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출지표

Search Result 43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valuation of the Highway Traffic Safety Exposure Measures (도로교통안전도 비교평가지수 산정연구)

  • Kim, Ki Yong;Kim, Won Chul;Chang, Myungs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31 no.5
    • /
    • pp.26-36
    • /
    • 2013
  • Highway traffic safety evaluation of area on the basis of the accident rate has a limitation, thus its result is dependent on the exposure variables. It works an obstacle to decision making for effective budget execution.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methodology of taking simultaneously macroscopic exposure indicators into account in evaluating the safety using least squares method. The weight of exposure indicators to make up of highway traffic safety evaluation index is that accident rate per population, accident rate per registration vehicle and accident rate per length of road is 0.29, 0.52 and 0.19 respectively and calculated the highway traffic safety index of total local governments in Korea. The methodology to calculate highway traffic safety evaluation index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utilized in executing the traffic safety polici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investment about traffic safety budget.

ETHYLENE GLYCOL ETHYL ETHER, EGEE & ETHYLENE GLYCOL ETHYL ETHER ACETATE, EGEEA (노출평가를 위한 TLV 근거 - 2-에톡시 에탄올 &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

  • Kim, Chi-Nyeon
    • 월간산업보건
    • /
    • s.387
    • /
    • pp.21-25
    • /
    • 2020
  • 소변에서 2-에톡시 아세트산(EAA)의 존재는 2-에톡시 에탄올이나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의 노출이 있었다는 특정 지표가 된다. 2-에톡시 아세트산은 2-에톡시 에탄올 또는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의 생물학적 시료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생물학적 노출지표(Biologial Exposure Index, BEI)는 주중 마지막 교대가 끝날 때 채취한 소변의 2-에톡시 아세트산 측정으로 권고하고 있다. 측정치는 주중 누적 노출의 지표이다. 작업환경 노출의 주요 흡수 경로인 피부 흡수는 2-에톡시 아세트산의 소변 농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 PDF

Review of the Spatial Unit for Analysis on Disaster Vulnerability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 재해취약성 분석의 공간단위 검토)

  • Park, Jong Young;Lee, Jung Sik;Son, Ho 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372-376
    • /
    • 2017
  • 기후변화에 따른 재해취약성 분석에 있어 분석단위가 되는 집계구 단위와 더불어 동 단위를 추가하여 기후노출의 공간분석단위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기후노출에 대한 분석은 도시 기후변화 재해취약성분석 매뉴얼(Ver 3.0)에서 제시되고 있는 ArcGIS의 Jenks 최적화방법을 활용하여 네 단계로 구분하였다. 기후노출지표는 폭우재해의 연평균 80mm/일 이상 강우일수, 연평균 시간최대강우량의 두 가지 지표를 활용하였으며 현재 기후노출지표만을 고려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요구되는 기후노출 지표값은 경상북도 인근의 최근 10년간 기상청 강우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공간분석 단위의 검토 결과, 기후노출 지표 특성에 따라 기후노출의 지리적 분포양상은 다르게 나타나며, 현재 매뉴얼에서 제시하고 있는 집계구 단위를 통한 분석과 추가적인 동 단위를 통한 분석은 지역별로 직접영향권과 간접영향권이 뒤바뀌는 양상까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해취약성 분석에 있어 재해특성별 공간분석 단위의 결정은 도시기본계획, 도시관리계획 등의 활용성을 감안해 볼 때 매우 신중히 결정되어야 할 사항이며, 공간분석 단위의 결정에 대한 연구가 향후 꾸준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Exposure Biomarkers for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Using DNA Microarray (DNA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한 내분비장애물질 노출지표 개발)

  • Yang, Mi-Hi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v.20 no.4 s.51
    • /
    • pp.327-332
    • /
    • 2005
  • 장기간 노출 시 발암 등 인체 유해성을 갖는 환경유래 내분비장애물질(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 EDCs)에 대한 선택적이고 민감한 노출지표를 개발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DNA microarray를 이용하였다. 피험자는 아직 특별한 질환을 갖지 않는 18세 이상 연령, 성을 맞춘 EDCs고농도 노출군(N = 16)과 저농도군(N = 16)으로 구성되었다. 노출정도 구분은 10년 이상 거주지가 K산업폐기물 소각장과 2.5 km 반경 내, 외 인지에 따라 고노출군,저노출군으로 구분하였다. 피험자의 말초혈에서 total RNA를 분리, 각 군당 B인씩 pool로 cDNA를 합성하여 oligonucleotide DNA 칩에 적용하였다. 유전자발현의 차이를 GenePixPro 4.0 software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총 3장의 칩을 이용하여 공통적으로 저노출군보다 고노출군에서 2배 이상 발현의 증가를 보인 유전자는 plasminogen activator(PLAT)등 12종이 관찰되었고, l/2이하로 발현의 감소를 보인 유전자는 kallikrein 3 (KLK3)등 29종이었다. 이 들 유전자는 PLAT등 면역계 반응에 관여하는 유전자 및 apoptosis, transport, G protein, chromatin, 암화, 발생 (development), 대사 등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이었다. 그러므로 KLK3등 본 연구에서 발굴한 유전자는 향후 확대된 인구에서 본 연구 결과의 확인을 통하여 EDCs특이적 노출지표로써, 나아가 암 등 EDCs관련 질병의 기전 및 병인학을 구명하는데 이용가치가 높다고 사료된다.

Exposure-Limit Distance as a Safety-Indicating Parameter of a High-Intensity Flash Source (고광도 섬광의 안전지표로서 노출제한거리)

  • Park, Seung-Man;Kim, Sang-Wook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28 no.1
    • /
    • pp.16-21
    • /
    • 2017
  •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high-intensity flash sources on the human eye is strongly needed, not only for proper use of the sources, but for human eye health. In this study, the exposure-limit distance (ELD), indicating the minimal safe distance in case of seeing by chance a high-intensity flash, is proposed. The optical procedures to determine the ELD of a high-intensity flash are clarified, and the dependence of ELD on its parameters such as luminous intensity, duration, and radius of a flash are thoroughly investigated. From this investigation it is obvious that, while being weakly dependent on duration, the ELD is nearly proportional to the luminous intensity and the radius of a flash. The proposed ELD as an intuitive safety-indicating parameter is more useful and intuitive than the other characteristic parameters of a high-intensity flash. The ELD is expected to be an essential parameter as a safety indicator, to characterize the performance of a high-intensity flash and to promote the safety of the human eye.

Bioconcentration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and Biochemical Changes in Oyster, Crassostrea gigas: a model study with fluoranthene (참굴에서의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의 축정성과 생화학적 변화I: Fluoranthene을 model 물질로 한 연구)

  • 서영호;정의영;김강전;임완수;김희연;류동기;최선남;황인영;김정상
    • The Korean Journal of Malacology
    • /
    • v.14 no.2
    • /
    • pp.103-111
    • /
    • 1998
  • 참굴에 다환성방향족탄화수소(PAHs)의 축적성과 이 물질들이 미치는 독성을 평가하기 위해 해양환경에서 빈번히 검출되는 PAHs 중의 하나인 fluoranthene을 사용한 모델연구를 수행하였다. Fluoranthene을 0.01-1ppm의 농도로 2주간 참굴에 노출시켰을 때 참굴 조직내의 fluoranthene의 농도는 노출기간 및 노출농도에 비례하여 최고 40-70배까지 증가하였다. 소화맹낭과 폐각근의 지질 과산화물가는 노출기간 및 노출농도에 관련하여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수용성단백질의 함량은 노출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다. 그러나 glycogen 함량, nucleoside/nucleotide, DNA 및 RNA 함량은 변화하지 않았다. 이 결과로 fluoranthene은 굴의 조직내로 원활하게 축적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과산화지질의 함량은 fluoranthene에의 오염에 대해 신속히 반응하는 지표의 하나로 추정되며 수용성단백질의 감소도 비록 시간적으로 다소 둔감하기는 하나 또 다른 지표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Indicators for Liver-biliary, Renal, and Blood-circulatory Function among Workers with Long-Term Low-Level Exposure to Chemicals over 10 Years or More Working at Environment Monitoring (장기-저농도로 10년 이상 노출된 작업환경측정 근로자들의 간-담도계, 신장, 혈액-순환기 기능 지표들의 유의한 변화)

  • Joo Hong Cho;Chan-Seok M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 /
    • v.34 no.3
    • /
    • pp.254-261
    • /
    • 2024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body burden of workers in work environment monitoring with long-term (more than 10 years) low-level exposure to various chemicals. The subject workers were a total of 26 men and women who performed work environment monitoring tasks as the exposure group and those who did not perform such work among their co-workers at the same company as the control group. The exposure to various chemicals was examined through liver and biliary function with 12 indicators, renal function with four indicators, and blood and circulatory function with 16 indicators. The exposure group had significant vari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indicators of serum GPT, ϒ-GTP, and total bilirubin for liver and biliary function, indicators of creatinine and uric acid for renal function, and indicators for neutral fats, red blood cell count, platelet count, hemoglobin, and hematocrit for blood and circulatory function. Long-term exposure to various chemicals at low levels might affect the variation of the indicators for liver and biliary, renal and blood, and circulatory function of workers. If low-concentration exposure to different hazardous chemicals occurs over a long period of more than 10 years, it could be a harmful factor to the health of workers who measure the working envir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