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논과 밭

Search Result 680,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nalyses of Pungency-Related Factors of Field and Rice Paddy Garlic (마늘과 논마늘의 주요 매운맛 관련 인자의 분석)

  • Oh, Hye-Lim;Kim, Na-Yeon;Sohn, Chan-Wok;Ryu, Bo-Ram;Yoon, Jun-Hwa;Kim, Mee-R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41 no.5
    • /
    • pp.655-66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pungency-related factors of field garlic (FG) and rice paddy garlic (RG) from Youncheon province. Allicin, alliin, and S-allyl-L-cysteine (SAC) contents were analyzed by HPLC. In addition, activities of alliinase, GTPase (${\gamma}$-glutamyltranspeptidase), and pyruvate content of garlic were measured. The moisture content of RG (65.86%) was higher than that of FG (63.34%). However, crude lipid, crude protein, crude ash,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RG were lower than those of FG. The alliin contents of FG and RG were 8.97 and 8.22 mg/g, respectively. The allicin content of FG (2.83 mg/g) was higher than that of RG (2.22 mg/g). Further, SAC content of FG (1.74 mg/g) was higher than that of RG (0.104 mg/g). Alliinase activities of FG and RG were similar, whereas the GTPase activity of FG was higher than that of RG. These results show that the stronger pungency of FG is due to the higher amount of alliin and SAC as well as the higher activity of GTPase compared to RG.

Estimation of Water Demands for Irrigation by Integrated Analysis of Landuse Change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토지이용변화와 잠재증발산량 분석에 의한 관개용수 수요량 추정)

  • Lee, Byung Sun;Myoung, Wooho;Lee, Gyu Sang;Song, Sung-Ho;Ha, Kyoo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81-281
    • /
    • 2020
  • 이 연구는 농업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대표적인 국내 농어촌지역에 대하여, 토지이용변화와 잠재증발산량 분석을 통해 관개용수 수요량을 추정하여, 가뭄 수요대응 상시 용수공급체계를 수립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지역은 총 1,164필지(면적 약 289 ha)로 구성되며, 지하수 공공관정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53%) 편이다. 농경지는 537필지(약 46 ha)이며 총면적(약 289 ha)의 약 16% 이고, 논이 약 11%(약 33 ha), 밭이 약 5%(약 13 ha)에 해당한다. 최근 10년(2010-2019년)간 농작물 재배면적을 살펴보면 논벼가 전체 농경지(46 ha)의 65-75%(약 32-33 ha)로 가장 넓다. 논벼를 제외하면, 깨(9-12%; 4-6 ha), 고추(3-9%; 2-5 ha), 고추/깨 윤작(2%; <1 ha), 수수(2-3%; 1 ha) 등이 나머지 면적에서 생산되며, 최근 들어 단호박, 마늘, 살구, 파, 표고버석, 호박 등 재배작물의 종류가 다양해지는 편이다. 작물별 실제 관개용수 수요량을 산정하기 위해 최근 10년간(2010-2019) 작물별 재배면적 변화, 재배기간, 작물계수, 잠재증발산량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논에 대한 관개용수 수요량의 경우 논(297필지) 면적변화를 기반으로 HOMWR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밭에 대한 관개용수 수요량은 밭(240개 필지)의 재배작물에 대하여 작물별 증발산량이 밭작물의 관개용수 수요량과 동일하다는 가정 하에 산정하였다. 이 결과, 최근 10년간(2010-2019) 연구지역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377천 ㎥/년으로 추정되었다. 논은 밭에 비해 약 6배 관개용수 수요량이 많았고, 상세하게는, 논의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321천 ㎥/년이었고, 반면 밭의 관개용수 수요량은 평균 56천 ㎥/년으로 산정되었다. 밭용수의 경우, 2010년 이래로 농가소득 증대를 위해 밭작물 재배면적이 증가하면서 밭의 용수 수요량은 해마다 증가추세(40~88천 ㎥/년)를 보였다.

  • PDF

콩 100립중 관련 QTL 탐색

  • Gang, Beom-Gyu;Seo, Jeong-Hyeon;O, Jae-Hyeon;Kim, Hyeon-Tae;Kim, Hong-Sik;Choe, Man-Su;;Sin, Sang-Uk;Baek, In-Yeol;Lee, Jeong-Dong;Gwak, Do-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rop Science Conference
    • /
    • 2019.09a
    • /
    • pp.197-197
    • /
    • 2019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