramineae)와 문화지표수종이라 부르는 여뀌속(屬)(Persicaria), 국화과(科)(Composite), 쑥속(屬)(Artemisia), 쐐기풀속(屬)(Urtica) 등의 화분에 있어 확연한 조성변화를 보여준다. 그러나 화분을 이용한 분석은 토탄층이나 유기질 퇴적물이라는 한정된 토양에서만 분석이 가능하며, 조성변화에 있어서 역시 기후와 인간활동의 영향 모두를 반영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해 주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대리자료 중 고고학 유적지에 적용 가능한 동식물 화석 및 미화석, 지리, 지질학적 자료에 어떠한 것들을 적용할 수 있는지를 살피고, 몇 가지 대리자료를 중심으로 선사인의 농경활동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 PDF

New Perspectives on the Xiongnu Iron Works based on Archaeological Study (고고학 자료로 본 흉노의 철기문화 -중국 중원계 철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Moon, Jea-beom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6 no.4
    • /
    • pp.64-77
    • /
    • 2013
  • In China, archaeological research on Xiongnu started later than in foreign countries. In the late $19^{th}$ century, several Russian archaeologists started to study Xiongnu's archaeological culture. However, since the late $20^{th}$ century, archaeological research of the Xiongnu in China quickly gained speed. The Xiongnu culture has been reported in Mongolia, northern steppe of China and eastern part of Eurasian steppe. Mainly, Xiongnu sites, dated from the late 2nd century B.C. to the 1st century A.D., are reported on the west side of Baikal Lake(Zabaikal), Mongolia and the Inner Mongolia of China. Based on the historical records and the archaeological remains, the North Xiongnu culture is defined to be the remains of Zabaikal, and the South Xiongnu culture the archaeological remains of Northern China. The expelled North Xiongnu, while fleeing to the western part of Eurasia, left traces of their own archaeological remains in southern Kazakhstan, Xinjiang of China, Altai, and finally appeared in the Europe as Huns. In order to adapt to the environment of northern steppe of China, Xiongnu used a nomadic economic system, giving uniqueness to its iron works. The most characteristic iron works of the Xiongnu is the highly-sophisticated iron weapons. Compared with the iron works of agricultural economic society, Xiongnu iron-works are short of production tools and various vessels. The "Nomadic type" iron works found in Xiongnu area date back to the Warring Country period or slightly later. Further research need to be conducted on "Nomadic type" Xiongnu iron works.

Comparative Folklore Study on Gut in West Coast Area case of a mock hunting and animal sacrifice (황해도굿의 비교민속학적고찰 모의사냥과 동물공희를 중심으로)

  • Im, Jang Hyu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2 no.4
    • /
    • pp.132-151
    • /
    • 2009
  • Gut (Shaman ritual) in the west coast area is consisted to sanyang-geori (hunting), tasal-geori, gunwoong-geori those describe from hunting process to preparing animal sacrifices to a deity. The characteristic of gut in the west coast area which are represented for mock hunting and animal sacrifice ritual is practicing at the sibamasturi in Japan. This paper aims to compare a shaman ritual in west coast area in Korea and Japanese Sibamasturi from the comparative folklore point of view. Gut in the west coast area is well known for dividing sacrificial offering: vegetable for sinryeong and meat for singyeong. This division of spiritual deity shows it has different background from agriculture and hunting culture. Hwanghae-do gut has been formed under the various life environments. Therefore, each stage is condu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itual. Sanyang-geori (hunting) represents the scene of hunting in the mountain and by catching live animals and it refers to Gunwoonsin, and will be offered. Animal sacrifice is a positive ritual which get rid of bad luck and pleased deity. Sibamasturi is practiced in mountain area where most of people involve in hunting and agriculture. Therefore, this area has both agricultural ritual and hunting ritual. Sibamasturi is practiced in January (lunar) and it also has meaning of beginning of agriculture and hunting in mountain area. Ground burnt off for cultivation way symbolizesfire ritual and mock hunting as well as animal sacrifice together. These rituals match to farmers of mountain area in the south-east Asia. The gut in the west coast area and Japanese Sibamasturi have common point that mock hunting and animal sacrifice are practiced at both rituals, however, the structure for these two ritual are different. In other word, there animal sacrifice has been formed with different cultural back ground.

Use of Feeding Site by Wintering Population of White-naped Crane in Han-river Estuary, Korea (한강하구에서 월동하는 재두루미 개체군의 취식지 이용)

  • Lee, Hwa-Su;Kim, Jung-Soo;Koo, Tae-Ho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27 no.4
    • /
    • pp.375-383
    • /
    • 2009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wintering individuals, usage of foraging sites, potential food availability, daily activity and disturbance factors of White-naped Cranes Grus vipio on the wintering site, Han-river estuary, Goyang and Gimpo city, Korea. We want to provide basic data to conserve the cranes. Maxium population was identified 162 individuals at the middle of February in the river side and mud flat of this study area. Spring migration for breeding was started at the first week of March and finished for two weeks later. White-naped Cranes were used four feeding sites in winter; agricultural area in Hongdopyong, Yihwa-dong, Pyong-dong and Songpo-dong. Expected carrying capacity (ECC) was 334 days (121~909 days). White-naped Cranes departed from roosting site to feeding site at every morning for foraging. If they were disturbed by some factors at feeding sites, they moved to mud flat in the Han river to forage and take a rest. Daily activity was consisted of six category; feeding, alert, locomotion, preening, comfort, social and other behaviors. Feeding was the highest portion among behaviors in the wintering area. Feeding, alert, locomotion and preening in daily activities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feeding sites. We watched total 348 times of disturbances in the wintering sites. Artificial disturbances were vehicles, humans, bicycles and motorcycles. Natural disturbances were noises, animals and others. Disturbances in all wintering sites were highest in Yihwa-dong (134 times) and followed by Hongdopyong (109 times), Songpo-dong (64 times) and then Pyong-dong (44 times). And artificial disturbances (228 times) were more than natural disturbances (120 times). Especially, vehicle was one of the most checked factor in the wintering area.

전통.대륙.나라 - 김치는 우리 조상님들이 개발한 걸작품이다

  • Jo, Jae-Seon
    • 식품문화 한맛한얼
    • /
    • v.1 no.2
    • /
    • pp.5-10
    • /
    • 2008
  •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전통 발효식품 김치는 언제, 누가 만들게 되었을까? 원시 농경시대에 들어서서 농작물 재배가 어려운 겨울을 보내야 하는 지역에서는 겨울을 나기 위해 각종 식품 재료들을 저장하지 않으면 안 되었는데 아마도 여러 저장 방법 중 소금에 절이는 염장법을 주로 이용하였을 것이다. 채소류를 염장하여 저장하는 동안 젖산균의 발효작용에 의해서 젖산을 비롯한 각종 유기산이 생성되어 상큼한 맛이 나고 저장성이 증진된다는 것을 알게 되어 이러한 기술로 김치를 만든 것을 계승 발전시킨 것이 오늘날의 김치류이다.

  • PDF

해외자료 - 서구의 질산암모늄시장에 대한 요소의 도전

  • 한국비료공업협회
    • 비료회보
    • /
    • v.14 no.16 s.383
    • /
    • pp.38-49
    • /
    • 1989
  • [ $\ulcorner$ ]서유럽에서의 주요 질소질단비인 질안의 지위는 역사적 및 농경학적 기반위에서 오래도록 유지되어왔다. 그러나, 1980년대중반이래 서유럽에서 비교적 요소의 대량이용력이 이 지역 질안의 우세에 대한 주요도전이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질안생산자에 대한 도전이 된셈이다. 요소의 시장침투 정도는 저가의요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성장이 유지될 전망이 별로 없는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ㅇ르 고수하려는 기존생산자들의 행동으로 반영된다. 첫 번째 대응은 수입자에 대한 법적조치를 취한것이며 최근에는 이들 기존생산자들이 시장의 변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시설용량과 제품형태면에서 그들 자체의 제품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으로 충분할것인가하는 의문은 사라지지 않는다.$\lrcorner$

  • PDF

김해시 지역의 마케팅을 위한 조직개편

  • Lee, Jang-Hwan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5
    • /
    • pp.29-42
    • /
    • 2000
  • 김해시는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진 농경지 중심의 전통적인 농경고장이었으나 근대화의 진전으로 인하여 부산이라는 대도시권에 인접하여 급속한 발전을 하게 되어 인구유입에 따르는 제반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지방자치제도의 실행은 어느 지역에서보다도 김해시 지역에서 경영행정을 추구하는 김해경영을 모토로 행정서비스의 품질향상올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김해시의 노력은 조직의 구성에서도 이미 타시도에서는 볼 수 없는 경영혁신과를 신설하여 행정경영의 의지를 시현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향후 발전적인 도시인 김해시가 가지게 되는 당면한 문제를 10가지의 영역에서 거시적으로 제시하며 이에 대한 유연하고도 적절한 조직적 대처를 통하여 김해시의 행정서비스의 효율성을 증대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김해시의 명확한 비전의 설정과 이를 추진하기 위한 전략적인 계획에 의한 마케팅 마인드를 형성한 시스템적인 접근방식에 따라 운영한다면 김해시의 조직의 효율성과 활성화에 따른 보다 명확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관리지향적이며 통제지향적인 조직의 측면을 보다 효율적인 운영제고를 위하여 정책지향적이고 서비스 지향적인 전략으로 조직개편이 이루어진다면 김해시의 선진 복지행정 구현을 위한 김해경영의 목표 수준은 향상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Study on the Folk Knowledge Industrial Excavation in Gimpo (김포지역 산업화 유망 향토자원 발굴 조사)

  • Kim, Mi-Heui;Lee, Gi-Man;Lee, Young-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Living Science Conference
    • /
    • 2009.09a
    • /
    • pp.103-103
    • /
    • 2009
  • 한국 최초의 벼 재배지이고 농경문화의 근원지인 김포시는 경기도 북서부지역에 위치하고 있다. 북쪽과 동쪽으로 한강을 사이에 두고 있고 강화만 및 한강 하구부 염하 등이 3면을 둘러싸여 있어 김포반도라 한다. 서쪽에 문수산(376m), 장릉산(150m), 수안산(147m) 등의 낮은 산들이 소구릉지를 이루고 있으며 한강에 의한 토사의 운반 퇴적으로 이루어져 농경에 적합한 김포평야를 이룬다. 이런 특징을 갖고 있는 김포지역 향토자원 조사를 위하여 고문헌, 군지, 학술지 등의 자료를 통해 총 563종의 향토자원 목록을 정리하였다. 향토자원의 유형분류를 해보면 인물 193종(34.3%), 자연생태환경 140종(24.9%), 유물유적 136종(24.2%), 민속풍속 79종(14.0%), 전통식품 특산품 15종(2.7%)의 비율로 나타났다. 이 중 활용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자원을 지역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1차 선발 평가하여 기본조사를 실시하였고, 향토자원의 가치, 산업화 가능성 평가를 통해 2차 심층조사 대상을 선정하였다. 김포시 향토자원 목록 총 563종 중, 179종이 기본조사 자원으로 선정되어 기본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화 전설자원이 34종(19.0%), 전통제전 자원이 19종(10.6%), 유적사적지와 건축자원이 각 18종(10.1%), 수변 및 해양자원 자원이 15종(8.4%), 조각 자원이 15종(8.4%), 마을자원이 10종(5.6%) 등으로 나타났다. 각 자원의 명칭을 보면 설화 전설은 선돌이 전설, 김삿갓의 일화, 형제투금, 애기봉전설 등이었고, 전통제전은 김포통진두레놀이, 손돌공 진혼제, 대명리 풍어제 등의 자원이, 유적사적지는 덕포진(사적 제292호), 수안산성(지방기념물 제159호), 장릉(사적 제202호) 등으로 조사되었는데, 특히 지석묘의 분포가 많았다. 기본조사 자원을 대상으로 지역전문가 2차 협의회를 통해 향토자원의 가치, 산업화 가능성 등을 평가하여 53종을 선정하였고, 유물유적 24종(45.3%), 민속풍속 12종(22.6%), 자연 생태환경 10종(18.9%), 전통식품 특산품 4종(7.5%), 인물 3종(5.7%) 비율로 나타났다. 향토자원 산업화는 생산물 품질고급화나 농산물 가공분야가 점차 감소하고 천연염색 공예, 관광, 문화상품 등으로 다각화되고 있으므로 김포시의 농촌문화와 전통지식기술자원이 지자체와 지역주민들에 의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