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색융합기술

Search Result 93,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Effect of Intercropping Ratio on the Cherry Tomato with Basil on the Growth, Physiological, and Productivity Parameters on the Rooftop in Urban Agriculture (옥상 도시농업에서 방울토마토(Lycopersicon esculentum)와 바질(Ocimum basilicum)간의 공영식재가 생육, 생리,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 Ju, Jin-Hee;Song, Hee-Yeon;Oh, Deuk-Kyun;Park, Sun-Yeong;Yoon, Yong-Han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30 no.9
    • /
    • pp.709-717
    • /
    • 2021
  • This study evaluated the growth, physiological responses and productivity based on the intercropping ratio of cherry tomato (Lycopersicon esculentum L.) with basil (Ocimum basilicum L.). on the rooftops to determine out the efficient ratio in urban agriculture. From April to September 2019,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rooftop of Konkuk University Glocal Campus. Cherry tomato and basil were selected as companion plants for eco-friendly urban agriculture on the rooftops. Each plot was created with a width of 100 cm, length of 100 cm, and height of 25 cm. After installing drainage and waterproof layers from bottom to top, substrate was laid out with a height of 20 cm. Intercropping ratio was consisted of a single tomato plant (TC), 2:1 tomato to basil (T2B1), 1:1 tomato to basil (T1B1), 1:2 tomato to basil 2 (T1B2), and a single basil plant (BC), were conducted using a randomized complete plot design with five treatments and three replication (a total 15 plots). Measurements were divided into growth, physiological responses, and productivity parameters, and detailed items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classifying them into plant height, leaf length, leaf width, number of leaves, root length, root collar caliper, chlorophyll contents, fresh weight, dry weight, number of fruit, fruit caliper, fruit weight, and sugar content. Comparative analyses of cherry tomato with basil plants by intercropping ratio, growth, physiological, and productivity responses are determined to be efficient when the ratio of cherry tomato to basil ratio is 2:1 or 1:1.

Growth Characteristics of Lychnis Cognate and Soil Moisture by Organic Mulching Material Type in Extensive Green Roof System (저관리 경량형 옥상녹화에서 유기물 멀칭재 유형에 따른 토양수분과 동자꽃의 생육 특성)

  • Park, Sun Young;Chae, Ye Ji;Choi, Seung Yong;Yoon, Yong Han;Ju, Jin Hee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9 no.2
    • /
    • pp.107-112
    • /
    • 202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ulching materials in extensive green roof syste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soil moisture content and growth response of Lychnis cognata according to the types of organic mulching materials.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a control group that did not use mulching material (Cont.) and a total of five treatment groups, including cocochip (C.O), woodchip (W.O), straw (S.T), and sawdust (S.A), depending on the mulching material. The soil moisture content according to the type of organic mulching material was high in the order of W.O > S.T > Cont. > C.O > S.A,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especially in S.A. The plant height showed good growth in the order of S.T > Cont. > C.O > W.O > S.A,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mulching materials in other growth items except for plant height. Both the chlorophyll and plant water contents were superior to those of untreated group, so the treatment of organic mulching materials is considered to be effective in maintaining the chlorophyll and plant water contents of Lychnis cognata. In particular, the soil moisture content was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lching material itself.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required to use a mulching material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lant in extensive green roof system and it is considered that this can be overcome through organic mulching when selecting a plant species that is weak to water stress.

Forecasting of Green Technologies on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using Patent Analysis (특허 분석을 활용한 ITS 녹색 기술 예측)

  • Lee, Joo-Hyeon;Lee, Chul-Ung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9 no.2
    • /
    • pp.233-241
    • /
    • 2014
  • In this paper, it predicts green technology in the future with "Co-word" which is patent analysis, "technology road-map, life cycle graph of patent activation and trend analysis. Analysis result shows that it would help environment preservation because development of ITS green technology makes carbon emission effectiveness and ITS green technology is especially expected to develop in fuel saving field. In addition, fuel saving field is predicted to be advance more practically technology field with convergence with I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xternal Technology R&D Information Network Diversity and Green Management Performance (중소기업의 외부 기술 연구개발 정보 네트워크의 다양성과 녹색 경영 성과)

  • Hau, Yong Sau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12
    • /
    • pp.187-194
    • /
    • 2017
  • As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the global warming have become more and more serious, the green management has been growing more and more critical to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order to explore factors positively influencing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green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presents the two major implications through the ordinary least squares regression based on the 2,200 data from the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the Republic of Korea. First,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external technology R&D information network diversity positively influences their green management performance from technology R&D. Seco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production process improvement is a partial mediator between their external technology R&D information network diversity and green management performance from technology R&D.

Effects of Activated Carbon on Growth and Physical Responses of Indoor Plant Dracaena braunii to Alleviate Salt-induced Stress in Water Culture (수경재배 시 염소흡착을 위한 활성탄 처리가 실내식물인 개운죽(Dracaena braunii)의 생육 및 생리에 미치는 영향)

  • Ju, Jin Hee;Son, Hye Mi;Kim, Won Tae;Yoon, Yong Han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28 no.3
    • /
    • pp.321-328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growth and physical responsees of Dracaena braunii in response salt accumulation in ornamental water culture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activated carbon on this growth response.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a plant growth chamber and the indoor environmental conditions of the chamber were set at $23{\pm}1^{\circ}C$ temperature, $70{\pm}3%$ humidity, and 1,000 lux brightness. The observation of the growth response of plants in the presence of activated carbon showed that the pH with activated carbon maintained sub-acidic to neutral (6.27~7.32) conditions and showed decreased electric conductivity in the media. As the treatment with added activated carbon showed good growth and physical responses, this indicated that absorp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growth of plants. However, as the absorption effect of activated carbon may decrease over time and the use of high concentrations of activated carbon might cause nutrition shortage, various concentration of activated carbon and their absorption effects need to be investigated in the future.

Smart Water Management for Rural Water District for the pilot operating (농촌수자원 Smart 물관리를 위한 시범지구 운영)

  • Kim, Jin-Taek;Oh, Seoung-Tae;La,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44-444
    • /
    • 2012
  • 본 연구는 세계적인 기후변화와 물부족 현상에 따라 우리나라에도 향후 물부족에 대비한 농업용수의 친환경적인 적정 관리의 필요성이 절실해지고 있으며 친환경 녹색기술 개발과 농촌수자원의 체계적인 관리가 중요한 국가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농촌은 고령화와 인구감소로 인하여 농업기반 수리시설과 농업용수의 전통적인 인력관리가 어려워지고 있으므로 이를 혁신할 수 있는 친환경, 녹색기술, 정보통신기술(ICT) 융합으로 농촌수자원 관리기술의 개발하고 이에 농업용수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농촌지역 수리시설과 농업용수 관리를 위해 정보통신기술과 센서네트워크 계측제어기술 및 모바일기술을 적용하여 농촌수자원 스마트 물관리를 위한 시범지구를 운영 하였다. 시범지구는 섬진강댐 수계의 동진도수로, 김제간선, 정읍간선으로 용수를 공급하는데 이중 수혜면적 17,600 ha, 수로연장 59 km의 김제간선에 시범지구로 선정하였다. 김제간선의 용수공급량은 년평균 163,748천톤의 공급하고 있다. 시범지구 운영은 5개년 중 1차년도(2011년)에는 현장시설 설치 총 87지점에서 15개소를 설치하였으며 시범지구의 영농 및 물관리 특성, 용수공급량 조사 분석하였으며 시범지구의 운영시스템 구축과 Smart 물관리 프로그램(Web, App)개발 하였다. 시범지구 운영은 한국농어촌공사 물관리분야 관련 신기술의 실용화를 위한 인큐베이트 역할을 하며 통합수자원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현장 물관리 기술의 보급과 공사의 대표적인 물관리 시범지구로 활용 및 사업 홍보 효과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 PDF

Effects of Layers of Non-woven Fabric on the Growth and Flowering of Edile Flower Tropaeolum majus L. in the Vertical Greening System for Lower Maintenance Urban Agriculture (저관리 도시농업을 위한 벽면녹화 부직포 처리가 식용꽃인 한련화(Tropaeolum majus L.)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 Park, Jae-Hyeon;Yoon, Young-Han;Lee, Jae-Man;Song, Hee-Yeon;Ju, Jin-Hee
    •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
    • v.28 no.6
    • /
    • pp.545-552
    • /
    • 2019
  • Tropaeolum majus, with a high decorative and food demand for vertical greening systems, has been utilized to revitalize urban agriculture. The effects of number of non-woven fabrics in a non-water environment and the adaptability of T. majus to this system were investigated. Planting ground composition of the container-type wall vertical greening system was made using non-woven fabric in one, two, three, or four laye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oil water content remained the highest when the non-woven fabric comprised 4 sheets. The morphological properties showed more growth with the 4 sheets than with 1, 2, and 3 sheets. In terms of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chlorophyll content was mostly high in the 4 sheets, while shoot fresh weight value was in the order of 3 > 4 > 2 > 1 sheet, and root fresh weight value was in the order of 4 > 2 > 1 > 3 sheets. The dry weight of the measured values in the shoot was in the order of 4 > 3 > 2 > 1 sheet while no clear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oot of each treatment. The difference in the flowring characteristics was not different, but in evaluating the characteristics as a whole, the growth in the three layers of non-waven fabric was the best. In addition, the soil moisture contents and the growth characteristic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groups. Thus, greater the non-woven fabric, the higher is the adaptability of T. majus to dry stress under soil water-free conditions by maintaining soil moisture content. This showed that it represented an effective alternative as a method of vertical greening system for lower maintenance urban agriculture.

Green Energy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romotion Methods using Smart Green Certification System and Regional Cooperation Network Construction (스마트 녹색인증 시스템 및 지역별 협력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그린에너지 기술사업화 활성화 방안)

  • Ryu, Se-He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40-140
    • /
    • 2010
  • 최근 정부가 저탄소 녹색성장을 새로운 국정비전으로 제시하고 혁신적 그린에너지 기술개발을 위해 연평균 20%이상의 R&D 예산을 증액하고 있는 상황에서 연구개발결과의 상용화율 제고를 위한 연구기획, 평가, 관리시스템의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선진국의 경우 최근 3년간 에너지분야 R&D의 상용화율이 미국 35.9%, 유럽 46.8%로서 24.2%인 한국에 비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와같은 격차가 존재하는 것에 대해서 다양한 요인을 생각해볼 수 있겠지만, 크게 시장적인 또는 산업적인 측면에서의 중요도를 기준으로 연구과제를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과 연구개발결과를 효율적으로 사업화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생각해볼 수 있다. 특히 에너지 분야는 대규모 자금의 초기소요 및 개발기술 상용화기간의 장기화등으로 인해 사업화 실적이 타산업대비 매우 저조한 편이다. 이와같은 연구결과의 사업화와 관련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으로 국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기술사업화 지원프로그램이 운영괴고 있으나, 에너지 분야에 특화된 프로그램은 부족한 상황이다. 반면에 미국의 경우, 재생에너지 R&D분야 전문투자자 그룹인 클린테크그룹 등을 중심으로 2002년부터 현재까지 다수의 녹색기술분야에 특화된 기술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그 결과 현재까지 약 9년간 총 16억$의 투자유치에 성공함으로써 민간투자 활성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의 경우에도 이와같은 에너지 R&D 결과를 효과적으로 사업화로 연계시킬 수 있는 관련 프로그램 등이 시급히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의 사업화 부진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올해부터 정부주관으로 시행되고 있는 녹색인증사업을 활용하여 사업화가 유망한 기술 및 기업을 선별하고, 이에 대해 사업화 지원을 위한 후속프로그램을 적극 지원함으로써 연구개발결과의 경제적 활용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사업화 지원프로그램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수도권, 영남권, 호남권 등 지역별 TP 등을 중심으로 기술사업화 협력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수요기술조사, 기술마케팅, 투자자유치 등의 관련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전단의 시스템과 융합시킴으로써 향후의 정부주도 R&D결과의 상용화율을 제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는 에너지 R&D분야별 기술적 시장적 특징분석, 지역별 산업특성과 기술공급 서플라이 체인분석을 토대로 한 기술이전 잠재수요기업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기술사업화 프로그램 등이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시스템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위해 올해년도에 시행한 녹색인증 기술사업화 연계프로그램 및 기술사업화 협력네트워크 활용사례 등을 분석하고, 향후 발전방향으로서 기술사업화 유관기관간간 기술사업화 정보교환 및 사업화 유망기술 기업 마케팅 등을 기본내용으로 한 시장지향적 녹색에너지 R&D 관리 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그리드 정보통신기술

  • Lee, Il-U;Lee, Jeong-I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7 no.11
    • /
    • pp.3-11
    • /
    • 2010
  • 스마트그리드는 저탄소 녹색성장이 전지구적 과제로 등장하면서 온실가스 배출을 최소화하는 그린에너지 산업 혁신의 핵심으로 출현하였다. 대한민국은 에너지 위기 및 기후 변화에 대웅하고 안정적 전력 공급과 효율적 수요 관리 그리고 신성장동력원으로써 필요성을 내세워 스마트그리드를 정책 및 기술 개발을 추진 중에 있다. 스마트그리드는 전통적인 송배전 역량 강화와 전력 IT화에 따른 사용자 서비스 확장의 2가지 측면에서 진화방향을 모색중이다. 특히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통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 ICT)기술을 융합한 인프라를 기반으로 하여, 전력공급자와 소비자 사이의 전력거래에 대한 정보를 양방향, 실시간으로 교환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전력 서비스로서의 역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고에서는 ICT 기술이 융합된 스마트그리드 구조와 네트워킹과 정보 인프라로서의 스마트그리드 정보통신 기술에 대하여 간단하게 정리해 보고자 한다. 스마트그리드 내에 다양한 응용 서비스가 연계된 통신구조에 대하여 알아보고, 적용 가능한 다양한 통신기술에 대하여 살펴본다. 또한 현재 운영중인 스마트그리드 표준화 조직 및 표준화 동향에 대하여 살펴보고, 그 중 전력시스템과 종단 응용 서비스 및 부하를 포함하는 에너지기술, 정보기술운영 관점에서의 스마트그리드 상호운용성 및 표준 현황에 대하여 기술해 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