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출시간

Search Result 2,035,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Appropriate exposure time for Flood discharge measurement of Surface velocity radar (전자파표면유속계의 홍수량 측정을 위한 적정 노출시간 검토)

  • Tae Hee Lee;Jong Wan Kang;Jae Hoon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298-298
    • /
    • 2023
  • 전자파표면유속계는 홍수량 측정을 위해 사용되는 비접촉식 유속계로, 전자파를 발사한 후 수표면에 반사되는 전자파의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표면유속을 측정하는 기기이다. 국제적으로 1980년대부터 홍수량 측정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하천 유량측정 업무에 활용하였다. 전자파표면유속계를 이용하여 정확한 표면유속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측정 위치, 방향, 노출시간, 환경 등을 고려해야 한다. 여기서 노출시간은 표면유속 측정을 위해 전자파를 흐름 상태의 수표면에 노출시키는 시간을 의미한다. 특히, 노출시간은 유속에 따라 결정되며, 빠른 유속일수록 측정에 필요한 노출시간이 짧아진다. 그러나 노출시간이 너무 짧으면 측정 유속값이 부정확하거나 불안정해질 수 있으며, 반대로 너무 길면 수위 등 측정조건이 변화하여 측정값이 부정확해질 수 있다. 따라서 홍수량 측정을 위해 전자파표면유속계의 표면유속 측정의 적정한 노출시간을 설정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자파표면유속계의 적정한 노출시간 검토를 위해 안동하천실험센터에서, 표면유속 최대 4.92 m/s에서 최소 0.457 m/s 범위의 19개 유속 조건에서 노출시간을 10초에서 40초까지 5초 간격으로 변화시키며 표면유속을 측정하였다. 현재 국내외 가이드라인에서 권고하고 있는 노출시간 30초에서 측정된 표면유속과 각 노출시간에서 측정된 표면유속의 정확도 검증을 통해 유사한 값을 가지는 표면유속을 검토하여, 수위변화에 대응하여 홍수량 측정을 위한 최소 노출시간을 검토하였다.

  • PDF

Aging Characteristics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 Ring Specimen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 링 시편의 노화 특성 평가)

  • Yoon, Sung-Ho;Oh, Jin-Oh
    • Composites Research
    • /
    • v.22 no.6
    • /
    • pp.39-44
    • /
    • 2009
  • The effect of exposure times on the aging characteristics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 ring specimen was evaluated using an accelerating aging tester. Combined exposure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moisture, and ultraviolet, were applied up to 3000 hours. Tensile properties and flexural properties including the effect of curvature were evaluated on the specimens subject to various exposure times through a material testing system. Their aging surfaces were observed throug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According to the results, tensile modulus was little affected by the exposure times. However, tensile strength, at the early stage of the exposure times, increased due to physical aging and curing reaction, but tensile strength slightly decreased due to degradation as the exposure times increased. The flexural modulus and flexural strength increased at the early stage of the exposure times, but slightly decreased as the exposure times increased. Aging surfaces of the specimens examined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revealed a different morphology in various exposure times and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degradation in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omposite subject to various exposure times.

Evaluation of ${SO_2}$ or ${O_3}$ Exposure Durations Requiring Foliar Damage Development by Using Bioindicating Plants (아황산가스(${SO_2}$)와 오존(${O_3}$)에 대한 지표식물의 가시적 피해 발현시간 조사)

  • 허재선;허용균;이충일
    • Korean Journal Plant Pathology
    • /
    • v.11 no.2
    • /
    • pp.107-115
    • /
    • 1995
  • 들깨 '수원25호', 담배 'L8', 'KF109'와 'NC82', 시금치 '입추'와 나팔꽃을 생장혼경조절이 가능한 대기오염원 노출상에서 SO? 140ppb/시간 또는 O? 150ppb/시간의 농도로 하루 24시간 10일 동안 노출시킨 결과 '수원25호' 들깨와 담배 'L8'은 SO?에 민감한 반면, 담배 'L8'과 나팔꽃은 오존에 아주 민감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위의 농도에서 가시적 피해가 조사식물의 50%에서 발생하는 병반발생빈도 50%(SF?)를 기준으로 설정한 한계노출시간 조사에서 오존에 대한 한계 노출시간은 담배 'L8'의 경우 24시간, 나팔꽃의 경우 72시간, 담배 'NC82'와 'KF109'의 경우 144시간 내외, 시금치의 경우 216시간으로 추정되었으며, SO?에 대한 한계노출시간은 담배 'L8'의 240시간을 제외하고는 모든 식물에서 240시간 이상으로 추정되었다.

  • PDF

EXPOSURE TIME ANALYSIS FOR FAR-ULTRAVIOLET IMAGING SPECTROGRAPH ALL-SKY SURVEY MISSION (과학위성 1호 탑재체 원자회선분광기 전천탐사 노출시간 분석)

  • Park, J.-H.;Seon, K.-I.;Ryu, K.-S.;Yuk, I. S.;Jin, H.;Lee, D.-H.;Oh, S.-H;Seon, J.;Nam, U.-W.;Han, W.;Lee, W.-B.;Min, K.-W.;Edelstein, J.;Korpela, E. J.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v.18 no.3
    • /
    • pp.209-218
    • /
    • 2001
  • Global exposure time distribution through all-sky survey, one of main science missions of KAISTSAT-1, has been simulated. Exposure time distribution has its minimum on the celestial equator and increases with moving to polar reg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mission operation scenario. SAA (South Atlantic Anomaly) and the moon can make further decreases of exposure time around the celestial equator Effects of SAA on all-sky survey exposure time can be compensated with a simple observational scheduling, orbit exchange between orbits allocated to all-sky survey passing through the SAA region and ones allocated to upper atmosphere observations not affected by SAA. It, however, seems that present exposure time distribution is not adequate for the concrete study of the evolution of interstellar medium. A scheme for active time allocation is needed for redistribution of exposure times weighted around the celestial poles, and additional studies on the advanced mission operation and the observational scheduling are also needed.

  • PDF

Development of the Inter-tidal Exposure Duration Formulae Using Tidal Harmonic Constants (조화상수를 이용한 조간대 노출시간 추정공식 개발)

  • Jeong, Shin Taek;Cho, Hongyeon;Ko, Dong Hui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4 no.5
    • /
    • pp.319-325
    • /
    • 2012
  • A new formulae for the estimation of the exposure duration in the inter-tidal zone are developed. The exposure dur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habitat distribution of the benthic organisms. The formulae can estimate the exposure duration only using the four major tidal harmonic constants available in almost coastal areas. It is easier than the existing method using the frequency analysis of the hourly tidal elevation data. The estimation results by using the formulae suggested in this study are compared with the value by using the observed tidal elevation data analysis in the west coast, Korea. The mean RMS (root-mean squared) errors ranged form 0.8 to 1.4%. It can be used to simply estimate the accurate exposure duration in the region not having the longterm hourly tidal elevation data.

노출평가를 위한 TLV 근거 - 2-BUTOXYETHANOL(8)

  • Kim, Chi-Nyeon
    • 월간산업보건
    • /
    • s.379
    • /
    • pp.9-16
    • /
    • 2019
  • 2-부톡시에탄올(2-butoxyethanol)에 대한 생물학적 노출지수 설정에 필요한 자료는 상당수 존재한다. 다양한 실험실 및 직업적 현장연구는 2-butoxyethanol에 노출된 후 소변에서 butoxyacetic acid의 배설을 조사하여 생물학적 노출지수를 구축할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였다. 실험실 연구는 작업시간 동안보다는 짧은 시간을 노출시킨다. 휴식 중에 실시한 실험 자료들을 20ppm에 8시간 노출로 외삽하면 작업시작 종료 시점의 소변 중 butoxyacetic acid의 농도가 각각 192, 272, 190 mg/g creatinine이었다. 작업부하 30 watts와 50 watts의 연구 결과를 외삽하면 각각 304 butoxyacetic acid/g creatinine과 313 butoxyacetic acid/g creatinine이었다. 작업현장 연구는 소변을 가수분해시킨 후 총 butoxyacetic acid의 검출 범위가 광범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외삽의 결과는 일반적으로 1ppm 미만의 노출에서 나온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피부 흡수의 가능성과 2-butoxyethanol의 상대적으로 낮은 휘발성을 감안할 때 현장 연구에서는 피부 경로가 흡입 연구보다 더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조사는 휴식을 취한 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흡입 연구와 비교하면 소변 중 butoxyacetic acid 농도를 과대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활용 가능한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휴식 시 2-butoxyethanol의 TLV-TWA 20ppm에 8시간 전신(흡입과 피부) 노출되는 경우 가수분해된 총 butoxyacetic acid가 210 mg/g creatinine이 예상되고 작업부하 50 watts에서는 373 mg/g creatinine이 예측된다. 50 watts의 작업량으로 20ppm에서 8시간 노출되는 경우 생물학적 노출지수(BEI)는 약 400 mg/g creatinine일 것이다. 그러나 생물학적 노출지수는 외삽에 대한 불확실성, 심각한 피부 노출 및 작업장 노출평가 자료의 부족을 반영하여 200 mg butoxyacetic acid/g creatinine으로 설정하였다. 인용한 자료들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자원 봉사자 연구와 시뮬레이션 연구의 자료들이 일치성이 있었다. 연구에 따르면 butoxyacetic acid는 측정 가능한 양으로 존재하며 작업 교대 중에 검출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의 반감기를 가지고 있다. Sakai 등의 연구 자료와 일부 모델링 자료에서 노출농도가 높은 경우 주중에 약간의 축적 가능성을 보고하였지만 작업장에서 일반적으로 노출되는 농도 범위에서는 누적이 예상되지 않으며 작업 종료 후에 소변시료를 채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다수의 연구에서 소변 중 butoxyacetic acid 농도 수준의 개인 간 다양성을 보고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작업현장 연구에서는 2-butoxyethanol의 주변 환경 농도수준과 소변 중 butoxyacetic acid 수준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상호 연관성이 결여된 원인은 대부분 피부 노출의 영향으로 추정하였다. 개인 보호 장갑을 착용한 근로자들에게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었다.

  • PDF

Degradation Characteristics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 Embedded Nanocomposites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함유된 나노복합재의 열화 특성)

  • Yoon, Sung Ho;Park, Ji Hye
    • Composites Research
    • /
    • v.30 no.6
    • /
    • pp.422-428
    • /
    • 2017
  • The moisture absorption behavior, tensile properties, and thermal analysis properties of MWCNT embedded nanocomposites exposed to temperature and moisture were evaluated. The contents of MWCNT were 0 wt%, 1 wt%, and 2 wt%, respectively. The specimens were exposed to immersed conditions at $25^{\circ}C$ and $75^{\circ}C$ for up to 600 hour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apparent moisture content increased as the exposure time increased,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moisture content and the moisture content at 600 hours was almost constant. The tensile modulus decreased with increasing exposure time and the degree of decrease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s the MWCNT content and exposure temperature increased. The tensile strength decreased with longer exposure time without MWCNT, but increased with MWCNT due to the reinforcing effect of MWCNT. The storage modulu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an d peak magnitude were low as the exposure time increased, but tan d curves with two peaks appeared when exposed to high exposure temperature for more than 300 hours.

Effect of Combined Environmental Factors on Degradation Behavior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s (복합적인 환경인자의 영향에 따른 탄소섬유/에폭시 복합재의 열화 특성)

  • Hwang, Young-Eun;Lee, Gil-Hyung;Yoon, Sung-Ho
    • Composites Research
    • /
    • v.22 no.5
    • /
    • pp.37-42
    • /
    • 2009
  • Thermal analysis properties and chemical structure of carbon fiber/epoxy composites under environmental exposure were examined using an accelerated aging tester which can simulate real weather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moisture and ultraviolet. The composite specimens were exposed to combined environmental factors up to 3000 hours. Thermal analysis properties and chemical structure of the composites were evaluated with various exposure times through Modulated DSC and FTI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odulated DSC,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creased as exposure time increased due to the formation of network structures in the composites. Also endotherm peaks of enthalpy relaxation related to physical aging that can affect the properties of the composites were observed as exposure time increased. From the results of FTIR, it was found that the location of the peaks was little affected by exposure time, but the intensity of the peaks slightly decreased as exposure time increased due to the curing reaction in the epoxy group.

CMOS Image Automatic Exposure System With Real-time and Robustness Style for the Journal of Korean Contents (실시간성과 강건성을 갖는 CMOS 자동노출 시스템)

  • Choi, Wonseok;Kim, HeeSu;Kim, Jaehyun;Cho, Youngki;Choi, Sungho;Lee, Yongse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0
    • /
    • pp.1-13
    • /
    • 2020
  • There are many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age quality of CMOS camera images, among which the image exposure time is an important factor. If the image exposure time is long, the entire image on the screen becomes brighter. If the exposure time is shorter, the entire image becomes darker. When photographing a still image, real time is not required because the automatic exposure system is given sufficient time to obtain an appropriate exposure time. However, if the surroundings and environment change rapidly like the black box of a driving car, the exposure time should be applied in response to real time. To this end, a robust automatic exposure system for real-time performance and ambient light environment is required. An automatic exposure system that has real-time capability and is robust against the ambient light environment is required. we designed a real-time control sysem capable of parallel operation processing through the design of an embedded system using zynq's logic and ARM core, and developed a real-time CMOS automatic exposure system that is robust to noise and converges to a desired target value within 66 ms through PID control.

Estimation of Personal Exposure on Nitrogen Dioxide Using Time Activity - Comparative Study between Seoul, Korea and Brisbane, Australia - (시간활동도를 이용한 이산화질소 개인노출 예측 - 한국의 서울과 호주의 브리스베인의 비교 연구 -)

  • 양원호;이기영;손현석;정문호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15 no.2
    • /
    • pp.10-17
    • /
    • 2000
  • 현대 생활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90%이상을 실내(가정, 일반사무실, 실내작업장, 공공건물, 지하시설물, 상가, 음식점, 자동차, 지하철 등)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실내공기질(indoor air quality)은 개인이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주요한 요인이다. 이산화질소($NO_2$)는 고온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로써 차량, 발전소와 산업장 등에서 발생되고 있다. 실내에서 이산화질소의 농도는 가스레인지, 케로센(kerosene) 난방기, 흡연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 $NO_2$는 호흡기 증상과 관련된 각종 질환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서울에서 직장인 95명의 시간활동도가 조사되었으며, 호주 브리스베인에서 직장인 57명의 시간활동도와 동시에 각 가정의 실내.외 및 직장의 $NO_2$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개인 $NO_2$ 노출을 예상하여 각 도시의 빈도분포를 예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서울의 95명의 직장인들은 실내에서 약 83.8%의 시간을 보냈으며, 브리스베인의 57명의 직장인들은 실내에서 약 88.3%의 시간을 보냈다. 2. 브리스베인에서 측정된 실내의 NO2 평균농도는 10.5ppb(${\pm}5.6$), 실외의 NO2 평균농도는 14.5ppb(${\pm}5.8$), 직장에서의 $NO_2$ 평균농도는 18.2ppb(${\pm}5.0$)였다. 개인의 $NO_2$ 노출은 평균 15.0ppb(${\pm}5.2$)였다. 개인의 $NO_2$ 노출은 실외의 $NO_2$ 농도(r=0.42)보다 실내의 $NO_2$ 농도(r=0.42)보다 실내의 NO2 농도(r=0.49)에 상관성이 더 높았다. 3. 시간 가중치 모델을 이용한 개인 $NO_2$ 노출은 측정된 개인 NO2 노출과 통계학적으로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다(r=0.58). 예측된 개인 $NO_2$ 노출은 측정된 $NO_2$ 노출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출퇴근 등에 의한 교통의 이동에 따른 노출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4. $NO_2$ 농도 분포를 log-normal 분포, 시간활동도를 Normal 분포로 가정하고 Monte-Carlo 시뮬레이션을 했을 때 서울의 직장인의 개인 노출은 평균 36.7ppb(${\pm}10.9$)였으며, 브리스베인의 직장인의 개인 노출은 평균 13.7ppb(${\pm}4.1$)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