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색청정체계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Special News - ESCO협회, 녹색교육기관 인증 받고 ESCO교육의 산실이 되다

  • Seo, Hui-Jeong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76
    • /
    • pp.74-75
    • /
    • 2012
  • 대통령직속 녹색성장위원회는 미래 국가성장동력인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을 효율적으로 전파하고 전문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하기 위해 전국 공무원훈련기관, 공공교육훈련기관, 민간교육훈련기관을 대상으로 '2012년 녹색교육기관'을 공모했다.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안) 제 2조 2호에 따르면, 녹색성장이라는 의미는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기후변화와 환경훼손을 줄이고 청정에너지와 녹색기술의 연구개발을 통하여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며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해 나가는 등 경제와 환경이 조화를 이루는 성장'이라고 명시되어 있다. 녹색성장기관은 이러한 기본법을 바탕으로 저탄소 녹색성장과 관련한 다양한 에너지관련 정책 및 이슈를 넓은 범위로 전파하여 '저탄소 녹색성장'을 보다 친숙하게 접하게 하자는 취지에서 지난 2010년 교육기관 지정을 시작하였으며, 2010년 48개, 2011년 16개, 2012년 11개 총 75개 기관이 녹색교육기관으로 지정 받아 활발한 교육활동을 벌이고 있다.

  • PDF

Alternatives for Establishing a Green-Logistics System in Gwangyang Port (광양항의 녹색물류구축 방안)

  • Kim, Hyun-Duk;Sin, Yong-Jo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6 no.2
    • /
    • pp.36-48
    • /
    • 2010
  • This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trategy a green-logistics strategy of Gwanyang bay area. The Green growth is the new growth concept based on the low carbon and environment-friendly industry. The new paradigm on the global economy growth requests a established logistics industry to be shifted into establishing the environment-friendly green logistics system. Some findings derided from this study are follows: Frist, in order to establish a environment-friendly green growth foundation, it is necessary to attract a green industry such as solar cell, wind force, hybrid car etc. Second, a green logistics system has to be established, including a green port strategy and reducing emission of carbon.

Comparative study of Developing Green Construction Indicators (녹색 건설 성과 지표 개발을 위한 사례 연구 조사)

  • Bae, Jin-Hee;Kim, Tae-Young;Park, Hee-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9-310
    • /
    • 2011
  • 최근 기후변화의 위기를 녹색 기술과 청정에너지를 활용한 신(新)성장동력의 기회로 활용하면서 건설 산업에도 온실가스 저감, 환경오염 저감, 에너지 효율화를 위한 기술적인 활동을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구체적인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건설 사업 초기단계에서부터 녹색건설에 대한 단계별 목표 수립과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성과평가 시스템을 수립하여야 하지만, 성과평가에 대한 이해와 평가방법이 불명확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녹색 건설 성과분야를 경제적요인(Economic), 사회적요인 (Social), 환경적요인(Environmental)으로 구분하여 합리적이고 비교 가능한 녹색 건설의 세부 성과지표를 제시하기 위한 녹색 건설 성과지표 국내 외 사례를 조사 비교 분석 하였다.

  • PDF

Carbon Reduction Effect of Traffic Operational Methods Itemized in National Project for Advanced Traffic Operation and Management (교통운영체계선진화의 탄소감축 효과 연구)

  • Kim, Wonchul;Kim, Jin-Tae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1D
    • /
    • pp.1-11
    • /
    • 2012
  • The presidential council o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the national police agency have initiated a national project to refresh the road traffic control and operation systems to increase operational efficiency at signalized intersections. It would reduce the number of stops and delay of vehicles at intersections and thus mitigate congestion and emission. Although significant reduction of carbon is expected as a consequential result, such effects has yet been studied since traffic operation was behind of interest in the field of green transportation where planning was mainly involved. This paper delivers the macroscopic effects of carbon reduction of the selected items of the national project: the ones managed by the police agenc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ied items yield significant reduction of carbon: pedestrian push button operation, flashing signal operation, progression, lagging left turns, permitted left turn, and actuated left-turn operation would reduce 12.31%, 3.27%, 2.44%, 0.97%, 0.81%, and 0.72% of the total amount of carbon emitted a year in a whole transportation sector, respectively.

Study of the Strategy of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Green Port - the Case of Incheon Port - (녹색항만의 구축과 활성화 방안 -인천항의 사례를 중심으로-)

  • Kim, Hong-Seop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4 no.4
    • /
    • pp.161-180
    • /
    • 2018
  • Environmental value is essential to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humans. Environmental value and its importance are being emphasized, and related disputes are being expanded. The concept of green logistics is understood to be the same as that of the environment. As a way to preserve nature and engage in sustainable development, green logistics includes all logistical activities for protecting nature and minimizing or reducing behaviors that harm the environment for all processes, including using and reusing products and abolishing the search for resources by final users. All areas of human activity, such as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sectors, strive to protect and preserve the environment and nature. In particular, the preservation of the environment shall be stressed in the economic activities that produce various products and expand the value added, and similarly for the social aspects. Green (environment) logistics aims to protect the environment and expand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minimization on Earth. Some important cases and experiences that were introduced and applied in major countries are summarized. This research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the concepts of green logistics, including at ports, which represent a key sector of logistical activities. In this paper, air and water pollution at Incheon Port were investigated, and alternatives and system figures related to improving environmental logistics regarding three dimensions-country, company, and civil society-are recommended.

A Study on the Reduction of $CO_2$ Emission by the Application of Clean Technology in the Cement Industry (시멘트산업공정에서의 $CO_2$배출량 저감을 위한 청정기술 적용에 관한 연구)

  • Park, Young-G.;Kim, Jeong-In
    • Clean Technology
    • /
    • v.16 no.3
    • /
    • pp.182-190
    • /
    • 2010
  • The feasibility of clean technology to minimize the $CO_2$ emission by recycling and reuse the waste materials and energy have been studied for the cement industry. A life cycle assessment (LCA) was performed for an alternative raw material-supply method to use the molted slag as the major raw material in the cement clinker manufacturing. Using this new method, a 60% of $CO_2$ could be reduced that comes out during the decarboxylation from the cement rotary kiln. The energy-efficiency improvement and the alternative energy methods that had been determined in our previous study through the environmental assessment of cement industry were applied to the study for the reduction of $CO_2$ emission. The natural gas, one of the fossil fuels, was also used as the first choice to get the result at the earliest time by the most economic and the most efficient green technology and to switch into the carbon neutral energy consumption pattern.

Analysis of Small Hydro Power Sites Using Diversion Weirs for Agricultural Purpose (농업용 취수보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시설 특성 분석)

  • Lee, Chul-Hyung;Park, Wan-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19-219
    • /
    • 2011
  • 최근 지방자치단체에서는 농업용 취수보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에 관심을 가지고 지자체내의 유휴자원인 하천유수를 이용하여 소수력발전을 함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에너지를 생산하여 석유 등 에너지 수입대체 효과와 전력수요 급증시의 부하평준화에 기여하고자 하고 있다. 이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의 에너지정책"에 부응하는 것이며, 또한 하천에 소규모 인공호수를 조성함으로써 소수력발전소 인근지역의 경관개선과 관광자원화에 기여함은 물론 농업용수 공급과 하천유지수를 조정하여 안전한 하천으로서 그 기능을 하도록 계획한 것이다. 이와 병행하여 소수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무공해 청정에너지를 생산함으로써 전 세계적으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 노력에 동참함으로써 선진형 기후변화 대응체계에 적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 취수보를 대상으로 소수력 발전시설의 성능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소수력발전시설적용 타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그림 1은 농업용 취수보인 북평보의 유역면적도를 나타내고, 그림 2는 북평보에 소수력발전시설을 적용할 경우의 부하특성을 나타낸다.

  • PDF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 of the Small Hydropower Development in Korea: A CGE Analysis (소수력 발전 확대의 경제.환경적 효과: 연산일반균형모형 분석)

  • Kim, Jae-Joon;Park, Sung-J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06-106
    • /
    • 2011
  • 소수력은 온실가스 배출량이 적은 친환경 청정에너지원이면서 지역의 분산전원에 기여할 수 있는 유용한 자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여건은 소수력발전 사업이 전력의 smart grid 구축 효과로 인해 가장 큰 효율성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국내 소수력발전은 1500Mw의 부존량을 가진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계절적 편중으로 인한 가동률 부족, 경제성 부족 등으로 활발한 보급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 확대 전략에도 불구하고 지원금 등 경제적 인센티브 부족으로 인해 민간부문의 참여는 상당히 저조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력에너지는 환경친화적이고 잠재성이 큰 신재생에너지로 온실가스 저감과 에너지 확보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수력에너지는 민간투자의 어려움이 존재하므로 정부의 장기적인 기술개발투자 및 효율성 확대 정책이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소수력 확대의 경제 환경적 효과를 평가해보기 위해 연산일반균형모형 (CGE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을 구축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첫째, 수력발전부문과 수도사업을 구분하고 사회회계행렬을 작성하였으며, 전력부문에서 수력발전을 포함한 다단계 생산구조를 가정하였다. 둘째, 일반균형모형 방정식 체계를 작성하고 모형의 파라미터 추정 등 보정(Calibration) 작업을 수행하였다. 셋째, 국가 중기 온실가스저감 시나리오를 적용한 전망을 수행하고 소수력 확대(투자지원) 시나리오를 구축한다. 본 연구는 저감수단으로 탄소세를 부과하였다. 끝으로, 소수력 발전 보급 확대의 경제적, 환경적 파급효과를 계산하였다. 분석결과, 소수력 발전 잠재 성장을 반영한 수력에너지 비중은 약 2020년에 약 4.5% 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 기여분은 약 3%에 이르는 것으로 계산 되었다. 또한 수도사업과 비에너지 제조업의 산업비중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소수력 발전 확대가 화석연료 대체를 통한 지속가능한 에너지 수요에 기여하고 지역개발과 물산업 발전 등 경제적 파급효과 등을 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 고려하지 못한 소수력 기술 개발은 에너지 대체 촉진으로 인한 온실가스 저감과 녹색성장에 기여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