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지관리

Search Result 256,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he Present Condition of Urban Vegetation and It' Ecological Management Proposal (도시녹지의 실상과 생태학적 관리방안)

  • 오구균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1 no.2
    • /
    • pp.230-239
    • /
    • 1997
  • 공원법이 제정된 이후 40여년 동안 어려운 여건 속에서 공원녹지분야의 양적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면 21세기에는 질적 발전이 이루어져야 되겠다. 도시계획의 틀속에서 최소한의 공원녹지가 지정, 조성되어 관리되고 있으나 지정된 공원녹지가 사유지인 곳이 많기 때문에 공원조성 뿐만 아니라 적절한 녹지관리가 어려워 자연보호식 녹지보호나 식묵행사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변화하는 시민 요구와 도시환경에 발 맞추어 도시환경보전과 경관보전을 위한 녹지체계 수립이나 관리목표를 세분화하지 못하고 체계적이고 선진적인 도시녹지관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체계적이고도 질적인 도시농지관리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저확한 녹지실태 조사와 수요를 토대로 녹지체계정립, 녹지종류의 조정, 녹지종류별 생태학적 관리목표설정 및 세부지침이 선행되어야 한다.

  • PDF

Development of Cartographic Models of Openspace Management for Practical Use of GIS (GIS를 활용한 녹지관리 지도모델의 개발)

  • Gwak, Haeng-Goo;Cho, Young-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5 no.2 s.10
    • /
    • pp.45-54
    • /
    • 1997
  • A mathodology to manage effectively urban open space using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was developed to explore the methology of efficient urban open space management focusing on landscaped trees. Cartographic modeling technique was used for practical use of GIS as a case study of the Childeren's park in Kwangju city. First, spatial and attribute information for efficient landscaped tree management was acqir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tree management cartographic model. Second the information of location and the attribute of individual trees can be applied as a means of decision making in tree management. Thira optimal path of tree management and priority of management in work process of the selected urban open space could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bjective of park management.

  • PDF

POLICY PLAN FOR PARKS AND GREENERIES IN SEOUL

  • Lee, Sa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Professional Engineer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12b
    • /
    • pp.30-48
    • /
    • 1995
  • 서울시는 국가의 수도로서 이제 6n년의 역사를 맞이하였다. 뛰어난 산수와 자연 경관을 가진 서울시의 자연은 근세이후 도시의 발전에 따른 점차적으로 훼손되어 왔으며, 특히 1960년대 이후의 도시성장기에 시행된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은 공원 녹지의 잠식을 가속화시켜 본래의 자연은 양적, 질적 측면에 많은 피해가 발생되었다. 또한 도시 정책의 부분으로서 공원 녹지 정책은 개발 위주의 도시 정책에 밀려 제기능을 발휘 할 수 없었으며, 정책에 있어서도 목표와 미래 방향에 대한 뚜렷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현재 공원 녹지와 관련된 정책 환경을 볼 때, 각종의 도시개발 사업, 지방 자치제 시행에 따를 도시의 난 개발은 부족한 공원녹지를 더욱 잠식하는 위협요소가 되고 있으며, 토지수요에 대한 공급의 한계 상황에 직면해 있는 시점에서 개발론자 들은 공원 녹지를 개발의 주요대상으로 인식하는 자세를 견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구 환경의 문제의 대두, 환경에 대한 시민의 관심, 정책 집행자들의 환경 보전과 관리의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고 있어 서울시의 공원 녹지의 미래 전망을 밝게 해주는 긍정적인 요소가 되고 있다. 2000년대를 바라본 현시점에서 도시의 기간 요소로서 공원 녹지는 단지 존재만의 가치가 아니라 적정한 기능을 부여하고 이용의 활성화를 통한 공원 녹지의 새로운 탄생이 요구되고 있다. 이것은 공원 녹지정책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양적 측면에서의 풍요로움과 질적 측면에서의 기능성의 회복과 도시 구성적 측면에서의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의 구성이라는 3가지의 정책 이슈를 제기한다. 양적 측면에서 녹의 풍요로움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공급 지표 위주의 정책보다는 공원 녹지의 총량적인 관리 체제를 통한 전 도시적 차원의 공원녹지 관리 시스템이 필요하며, 공원 녹지로서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는 새로운 유형의 공원 녹지의 조성과 각종 개발사업에 대한 공원 녹지의 잠식 방지를 위한 명확한 사회적인 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적극적 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방안이 동시 에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공공에서는 정 책 집행을 위한 조직과 행정의 개편, 예산의 확보 방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현재 서울시는 지방자치제 시행에 따라 시 행정에 있어 많은 변화가 예고되고 있으며, 공원 녹지는 새로운 환경 변화에 부합되는 적절한 도시요소가 될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시 하천 복개의 금지, 하천공간의 복원에 대한 움직임, 환경 녹지 복구를 위한 사업의 시행, 민간부문의 환경 운동의 활성화 등 바람직 한 현상이 전개되고 있어, 공원 녹지는 미래의 도시 관리 에 있어 주요 관심사가 될 것이다.

  • PDF

Evaluating the Imbalance of Green Space and Establishing its Management Zone Using Spatial Analysis - Focused on the Use of Green Space - (공간분석을 활용한 녹지의 불균형 평가 및 관리권역 설정 - 녹지의 이용적 측면을 중심으로 -)

  • Lee, Woo-Sung;Jung, Sung-G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5 no.2
    • /
    • pp.126-13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imbalance of green space using various spatial analysis methods and to establish the management zone for green space with service supply in the aspect of its use in Daegu. The total green space of Daegu is 48,936.1ha which is the second among 7 metropolitan cities of Korea. According to the imbalance analysis of green space, the Gini's coefficient based on the area was not high, on the other hand, the Gini's coefficient based on the population was high by above 0.6. According to an evaluation of service supply of green space in Dalseo-gu, the area within about 100m around large green space was supplied with green spaces of above $25m^2$/pop. On the other hand, the area such as Sangin, Jukjeon, and Yongsan was not almost supplied with green space. Finally, 'Rich zone', 'Fair zone', 'Poor zone', and Broken zone' c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service supply for the management direction of green space.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selecting the construction priority of new green spaces.

Influence Factors of Street Environment for Provision and Management of Street Green (가로녹지 조성 및 관리를 위한 가로환경 영향요인 분석 연구 - 서울시 관리도로를 대상으로 -)

  • Han, Bong-Ho;Kwak, Jeong-In;Kim, Hong-Soo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27 no.2
    • /
    • pp.253-265
    • /
    • 2013
  • This study wa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rovision and management of street green and street environment through field survey about city official roads(93 routes, 629.2km) in Seoul. Green belt under the street trees were 17.5% of all routes. Composition of street green belt width of 1~ 2m was the most common(11.6%). Management status as a protected facilities were protect frame and prtect cover installed inerval(60.1%). Interval of pruning was 63.5%. Type of tree was mainly 47.9%. Road width was mainly more than 8-line(51.3%). Sidewalk width was mainly 3~6m(84.1%)in environment status of street. Landuse was mainly commercial and business(70.3%). Electronic wire complete was mainly compete with crown(33.6%). Use of sidewalk was mainly used(16.3%). ANOVA analysis was conducted between the Street green and environment of Street. Street green belt(more than with 3m) was analyzed to be effective in street green manufacture. Natural green area of city's outside and Industrial area were analyzed to be effective. Use of sidewalk was to be a management. Protection facilities are installed on the narrow sidewalk width lower intensity. There was a higher strength in narrow sidewalk width, road width and compete with crown. And type of tree was higher strength similarly. Pruning and type of tree showd a significant correlation. Thus, ensure sufficient sidewalk width and land use should be considered for street green was effective manufacture and management. Species selection and pruning management was needed by consider electronic wire management, type of tree and landscape.

Analysis of Changes in Citizen Satisfaction with Parks & Green Spaces in Daegu City, Korea (대구시 공원녹지에 대한 시민 만족도의 경시적 변화 분석)

  • Eom, Boong-Hoon;Han, Sung-Mi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9 no.6
    • /
    • pp.67-75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itizen satisfaction with parks and green spaces in Daegu. Three surveys were conducted using the same measurement tools in 1986, 2001, and 2010.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overall satisfaction level with parks and green spaces increased remarkably over the last25years. Satisfaction levels with city spaces overall were higher than that of nearby surrounding areas. 2. Diversity of green spaces was the most distinguished indicator in increasing level of satisfaction while the management level of green space facilities showed the lowest improvement. 3. The factor analysis for individual variables for satisfaction resulted in two factors: functions and physical conditions were categorized as one factor, and indicators for the planning of green spaces were the other. Using a regression model, the major variables found for satisfaction were diversity, management level of woods, quantitative level, function of static recreation, and management level of facilities, respectively. 4. Regarding satisfaction level by the type of green spaces, green spaces by streets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while green spaces in industrial areas showed the lowest improvement. A factor analysis for each type of green space resulted in 3 factors: green spaces of urban parks, green spaces of urban recreational facilities, and green spaces of each district including residential areas and industrial areas.

Landscape Fragmentation of Circular Greenspace in Cheongju and Requirements for a Sustainable Development (청주시 환상녹지의 경관 파편화 실태와 지속가능한 녹지관리 방안 모색)

  • Kim, Jai-Ha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7 no.1
    • /
    • pp.79-97
    • /
    • 2012
  • This study examines on the impact of biodiversity in circular greenspace of Cheongju city since 2002 greenbelt release. Research h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biotope pattern change with landscape fragmentation. Major landscape fragmentation has occurred with development of residential sector and build-up of major highways. Settlement has been expanded to the entire area connected to urban district excluding the eastern forest. North-south district shows high road density, where inter-regional roads meet in the cross-section. It is found that landscape fragmentation impact on species richness as well as population size of the species varies depending on the animal species. The birds show high species richness in N2, N3, N4, S2(north-south zone) even with high fragmentation rate. This can be explained that birds can access to aquatic environment where they can find abundant food resources. The amphibians and the reptiles show almost no zonal variation in species richness than the birds. The more a zone fragmented in small patches, the species richness of the amphibians and the reptiles also tends to be declined. Information accumulation on biodiversity for integrating landscape planning in urban planning, various level of community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process, and cross border cooperation with neighbouring Cheongwon-gun will be required for sustainable greenspace management of Cheongju City.

  • PDF

기기냉각수 최저온도와 정지냉각계통 유량조절밸브 개도에 관한 설계분석

  • 김도현;이중섭;오종필;오광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5.10a
    • /
    • pp.444-449
    • /
    • 1995
  • 한국형 표준 원자력발전소의 정지냉각운전시 최대냉각율은 75$^{\circ}$F/hr(41.7$^{\circ}C$/hr)로 기술사양서에 규정되어 있다. 정지냉각운전 냉각율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2가지 중요한 변수는 정지냉각계통 열교환기를 지나는 원자로냉각재 유량과 기기냉각수의 온도다. 이중 열교환기를 지나는 원자로냉각재 유량은 butterfly형 정지냉각계통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에 의하여 조절되는데 개도에 따른 throttle 능력이 중요한 인자다. 또 기기냉각수의 온도는 해수온도의 변화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므로 유량조절밸브의 개도와 기기냉각수 온도의 상관관계에 따라 냉각능력이 달라진다. 본 논문에서는 현 울진 3&4호기 정지냉각계통 열 교환기 및 조절밸브 둥의 설비를 기준으로 기술사양서 상의 냉각율 75$^{\circ}$F/hr(41.7$^{\circ}C$/hr) 유지가 가능한 최저 기기냉각수의 온도를 찾아보았고, 아울러 기기냉각수의 온도와 조절밸브의 개도 사이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현재의 울진 3&4호기 조절밸브를 최저개도로 조절할 때 약 57$^{\circ}$F(13.9$^{\circ}C$)의 기기냉각수가 공급되어도 냉각율 제한치를 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최저조절가능 유량이 약 2000 gpm(7570 l/min)일 경우에는 낮은 기기냉각수가 공급될 경우 최대냉각율을 초과하므로 한 train을 정지시키고 한 train만으로 운전할 것을 고려하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이 경우 최저 약 56.5$^{\circ}$F(13.6$^{\circ}C$)의 기기냉각수가 공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의 분석결과는 향후 기기설계사양서나 운전지침서 등에 반영되어 실제 발전소 설계 및 운전절차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공감대의 형성이 요구된다. 질적 측면에서는 공원 녹지의 기능성의 회복이라는 측면과 시대에 부합되는 새로운 기능 및 가치의 부여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공원의 매력, 공원의 시설기능 증진, 녹지의 질의 향상 및 녹지 가치의 증진에 대한 다양한 시책이 요구된다. 구성적 측면에서는 공원녹지의 개별적 존재보다는 공원 녹지를 상호간 유기적인 계통을 확보하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도시 속의 산재된 고립된 섬으로서의 공원 녹지가 아닌 시민생활에 늘 가까이 있는 생활 속의 공원녹지로 재편되어야 한다. 이러한 정책의 의제는 양적 측면에서 보전(CONSERVATION)과 창출(CREATION), 질적 측면에서 쇄신(RENOVATION)과 복구(RESTORATION), 그리고 구성적 측면에서 공원 녹지의 연결(CONNECTION)과 시민 참여에 의한 운동(MOVEMENT)이라는 정책 개념의 구현을 통해 가능하다. 이러한 정책 개념과 의제를 가지고 서울시 공원 녹지 정책을 구체화시키기 위해서 푸르름의 새로운 탄생이라는 기치 아래 풍요로운 서울, 사랑 받는 공원, 생활 속의 녹지의 3대 목표, 공원 녹지의 보전, 잠재 공원 녹지의 창출, 공원의 활성화, 녹지의 복구, 경관 보전 및 복구, 공원 녹지의 네트워크, 도시 녹화의 7대 과제를 설정하고 미시설 공원 녹지 집행, 개발 사업시 공원 녹지의 확보, 환경 녹지의 총량 보호 관리, 도시 소공원 개발, 역사 문화 공원 조성, 하천 공간 복원, 공원 시설 기능 개선, 이용 프로그램 개발, 공원 관리 개선, 환경 피해 녹지의 회복, 도시 환경 림 조성, 녹지 기능 증진, 도시 자연 경관 보전, 공원 녹지체계 구성, 공원 녹지 공급 균형, 주변 환경 녹화, 가로 녹화의 17개 시책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정책사업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서는 기존의 관주도의 일방적인 공원 녹지 행정이 아닌 시민의 참여를 통한 시민이 함께 하는 정 책 사업의 추진이 요구되며, 특히 민간 부문의

  • PDF

Research on the Urban Green Space Connection Paths forthe Enhancement of Ecological Function - Focused on Suwon - (녹지축의 생태적 기능 강화를 위한 도시녹지 연결경로 도출 연구 - 수원시 대상 -)

  • Choi, Jaeyeon;Kim, Suryeon;Park, Chan;Song, Wonkyong;Jung, Kyungmin;Kim, Eunyoung
    •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
    • v.31 no.4
    • /
    • pp.201-213
    • /
    • 2022
  • Creation and administration of green space are emphasized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 and the management of green space in urban area. Urban area with high development pressure faces green space fragmentation, so the planned approach is needed to improve the continuity of green space. However, the current institutional green axis, used to enhance continuity of urban space is merely an abstract concept under the master plan so that is not a consistent framework for urban green continuity providing no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position and path. Therefore, in order to consistently manage green space in continuous point of view, it is insufficient not being connected to each individual green space development projects. This study proposes a method for finding the connection path to enhance urban green space continuity. This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wo phases. First phase is finding nodes to connect current green space and second is to calculate the least cost path. We calculate connection cost using NDMI (Normalized Difference Moisture Index), impervious ratio and official land cost, applying to Suwon city and potential greening site that was planned in official master plan. According to the results, we confirm a possibility of finding a cost-effective connection path with detailed spatial information instead of unrealistic abstract concepts and discuss worth applying to a legally plan and policy.

녹지네트워크계획을 위한 녹지유형구분의 한일비교 연구

  • 강명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82-84
    • /
    • 2003
  • 도시생태환경복원을 위한 녹지기본계획에서 취급되어질 수 있는 녹지유형 구분에 관한 한일비교연구로, 한국의 환경부, 서울시, 울산시의 계획과 일본의 동경도, 오사카부, 아오모리현, 효고현,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의 녹의 기본계획을 참고로, 녹지공간의 구분기준에 대한 고찰을 행하였다. 그 결과내용은 다음과 같다. 한국에서의 녹화공간의 구분은 녹지 공간배치를 중심으로하는 시점에서의 공간 구분을 행하고 있어, 공간 위계질서 체계를 구축함에 유용한 구분으로 되어있다. 이와 달리, 일본에서의 녹화 공간구분은 관련법규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행정적인 시점에서의 공간 구분을 행하고 있어, 실현성 높은 공간 구분으로 행정적인 관리체계에까지 일괄적인 연계가 가능하도록 고려되어 있다. 또한, 도시공간의 동일한 지역구분을 하고 있으나, 그 지역 내의 특성을 살릴 수 있도록 세부지역을 구분하여 지역성을 남길 수 있는 유연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결과. 비록 법적인 체계 정립이 미비한 한국이지만, 녹화의 계획적인 면보다는 행정적으로 실질성을 가질 수 있는 녹지계획의 관련법규 및 규제 등을 고려한 공간유형구분이 보다 유용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