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논토양

Search Result 5,04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Pesticide Residues in Soils by Dichloromethane Partition - Adsorption Chromatography - GC-ECD/NPD Analytical Methods (Dichloromethane 분배 - 흡착 크로마토그래피 - GC-ECD/NPD 분석법에 의한 토양잔류농약 다성분 분석)

  • Kim, Chan-Sub;Lee, Byung-Moo;Park, Kyung-Hun;Park, Byung-Jun;Park, Jae-Eup;Lee, Young-Deuk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14 no.4
    • /
    • pp.361-370
    • /
    • 2010
  • Considering the efficiencies of the preparation process at each stage obtained in previous studies, the analytical determination method was established for multi-pesticide residues in soils. It consist of the acetone-extraction, the dichloromethane-partition, the Florisil or silica-gel chromatography and the gas chromatography analysis equipped with the electron capture detector and the nitrogen-phosphorus detector. In the soil recovery test by Florisil clean-up system, the number of pesticides recovered in the range of 70~120% and showed less than 20% of RSD were 165 pesticides for paddy soil, 169 pesticides for upland soil and 159 pesticides in both soils through the tested 183 pesticides. And in the soil recovery test by silica-gel system, the number of pesticides recovered in the range of 70~120% and showed less than 20% of RSD were 154 pesticides for paddy soil, 145 pesticides for upland soil, and 134 pesticides in both soils.

폐광산 주변 오염토양의 비소 제거를 위한 알칼리 세척의 최적화

  • 황정성;최상일;한상근;박응렬;장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231-234
    • /
    • 2004
  • 비소로 오염된 폐광산 하류부의 하천퇴적 토양과 밭 토양에 대한 연속추출법 적용 결과, 토양과 비소의 결합력이 약하여 쉽게 용출이 가능한 비소가 각각 39.5%, 33.8%로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crystalline minerals에 존재하는 비소도 각각 52.6%, 62.3%의 큰 비중으로 존재하였다. 수산화나트륨을 최적 농도인 200mM과 6시간의 운전조건으로 각기 다른 진탕비(1:3, 1:5, 1:10, 1:20. 1:30)에서 연속 토양세척실험을 한 결과, 최적 진탕비는 2가지 토양에 대하여 모두 1:5가 적합하였다. 하천퇴적 토양은 1단계 세척후의 농도가 약 3mg/kg으로 토양환경보전법 가지역의 우려기준(6mg/kg) 이하였으며 2단계 세척시 1mg/kg까지 떨어졌다. 밭 토양의 경우에는 3단계 세척시 나지역 우려기준에 해당되는 20mg/kg보다 낮은 농도를 보였으며, 5단계 세척시에는 가지역 우려기준에 근접한 약 8mg/kg까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MTBE-Contaminated Soil by Soil Enzyme Assay (Soil Enzyme Assay에 의한 MTBE오염 토양 평가)

  • 이은정;안윤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9a
    • /
    • pp.211-214
    • /
    • 2004
  • MTBE로 오염된 토양에서 생태독성학적 접근 방법으로 3가지 토양 효소의 활성도를 측정해 보았다. MTBE의 잠재적 위험성으로 인한 논란은 계속되고 있으나 토양 오염에 대한 지표로써 토양 효소 활성도의 사용타당성 여부에 대한 실험은 이전에 행해지지 않았다. 따라서 중금속 오염 토양에 대해 좋은 지표로 사용되고 있는 토양 미생물 효소의 활성도를 MTBE에 적용하여 실험해 보았다. 사용한 토양 효소는 Acid Phosphotase, $\beta$-Glucosidase 그리고 Arysulfatase였다. 그러나 실험 결과 MTBE로 오염된 토양의 경우 중금속으로 오염된 토양에 비해 토양 미생물 활성도의 감소가 매우 적었다. 따라서 MTBE의 오염 토양의 경우 본 연구에서 측정된 효소의 활성도는 좋은 지표로 적합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했다.

  • PDF

인공오염토양과 자연오염토양의 카드뮴 용출 특성 비교

  • Seo Hyeong-Seok;Sin Hyeon-Cheol;Kim Beom-Seok;Yu Y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5.04a
    • /
    • pp.9-12
    • /
    • 2005
  • 각기 다른 경로로 카드뮴에 오염된 두 토양에서 카드뮴을 중성인 물과 황산 수용액으로 용출하여 보았다. 토양은 자연에서 오랫동안 오염된 금속 폐 광산 토양과 한편으로는 오염되지 않은 토양을 인공적으로 오염시킨 것 두 가지를 재료로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높은 카드뮴 농도에도 불구하고 자연오염 토양의 경우 추출용매가 물인 경우에는 카드뮴이 거의 용출되지 않았고 산 용액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농도의 카드뮴이 꾸준히 용출되었다. 이에 반하여 인공오염토양의 경우 카드뮴의 용출량이 많아, 현실적으로 공장부지 등지에서 급격히 오염된 토양에는 산성비가 내릴 경우 카드뮴이 지하수를 오염시킬 위험성이 금속 폐광산등 자연적으로 오염된 토양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성인 물에서도 인공오염토양 내 카드뮴의 초기 용출량이 크게 나타났는데, 이것은 공단부지 등에서 상대적으로 토양의 카드뮴 오염이 빠르게 진행된 지역의 지하수 등이 카드뮴 오염에 상대적으로 크게 노출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 PDF

Arsenic Movement in the Soils around a Closed Zinc Mine (폐 아연 광산 주변 토양에서 비소의 이동양상)

  • Seo, Young-Jin;Choi, Jyung;Kang, Yun-Ju;Park, Man;Kim, Kwang-Seop;Lee, Young-Han;Komarneni, Sridhar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3 no.1
    • /
    • pp.51-59
    • /
    • 2010
  • The sediments and soils around a mine are likely to be exposed to contamination of arsenic (As) through mining operations. In this stud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As movement in soils around a closed zinc (Zn) mine were evaluated by the relationship of As distributions to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oils. A sequential extraction scheme, based on a soil P fractionation, was used to assess the As distributionsin solid phas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s distributions was found between paddy and upland soils. While As contents of paddy soils increased with soil depth, those of upland soils decreased with soil depth. In upland soils, As showed additional significant relationships to oxides of Si, Al and Fe. Although a major fraction of As in soils was found to be in the NaOH extractable fraction, As exhibited highly significant relationship to the Zn species that apparently originated from the mine. Therefore, As mobility around Zn mine seems to be governed by mass flow of the particulates containing As-associated Zn in paddy soils, whereas retention reactions such as adsorption, complexation, and precipitation seem to predominate in upland soils.

Effects of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Paddy Types and Agricultural Climatic Zone on CH4 Emissions from Rice Paddy Field (벼 논에서 토양 유기물 함량, 논 유형 및 농업기후대가 CH4 배출에 미치는 영향)

  • Ko, Jee-Yeon;Lee, Jae-Saeng;Woo, Koan-Sik;Song, Seok-Bo;Kang, Jong-Rae;Seo, Myung-Chul;Kwak, Do-Yeon;Oh, Byeong-Gun;Nam, Min-Hee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4 no.5
    • /
    • pp.887-894
    • /
    • 2011
  • To evaluate the effects of abiotic factors of paddy fields on greenhouse gases (GHGs) emissions from rice paddy fields, $CH_4$ emission amounts were investigated from rice paddy fields by different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paddy types, and agricultural climatic zone in Yeongnam area during 3 years. $CH_4$ emission amounts according to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in paddy field were conducted at having different contents of 5 soil organic matters fields (23.6, 28.7, 31.0, 34.5, and $38.0g\;kg^{-1}$), The highest $CH_4$ emission amount was recorded in the highest soil organic matters plot of $38.0g\;kg^{-1}$.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r=$0.963^{**}$) was obtained between $CH_4$ emissions from paddy fields and their soil organic matter contents. According to paddy field types, $CH_4$ emission amounts were investigated at 4 different paddy fields as wet paddy, sandy paddy, immature paddy, and mature paddy. The highest $CH_4$ emissions was recorded in wet paddy (100%) and followed as immature paddy 64.0%, mature paddy 46.8%, and sandy paddy 23.8%, respectively. For the effects of temperature on $CH_4$ emissions from paddy fields, 4 agricultural climatic zones were investigated, which were Yeongnam inland zone (YIZ), eastern coast of central zone (ECZ), plain area of Yeongnam inland mountainous zone (PMZ), and mountainous area of Yeongnam inland mountainous zone (MMZ). The order of $CH_4$ emission amounts from paddy fields by agricultural climatic zone were YIZ (100%) > ECZ (94.6%) > PMZ (91.6%) > MMZ (78.9%). The regression equation between $CH_4$ emission amounts from paddy fields and average air temperature of Jul. to Sep. of agricultural climatic zone was y = 389.7x-4,287 (x means average temperature of Jul. to Sep. of agricultural climatic zone, $R^2=0.906^*$)

The Study of Soil Environmental Policy in Netherland (네덜란드의 토양환경 정책연구)

  • 송창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7.05a
    • /
    • pp.101-104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네덜란드에서 시행하고 있는 토양환경정책을 정리하고, 국내의 적용성에 대해서 검토해 보았다. 네덜란드의 토양환경관리의 목표점은 토양의 다기능성을 유지시키고자 한 것으로서 다기능성의 회복에 토양정화의 주목적이 있다. 네덜란드의 토양법체계는 토양보호법을 기점으로 주변에 환경관리법, 건축법등을 통해 토양환경의 보전을 하고 있으며, 공장지대나 주유소는 토양보호법의 테두리안에서 별도의 명령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 아울러 정화의 책임을 명확히 하였으며, 정화의 책임순서로는 오염원인자, 소유자, 권리행사자 순으로 되어 있으며. 정화는 오염자 스스로 정화를 하도록 유도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정부가 돈을 투자하여 정화를 행하고 있다. 아울러 건축물을 짓고자 할 경우에는 토양에 관한 조사를 하도록 하고 있으며, 토지를 사고 파는 과정에서는 반드시 토양의 질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도록 행하고 있다.

  • PDF

토양세척기법에 의한 비소 제거에 관한 연구

  • Hwang, Jeong-Seong;Choi, Sang-Il;Ryu, Du-Hyeon;Jang, 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350-35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비소로 오염된 토양 정화를 위한 수산화나트륨의 적용성에 관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산화나트륨과 함께, 중금속 제거에 효율적이라고 알려진 염산과 citric acid를 50mM과 100mM로 적용하여 비교 세척실험을 실시하였다. 선정한 비소로 오염된 토양 중 광미와 밭 토양에 대해서는 수산화나트륨에 의한 세척이 보다 효율적이었으며, 하천퇴적 토양의 경우에는 수산화나트륨이 citric acid와 비슷한 효율을 보였다.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시간에 따른 용출실험 결과, 3가지 토양 모두 적용농도 범위 내에서는 6시간 이후부터 90%이상의 비소 용출효율을 보였다. 수산화나트륨의 최적 농도 선정을 위해 각기 다른 농도 (50, 200, 300, 500, 750, 1000 mM)를 이용하여 각각의 토양을 세척한 결과, 3가지 토양 모두 200mM이 최적 농도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