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녹색성장 정책

Search Result 23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Hot Issue - 녹색인증제 시행과 제도 정착을 위한 효율화 방안

  • Kim, Yong-Guk
    • Bulletin of Korea Environmental Preservation Association
    • /
    • s.388
    • /
    • pp.14-17
    • /
    • 2010
  •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정('10.1)을 계기로 녹색산업의 민간참여 확대 및 기술 시장 산업의 빠른 성장 유인을 위하여 녹색분야 금융 지원 방안을 목적으로 하는 '녹색인증제'가 지난 4월부터 본격 시작되었다. 녹색인증제는 정부가 녹색기술 또는 녹색사업에 대하여 인증을 해주거나 인증받은 녹색기술을 활용하여 일정 비율 이상의 매출실적이 있는 기업에 대하여 녹색전문기업으로 확인해 주는 새로운 제도이다. 녹색기술 보유 기업을 대상으로 자금 R&D 수출 마케팅 등 지원을 강화하고 정책자금 융자, 기술평가 보증 우대를 해주며, 녹색펀드 등에 투자하는 기업 또는 일반인에게 세제혜택을 주자는 취지다. 아직은 제도 시행 초기단계에 불과하지만 많은 녹색기술 보유 업체들로부터 관심이 커지고 있는 만큼 기존 인증제도와 변별력을 갖춘 차별화되고 실효성있는 추진을 기대한다.

  • PDF

ESCO Column 1 - 건물에너지관리시스템(BEMS) 특성 및 기술개발 동향

  • Kim, Yong-Chan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9
    • /
    • pp.26-29
    • /
    • 2011
  •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총에너지의 97%를 해외에 의존하고 있으며, 총에너지의 약 30%를 건물에서 소비하고 있다. 건물에서의 에너지절약 및 효율적 관리가 우리나라 정책방향인 저탄소 녹색성장에 크게 기여하리라는 것은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최근 국내에서 건물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하여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가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저탄소 녹색성장에 기여할 수 있는 건물에너지관리시tm템인 BEMS의 기술개발 현황과 그 동향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 PDF

Transfer of Korean Green Growth Cooperation Model - Focus on Hydropower Industry in Mekong River Basin - (한국형 녹생성장 협력모델 확대방안연구 - 메콩 유역 수력발전사업을 중심으로 -)

  • Choi, Seung-Ji;Kim, Jin-Woo;Jung, Da-W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22-122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형 녹색성장 협력 모델을 기반으로 한국의 대(對) 메콩지역 진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메콩 유역은 중국의 운남성 지방, 미얀마, 라오스, 태국, 캄보디아, 베트남 등 6개국이 위치하고 있는데 이 지역은 세계 경제 침체에도 불구하고 높은 경제 성장률을 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 각국이 개발사업 선점을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일본, 미국, 중국이 발 빠르게 영향력을 확장하고 있다. 한국은 지난해 메콩 5개국의 외교장관을 서울로 초청하여 회담을 개최하여 메콩 지역 진출의 교두보를 마련하였으나 최근 세계 각국이 메콩 지역의 개발사업 진출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선진국과 차별적인 경쟁우위를 살릴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제시한 신성장 패러다임인 녹색성장 모델과, 물관리 정책과 사업을 접목시킨 물과 녹색성장 공적개발원조 및 무나싱해(Munasinghe)의 지속가능한 경제(Sustainomics)가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대(對) 메콩유역 협력 방안 모델을 설계하였다. 이 지역이 급속한 경제 성장으로 전력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를 잠식시키고 국가의 에너지 안보를 위해 높은 수입 석유 의존율을 낮춰야한다는 점 등을 고려해보았을 때 메콩 유역의 수력발전이 이 지역의 녹색성장을 위한 큰 동력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뿐만 아니라 홍수방재 효과, 전력 수출로 인한 소득 창출은 이 지역의 사회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자금조달 방식, 외교적 접근, 기술적 접근, 제도적 접근 방식을 제시하여 단계적으로 대(對) 메콩유역 한국형 물과 녹생성장 ODA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제시된 협력 모델을 기반으로 점차 한국이 메콩 유역의 수력발전산업으로 진출하고 더 나아가 이지역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Benchmarking Study on Green Roads Certification Policies using Case Studies (녹색도로 인증제도 도입을 위한 선진국 제도 및 사례 벤치마킹 연구)

  • Kim, Sang-Bum;Kwak, Hyun-Ju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3 no.3
    • /
    • pp.1173-1180
    • /
    • 2013
  •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a major player in Korean economy growth and it has been accountable for more than 15% of GDP during the last decade. However, fast-growing construction industry has also produced some unpleasant side-effects. Environmental problems are identified one of the main issues in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y are closely related to minimizing the carbon emission and delivering environmental-friendly green products. The movement of green construction, now, is considered the next driving force for the industry which has significant impacts on the future.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is green construction while focusing on governmental policy implications such as green certificate for construction products. Green building has long been recognized as the leading green construction product and the green trends have expanded to infrastructure construction such as road construction. Therefore,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various green road certification processe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develop a framework for Korean green road certification. In doing so, some of the green roads application has also been analyzed. This research intends to provide background information for Korean green construction policies, especially on green road certification.

Alternatives for Establishing Green Logistics System in Ulsan Port (울산항의 녹색물류체계 구축 방안)

  • Jo, Jin-Haeng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5 no.4
    • /
    • pp.187-206
    • /
    • 2019
  • After reviewing the concept an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green ports, this study analyzes the implications of green port policy of advanced ports in foreign countries and analyzes problems in terms of environmentally-friendly green port policy for Ulsan port, and to present sustainable green logistics establishment measures. The literature survey and Benchmarking methods are adopted as research methodology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n-government climate change response management system, legislation of relevant laws, implementation of fiscal support policies, and roadmaps should be established. Second, the foundation for eco-friendly green growth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discovery of business models in conjunction with leading industries in the Southeastern Metropolitan Economic Area. Third, the Ulsan Port Greenport, such as AMP, in-port LNG propulsion ship, and ESI vessel incentive, should be built. Fourth, a low-carbon, high-efficiency sea-shuttle service shall be establish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the sea-shuttle service along the sea route. Fifth, energy self-reliant ports, including all institutions in the metropolitan Ulsan port area that have exceeded the level of Ulsan port Authority, should be built. Finally, water-type ports need to be built through the creation of coastal forests, the purification of marine water quality, and the introduction of colors to port.

국내 신재생에너지정책 추진현황과 향후 전망

  • Cheon, Seok-Hyeon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9 no.1
    • /
    • pp.6-12
    • /
    • 2010
  • 최근 국제적으로 유가의 불안정, 기후변화협약 대응, 녹색성장 등 국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의 주용성이 새롭게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국내의 신재생에너지정책 추진현황과 향후 전망을 소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