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출도

Search Result 10,814,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THYLENE GLYCOL ETHYL ETHER, EGEE & ETHYLENE GLYCOL ETHYL ETHER ACETATE, EGEEA (노출평가를 위한 TLV 근거 - 2-에톡시 에탄올 &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

  • Kim, Chi-Nyeon
    • 월간산업보건
    • /
    • s.387
    • /
    • pp.21-25
    • /
    • 2020
  • 소변에서 2-에톡시 아세트산(EAA)의 존재는 2-에톡시 에탄올이나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의 노출이 있었다는 특정 지표가 된다. 2-에톡시 아세트산은 2-에톡시 에탄올 또는 2-에톡시에틸 아세테이트에 노출되지 않은 사람의 생물학적 시료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생물학적 노출지표(Biologial Exposure Index, BEI)는 주중 마지막 교대가 끝날 때 채취한 소변의 2-에톡시 아세트산 측정으로 권고하고 있다. 측정치는 주중 누적 노출의 지표이다. 작업환경 노출의 주요 흡수 경로인 피부 흡수는 2-에톡시 아세트산의 소변 농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 PDF

Identifying Emotional Cues in Dialogue Sentences According to Targets (표현 대상과 노출 대상을 고려한 대화문장의 감정 파악)

  • Min, Hye-Jin;Park, Jong-C.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461-468
    • /
    • 2007
  • 일상 생활에서의 대화 또는 컴퓨터를 매개로 이루어지는 대화에서 자기노출은 서로에 대한 개인적인 정보를 공유하여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과정이다. 자기노출에서의 개인적인 정보는 생각 및 경험을 비롯하여 감정 등을 의미하는데, 감정은 특히 대화 분위기 형성 및 원활한 대화 진행을 위한 효과적인 의사소통수단으로 작용한다. 대화 시의 감정노출은 대화 상대방(노출 대상)과 감정표현의 대상(표현 대상)에 따라 표현의 실제강도와 노출의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대화를 주고 받거나 자료를 전송할 수 있는 인스턴트 메신저를 통하여 이루어진 대화에서 노출 대상과 표현 대상을 고려하여 대화참여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한다. 이를 위한 사전조사로 드라마 스크립트 상의 등장인물들의 감정표현 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활용하여 노출 대상이 각각 다른 대화문장에서 통사 및 의미 분석 과정을 거쳐 표현 대상에 따른 대화참여자의 감정상태를 파악하고, 대화참여자가 자신의 감정을 관찰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 PDF

개인정보 노출대응 체계

  • Choi, Jin-Young;Ha, Tae-Gyun;Lee, Gang-Shin;Won, Yoo-Jae
    • Review of KIISC
    • /
    • v.19 no.6
    • /
    • pp.9-14
    • /
    • 2009
  •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개인정보의 수집 이용이 용이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에 대한 역기능으로 웹사이트를 통하여 개인정보가 노출되어 공개되어 있거나,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개인정보가 유출되어 악용되는 사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노출 및 유출이 된 개인정보는 오 남용이 되어 국민에게 정신적 금전적 피해를 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006년부터 인터넷 상의 개인정보 노출에 대해 지속적인 삭제조치 등의 노력을 하고 있으나 여전히 개인정보가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터넷진흥원은 개인정보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예방 대응 사후 관리를 종합적으로 할 수 있도록 "개인정보 노출대응 체계(Privacy Incident Response SysTem)"를 2009년 11월에 구축하여, 개인정보를 신속히 검색하여 삭제 및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 노출대응 체계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

Exposure Assessment of Korean Farmers While Applying Chlorpyrifos, and Chlorothalonil on Pear and Red Pepper (노지고추 및 배 재배 농업인의 방제작업 중 Chlorpyrifos, Chlorothalonil 노출에 관한 연구)

  • Kang, Tae-Sun;Kim, Gil-Joong;Choe, In-Ja;Kwon, Young-Jun;Kim, Kyung-Ran;Lee, Kyung-Sook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29 no.2
    • /
    • pp.249-263
    • /
    • 2004
  •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stablish the exposure monitoring method of chlorpyrifos and chlorothalonil application to pear and field red pepper by vehicle-mounted sprayer, hand-held sprayer and to assess the risk. Methods and Results: Chlorpyrifos met all of requirements of sampling and analysis method(U.S. EPA), but chlorothalonil met only dermal patch method. Potential dermal and inhalation exposure was evaluated in 42 farmers. Compared with the hand-held sprayer application, vehicle mounted sprayer demonstrated producing relatively lower dermal exposure level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dermal exposure during hand-held application,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ear and red pepper. Conclusions: This results show that application method is the main factor of dermal exposu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ach group of respiratory exposure level. The margin of safety (MOS) was calculated to assess the risk of pesticide exposure. All Chlorpyrifos MOS values are lower than 0.2, which mean working conditions are unsafe. In order to protect farmers, big efforts to control exposure are needed.

  • PDF

생물학적 유해인자에 의한 건강장해와 노출평가방법(2)

  • Park, Dong-Uk
    • 월간산업보건
    • /
    • s.192
    • /
    • pp.15-21
    • /
    • 2004
  • 최근 생물학적 유해인자의 노출로 인한 건강상의 노출평가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곰팡이, 박테리아, 엔도톡신을 중심으로 건강장해와 노출평가방법에 대해서 원고를 게재한다.

  • PDF

생물학적 유해인자에 의한 건강장해와 노출평가방법(3)

  • Park, Dong-Uk
    • 월간산업보건
    • /
    • s.193
    • /
    • pp.14-21
    • /
    • 2004
  • 최근 생물학적 유해인자의 노출로 인한 건강상의 노출평가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앞으로도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곰팡이, 박테리아, 엔도톡신을 중심으로 건강장해와 노출평가방법에 대해서 원고를 게재한다.

  • PDF

Optical Microscopic Image Analysis for Damaged GFRP Rebar by Alkali and High Temperature Exposures (알칼리와 고온노출에 의한 GFRP 보강근 손상에 대한 현미경분석 연구)

  • Bae, Jung-Myung;Moon, Do-Young;Park, Cheol-Woo;Park, Young-H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1 no.2
    • /
    • pp.53-59
    • /
    • 2017
  • In this experimental study, the characteristic of damages on GFRP rebar exposed to high temperature only and immerged in alkaline solution after the exposure to high temperature was analyzed through microscopic image analysis. The found microcrack and pores in resin matrix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if there was effect of pre-exposure to high temperature. The damages, such as microcrack and pores in resin matrix, by alkali exposure were mainly found in rebar surface. On the other hand, the pores caused by high temperatures were extensively found in a section and had greater width than those caused by the alkali exposure. In results of the quantitative comparison, the accumulated length and widths of microcrack and pores in resin matrix in pre-exposed GFRP rebar to high temperature were respectively 1.5 and 1.4 times of those in the GFRP rebar only immerged in alkali solution. Therefore, the deterioration of resin matrix by the alkali exposure could be accelerated due to the pre-exposure to high temperature.

Estimation of Personal Exposure on Nitrogen Dioxide Using Time Activity - Comparative Study between Seoul, Korea and Brisbane, Australia - (시간활동도를 이용한 이산화질소 개인노출 예측 - 한국의 서울과 호주의 브리스베인의 비교 연구 -)

  • 양원호;이기영;손현석;정문호
    • Journal of environmental and Sanitary engineering
    • /
    • v.15 no.2
    • /
    • pp.10-17
    • /
    • 2000
  • 현대 생활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90%이상을 실내(가정, 일반사무실, 실내작업장, 공공건물, 지하시설물, 상가, 음식점, 자동차, 지하철 등)에서 생활하기 때문에 실내공기질(indoor air quality)은 개인이 오염물질에 노출되는 주요한 요인이다. 이산화질소($NO_2$)는 고온의 연소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로써 차량, 발전소와 산업장 등에서 발생되고 있다. 실내에서 이산화질소의 농도는 가스레인지, 케로센(kerosene) 난방기, 흡연에 주로 영향을 받는다. $NO_2$는 호흡기 증상과 관련된 각종 질환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서울에서 직장인 95명의 시간활동도가 조사되었으며, 호주 브리스베인에서 직장인 57명의 시간활동도와 동시에 각 가정의 실내.외 및 직장의 $NO_2$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개인 $NO_2$ 노출을 예상하여 각 도시의 빈도분포를 예상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다음과 같다. 1. 서울의 95명의 직장인들은 실내에서 약 83.8%의 시간을 보냈으며, 브리스베인의 57명의 직장인들은 실내에서 약 88.3%의 시간을 보냈다. 2. 브리스베인에서 측정된 실내의 NO2 평균농도는 10.5ppb(${\pm}5.6$), 실외의 NO2 평균농도는 14.5ppb(${\pm}5.8$), 직장에서의 $NO_2$ 평균농도는 18.2ppb(${\pm}5.0$)였다. 개인의 $NO_2$ 노출은 평균 15.0ppb(${\pm}5.2$)였다. 개인의 $NO_2$ 노출은 실외의 $NO_2$ 농도(r=0.42)보다 실내의 $NO_2$ 농도(r=0.42)보다 실내의 NO2 농도(r=0.49)에 상관성이 더 높았다. 3. 시간 가중치 모델을 이용한 개인 $NO_2$ 노출은 측정된 개인 NO2 노출과 통계학적으로 상관성을 가지고 있었다(r=0.58). 예측된 개인 $NO_2$ 노출은 측정된 $NO_2$ 노출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출퇴근 등에 의한 교통의 이동에 따른 노출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4. $NO_2$ 농도 분포를 log-normal 분포, 시간활동도를 Normal 분포로 가정하고 Monte-Carlo 시뮬레이션을 했을 때 서울의 직장인의 개인 노출은 평균 36.7ppb(${\pm}10.9$)였으며, 브리스베인의 직장인의 개인 노출은 평균 13.7ppb(${\pm}4.1$)였다.

  • PDF

Exposure to Styrene in the Lamination Processes with Fiberglass-Reinforced Plastics: Health Diagnosis Case Report (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을 이용한 적층공정 근로자들의 스티렌 노출 평가: 보건진단 사례)

  • Choi, Sangjun;Jeong, Yeonhe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 /
    • v.25 no.2
    • /
    • pp.126-133
    • /
    • 2015
  • 연구목적: 이 연구는 노동부의 보건진단 명령에 의해 유리섬유 강화플라스틱(FRP)을 이용한 이중벽 탱크 제조 사업장의 적층 공정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스티렌 노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스티렌의 주요발생원 파악을 위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UPR), 경화제, 조색제, 세척액 등의 원료 내 스티렌 함유량을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기(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RP 적층 공정에 근무하는 작업자들을 대상으로 NIOSH 1501 공정시험법에 의해 공기 중 스티렌 노출 농도에 대한 개인노출 평가를 실시하였고, 생물학적 노출 지표로 뇨 중 만델릭산을 채취한 후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분석하였다. 또한 각 직무 특성과 단위작업 중심으로 스티렌에 대한 단시간 노출평가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스티렌의 함유량이 가장 많은 주요 원료는 중량비율로37%의 스티렌이 함유된 UPR이었다. 적층 공정의 FRP분무 작업자와 보조 작업자들 모두 스티렌의 8시간 가중평균 노출기준(20 ppm)을 초과하였다. 단시간 노출평가 결과 FRP분무 작업자의 경우 45.9 ppm에서 86.1 ppm 수준으로 FRP를 사용하지 않는 작업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수준이었다(P<0.01). 가장 높은 수준의 스티렌에 노출되는 단위작업은 FRP를 이용하여 1차 코팅 하는 작업으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결론: 보건진단을 위해 실시한 이중벽 탱크 제조 사업장의FRP 적층 공정 작업자의 스티렌 노출수준은 노출기준을 초과할 정도로 높은 수준이었다. 그러나 탱크를 천장에 매달고 돌리면서 적층작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적절한 국소환기 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적절한 방독마스크 착용으로 스티렌 노출 예방이 필요하였다.

An Analysis of he Foreign Exchange Exposure and Determinants (개별기업의 환노출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Lee, Hyon-Sok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1 no.2
    • /
    • pp.65-98
    • /
    • 2004
  • This paper analyzes the foreign exchange exposure and the influence of determinants on the significant exposure under various return horizons of US dollar and the Japanese yen. Also this research is extended to the existence of asymmetric exposures to foreign exchange risk. The exchange rate exposures exhibit significant time variations that are very large to represent changes in cash flow sensitivities, but the relation of the significant exposures and time variations is not monotonically increasing. The extent to which a firm is exposed to exchange rate fluctuations can be explained by the level of the growth potential, nm size and leverage. For the various return horizons, firms with a higher growth potential tend to have higher exposures. And the larger firms' exposures tend to be smaller. The influences of the level of export ratio and leverage vary with return horizons and each periods. It is found that the exposures of fins are asymmetric. The asymmetry is mainly explained by the market share hypothesis. The level of export ratio commonly influences the asymmetric exposures to the US dollar and the Japanese y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