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녹색 건축물

검색결과 121건 처리시간 0.023초

에너지 측면의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 행복도시의 적용실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nergy Planning Technique of Smart Green City : Focus on Application Condition in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Korea)

  • 오덕성;박소연;이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6368-6375
    • /
    • 2015
  • 본 연구는 스마트 그린시티의 목표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에너지 측면의 계획기법과 적용기술을 정리하고, 국내에서 가장 먼저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을 수립한 행복도시를 분석함으로서 스마트 그린시티 계획의 실현방안을 정립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스마트 그린시티의 개념을 정의하고, 3개 목표, 3개 부문, 6개 기본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선행연구 분석과 스마트 그린시티 목표와 계획기법의 기대효과의 연관성을 고려한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통하여 18개 계획기법을 도출하였다. 셋째, 행복도시를 대상으로 도출된 계획기법의 적용실태를 기반여건 조성과 기술 및 시스템 도입 측면으로 파악하였다. 그 결과, 스마트 그린시티 조성을 위한 주요 계획기법은 '도시 에너지 통합관리 센터 구축', '건축물 에너지 관리 시스템', '빌딩 자동화 시스템', '녹색교통 체계 구축', '지능형 교통 시스템', '친환경 교통수단 보급', 등 건축물 에너지 소비 절감과 지능형 녹색 교통 시스템 구축에 관련된 계획기법으로 도출되었으며 향후 개선 방안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례분석을 통한 학교건축 친환경 인증기준의 실내환경 평가항목 적용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Criteria of the Indoor Environment through the Case of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for School)

  • 은소진;이종국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9권1호
    • /
    • pp.23-31
    • /
    • 2010
  • Recently, there are effects such as commercial investment and introducing new technology by introducing a BTL project. As a result, School's conditions are getting better and Numbers of certified schools are increasing, becaus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Criteria was created in 2002 and expanded to schools in March, 2005. But the certificated schools just get the minimum score for certificate level 'good' about 65 points and there is no certificated school level 'very good'. The users of school stay in long time in the facility cause of the unique function of school. It means Indoor Environment Quality Criterion of the school is very important than any other criteria.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ndoor environment factor for the plan of the certificated school by green building rating systems. And this study also wants make the basement of a substantial technical application and development of the criteria in the plan for sustainable green school.

창원시 학교 건축물의 냉난방부하에 대한 전력 소비량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diction of Power Consumption Rate for Heating and Cooling load of School Building in Changwon City)

  • 박효석;최정민;조성우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1권2호
    • /
    • pp.19-27
    • /
    • 201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establish the estimation equation for school power consumption using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collected power consumption for two years of weather data and schools are located in Central Changwon and Masan district in Changwon city. (1) The power consumption estimation equation for Heating and cooling is calculated using power consumption per unit volume,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power consumption and results of estimation equations is 4.1%. (2) The power consumption estimation equation for heating load is showed 2.6% difference compared to actual power consumption in Central Changwon and is expressed 2.9% difference compared to that in Masan district. Therefore, the power consumption prediction for each school using the power consumption estimation equation is possible. (3) The power consumption estimation equation for cooling load is showed 8.0% difference compared to actual power consumption in Central Changwon and is expressed 2.9% compared to that in Masan district. As the power consumption estimation equation for cooling load is expressed difference compared to heating load, it needs to investigate influence for cooling load.

녹색건축 인증제도의 신·재생에너지 인증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New and Renewable Energy Certification Criteria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 이미령;박지혜;한찬훈;태춘섭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3권4호
    • /
    • pp.80-88
    • /
    • 2013
  • Deploying new and renewable energy should be encouraged due to scarce of natural resources and to reduce the $CO_2$ emission. Regarding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2.2.1 new and renewable energy use', and '2.3.1 carbon dioxide emission reductions' are related to new and renewable energy. Applying new and renewable energy can achieve the score in two criteria mentioned above and most of buildings get a perfect score in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system. So these criteria needs to be revised to have discrimination. In this study, supply rate of new and renewable energy of the buildings that have achieved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by 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Institute was analyzed. The improvement of assessment criteria related to new and renewable energy is proposed and could be applied to the revisions.

국가 건물에너지통합관리시스템의 데이터 품질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and Methods to Improve the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Energy Database)

  • 김성민;윤종돈;권오인;신성은
    • 에너지공학
    • /
    • 제25권1호
    • /
    • pp.131-144
    • /
    • 2016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전 세계적인 지구온난화 피해가 심각해지면서 주요원인인 온실가스에 대한 배출 규제가 확대되고 있다. 그 중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를 차지하는 건물분야에 대해 정부에서는 2020년까지 BAU 대비 26.9%까지 감축하겠다는 목표를 발표하였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건물부문의 에너지 수요를 원천적으로 저감하는 녹색건축물 활성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녹색건축물 활성화의 상세 이행계획 수립 및 관리, 그리고 시행에 따른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건물 에너지 사용량에 대한 데이터 및 관련 통계 자료가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전국 680만동의 건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 정보를 통합 관리할 수 있는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을 구축하였다. 하지만 현재 구축된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의 Database는 건축물대장 정보와 공급기관의 에너지정보를 매칭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수동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많은 문제들이 발생한다. 따라서 Database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고도화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과제는 현재 가동 중인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의 Database를 분석하여, 시스템의 한계 및 개선방안 도출하고, 이를 통해 데이터의 신뢰성 확보 및 활용성을 증대 시키고자 하였다. 구축된 Database 분석 결과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정보가 매칭된 유효데이터는 평균 85.6%이고, 미매칭된 데이터는 평균 14.4%로 나타났다. 미매칭된 데이터는 다시 건물 특성에 따른 미매칭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건축물 정보가 없는 경우가 전체의 58.2%에 달했다. 따라서 향후 신규 구축 data의 매칭 작업 용이성 및 현재 Database에 대한 정확성 확보하기 위해서는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정보 간의 주소 표준화 및 속성정보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도시지역 및 영세한 주거지역에서 사용비중이 높은 석유류 에너지원 및 향후 발전 가능성 및 활용 가능성이 높은 신재생 에너지와 같이 다른 에너지원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도록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HP분석을 통한 학교건축 개축 판단 분석 (Analyzing School Architecture Renovation Determination by AHP Analysis)

  • 임재현;이용환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21권4호
    • /
    • pp.13-20
    • /
    • 2022
  • 최근 교육시설정책의 일환으로 전체 학교시설 중 40년 이상 경과된 건축물을 대상으로 공간혁신 차원의 개축사업이 진행 중이다. 노후화 정도 또한 증가하여 안전상의 위험을 초래하여 교직원과 학생의 거주 안전성을 위협하거나 미래 교육과정에 대응되지 못하는 열악한 환경으로 학교건축에 대한 증개축의 필요성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학교건축은 교육과정을 수행하는 교육환경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의 이해와 교육적 효과를 지원하는 교육공간의 명확한 관계 판단 기준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노후 학교건축의 평가 기준을 정하기 위해서는 정량적 분석과 체계화된 평가지표의 연구와 평가방법을 관련 담당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정량화, 정확성을 중심으로 판단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G-SEED 인증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 특성에 관한 연구 : 업무시설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omparison for Energy Consumption Characteristics between G-SEED certified and non-certified Office Buildings in Korea)

  • 김종현;김진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33-43
    • /
    • 2019
  • 기후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세계 각국은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건물부문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의 약 25%를 차지하며, 향후 40%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는 만큼 정부는 에너지 절감 계획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여 추진 중이다. 건물부문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녹색건축인증제도 시행을 통해 보다 에너지 절감형 건축물 설계와 시공을 유도하고 있다. 본 연구는 G-SEED 인증 건축물과 비인증 건축물의 에너지 소비량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에 대한 분석과 결과를 바탕으로 현행 제도의 실효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향후 G-SEED 제도의 개선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소재하고 있는 인증 업무시설 135동과 비인증 업무시설 142동을 대상으로 건축물 정보와 에너지 소비량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인증 업무시설은 비인증 업무시설에 비해 연간 50% 이상의 에너지 절감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은 난방 도일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승인연도가 높을수록 인증 업무시설의 에너지 소비량은 감소하며, 비인증 업무시설은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규모와 인증등급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은 상관관계가 미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는 이상의 분석을 통하여 G-SEED 인증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또한 건축물의 에너지성능 기준이 강화되는 추세를 감안하여, 분야별 점수를 공개적인 자료로 전환하는 것을 제시한다.

건물부문의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 시스템의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Building Energy Efficiency)

  • 유정현;김종엽;황하진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3호
    • /
    • pp.263-270
    • /
    • 2012
  • 정부는 2009년부터 녹색뉴딜사업의 일환으로 국토 에너지 수자원 건물 등의 각종 기본정보를 체계적으로 일원화시키고 통합 DB를 구축하는 녹색국가 정보인프라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이와 관련하여 건물부문의 에너지 절약과 온실가스 저감 대책 마련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수단으로, 건물단위의 에너지 소비량 관리를 기본 골자로 하는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을 진행 중에 있다. 본 시스템의 활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기존의 에너지 정책 및 제도와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 상호보완적인 요소를 도출하는 것이 요구되며 이는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방향성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 측면에서 국가 건물에너지 통합관리시스템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을 도모하기 위하여 현재 진행중인 관련 정책 ,제도 및 통계자료 등과의 연계성을 도출하고,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방안 및 방향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온실가스 관련 정책, 녹색 건축물 보급 확대 방안 및 통계자료 등의 사례를 분석하고 통합관리시스템을 통한 해당 정책 및 제도의 개선점을 개선,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서 통합관리시스템의 구축과 운영방안 수립의 당위성을 재고시키며 향후 녹색뉴딜 사업의 육성을 도모하고자 한다.

건축물 일체형 도시농업에서 딸기와 강낭콩 공영식재에 따른 생육 특성 (Growth Characteristics of Strawberry and Kidney Bean Companion Planting in Building-integrated Urban Agriculture)

  • 이현아;이선영;윤용한;주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955-964
    • /
    • 202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obtain basic data on efficient and eco-friendly crop cultivation for urban residents who enjoy urban agriculture as a hobby or leisure activity. We planted strawberry(Fragaria x ananassa)(S) and kidney bean (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K) in different ratios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soil environment, growth, physiology, and productivity,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Strawberry growth was optimal with S1K2 ratio, whereas the S1K1 ratio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levels of physiology and productivity. In terms of growth and physiology, kidney beans tended to perform best in S1K2 treatment. The average number of productive pods was two, with a highest average value of 2.3 being recorded in S2K1 treatment planted with a high percentage of strawberries. In terms of growth, physiology, and prodctivity our findings indicate that it would be desirable to plant starwberries and kidney bean in a 1:1 ratio. However, considering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walls and rooftops, it is necessary to effectively manage crops suitable for these conditions. Furthermore,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analyze the quality of fruits and seeds producted, both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in the future.

국내 중규모 업무용 건물의 녹색건축인증 등급별 추가공사 비용 영향에 관한 연구 - G-SEED 2016-2 기준으로(2018년 9월 1일 시행) - (A Study on the Cost Impact of Additional Construction as Rating G-SEED Certification of Medium-Sized Office Buildings in Korea - Based on G-SEED 2016-2(Effective September 1, 2018) -)

  • 이두환;김재문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10호
    • /
    • pp.225-234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of G-SEED certification for domestic office building reflecting the latest standard(G-SEED 2016-2), and to derive cost impact by category and level. Therefore, it is intended to provide quantitave cost data according to G-SEED certification at the planning phase of the project, estimate the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per level according to G-SEED Certification of similar project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and encourage G-SEED certification by supporting the decision of the owners. Method: The Process and method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in five steps, 1) Review of previous research, 2) Selection of target project, 3) Scenario setting by level, 4)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for each evaluation category, 5) Extraction of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ratio by level. Result: This paper analyzed the cost impact by deriving the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of detailed category for level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revised G-SEED certification(G-SEED 2016-2). In conclusion, an additional construction cost(ratio) of G-SEED projects to the reference building is drawn as good level; 157,426,241 KWN(+0.43%), very good level; 321,907,802 KWN(+0.88%), excellent level; 999,371,478 KWN(+2.74%), and outstanding level; 1,467,047,718 KWN(+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