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자살

검색결과 203건 처리시간 0.028초

지역사회 노인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 전남지역을 대상으로 (Psychosocial Factor Influencing Suicidal thoughts in Community Dwelling Elderly in Jeonnam Province)

  • 차용호;김경민;윤보현;강한고은비;시영화;박수희
    • 우울조울병
    • /
    • 제16권3호
    • /
    • pp.152-157
    • /
    • 201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sychosocial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community dwelling elderly, using the senior community center in Jeonnam Province. Methods : A total of 2,202 subjects (369 males, 1,833 females) were recruited. We evaluated sociodemographic factors, using a self-reporting questionnaire. Subjects completed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Short Form Korean Version (SGDS),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MSPSS),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ale-12 (GHQ-12) and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to assess psychosocial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Results : Among 2,202 subjects, 179 (8.1%) reported recent suicidal ideation. Self-perceptive health status (p<0.001) and physical disease (p=0.002) revealed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The scores of four scales in the suicidal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group: SGDS (p<0.001) and GHQ-12 (p<0.001) were higher, while MSPSS (p<0.001) and SWLS (p<0.001) were lower, in the suicidal ideation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hysical disease (OR 2.575, 95%CI 1.022-6.492), SGDS (OR 1.181, 95%CI 1.120-1.246) and GHQ-12 (OR 1.192, 95%CI 1.108-1.283),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 Findings support that physical disease, depression, and general mental health may correlate to suicidal ideation in the elderly.

의사결정나무 분석법을 이용한 우울 노인 중 자살 고위험군 규명 (Identification of High-risk Groups of Suicide from the Depressed Elderly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 홍세훈;이동원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30-140
    • /
    • 2019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levels of suicidal ideation and identify subgroups of high suicidal risk among the depressed elderly in Korea. Methods: A descriptive cross-sectional design was adopted on secondary data from the 6th (1st year)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 total of 239 depressed elders aged 60 or over who participated in the KNHANES. The prevalence of suicidal ideation and its related factors, including sociodemographic, physical,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life (EQ-5D index) were examined. Descriptive statistics and a decision tre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WIN 23.0 and SPSS Modeler 14.2 programs. Results: Of the depressed elderly, 28.9% had suicidal ideation. Three groups with high suicidal ideation were identified. Predictive factors included perceived stress level, household income level, quality of life and restriction of activity. In the highest risk group were those depressed elderly with moderate and low levels of stress, less than .71 of EQ-5D index and restriction of activity, and 80.0% of these participants had suicidal ideation. The accuracy of the model was 80.8%, its sensitivity 85.9%, and its specificity 68.1%. Conclusion: Multi-dimensional intervention should be designed to decrease suicide among the depressed elderly, particularly focusing on subgroups with high risk factors.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contribute itself to the policy design and solution building in the future as it suggests policy implications in preventing the suicide of the depressed elderly.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자살경향성 유병률과 위험요인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uicidality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 김문범;이광헌;이관;곽경필
    • 생물치료정신의학
    • /
    • 제24권3호
    • /
    • pp.209-217
    • /
    • 2018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suicidality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2,201 elderly people whose ages were over 65.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including Mini International Neuropsychiatric Interview(MINI), module C, Short Geriatric Depression Scale of Korean version(SGDS-K), Korean Geriatric Anxiety Inventory(K-GAI), The Korean Health Status Measure for Elderly V 1.0,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for Dementia Screening(MMSE-DS). Their sociodemographic factors were investigate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chi-square test and the logistic regression tes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ity and participants' risk factors. Results : The prevalence rate of suicidality was 23.3%. I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depressive symptoms (OR=3.301, 95% CI : 2.453-4.440), anxiety symptoms(OR=3.289, 95% CI : 2.515-4.303), low physical function (OR=1.606, 95% CI : 1.229-2.098), no spouse(OR=1.571, 95% CI : 1.037-1.690), elderly aged 80 years or older (OR=1.506, 95% CI : 1.094-1.740)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suicidality. Conclusion : Suicidality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was quite high, particularly related to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development of community-based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s for suicidality.

중환자실에 급성약물중독으로 입실한 자살시도 노인의 사망 관련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Mortality in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 due to Acute Drug Intoxication from Suicide Attempts)

  • 김경은;문선희;송지은;안민정
    • 중환자간호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1
    • /
    • 2024
  • Purpose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mortality rate among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for acute drug intoxication resulting from suicide attempts. It also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survivors and decedent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mortality. Methods : This retrospective descriptive study included 150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who were admitted to the ICU of a tertiary university hospital in Gwangju due to acute drug intoxication, with the period spanning January 1, 2018 to December 31,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Chi-squared tests, Fisher's exact 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mortality rate among elderly individuals admitted to the ICU for acute drug intoxication was 19.3%. The likelihood of deat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patients with an acute physiology and chronic health examination (APACHE) III score of 70 or above (OR=23.75, 95% CI=3.78-149.46, p<.001) and those with metabolic acidosis on initial acid-base results (OR=3.73, 95% CI=1.12-12.43, p=.032). Conclusion :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ed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systematic education and targeted nursing interventions for ICU nurses caring for acutely drug-intoxicated elderly adults,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APACHE III score and the presence of metabolic acidosis.

고령층의 사회적 고독감 해소를 위한 커뮤니티 모바일 앱 설계 (Community Mobile App Design to Relief Loneliness in Elderly People)

  • 김기환;김민범;김성희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10-212
    • /
    • 2018
  •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 발표에 따르면 2009년부터 우리나라 노인 자살률은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으며 관련 이유로 젊은 시절과 비교되는 사회적 참여도와 우울증이 있다. 정보화시대에 접어들어 커뮤니티 사이트의 영향으로 유대관계의 형성 및 확장이 쉬워졌다. 하지만 노인을 위한 커뮤니티 사이트가 부족하고 이마저도 고령친화적이지 않은 인터페이스 때문에 이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인의 사회적 고독감 해결 및 정보화 사회 참여를 위한 커뮤니티 모바일 앱에 관한 내용을 서술하고자 한다. 노인이 커뮤니티 사이트를 사용하기 힘든 이유에 대해 분석하고, 사용자 평가 모델 중 하나인 PACMAD를 바탕으로 사용자 시나리오에 초점을 맞추어 신체적, 인지적 조건을 고려한 커뮤니티 모바일 앱 인터페이스 및 콘텐츠를 제안한다. 이로써 고령층의 정보화 사회 참여를 이끌어내는데 바탕이 되고자 한다.

  • PDF

규칙적인 신체활동과 운동중재가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분석 (Combined Impacts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on Depression in Elderly People)

  • 오정윤;양정옥;곽이섭
    • 생명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208-213
    • /
    • 2024
  • 본 연구는 노인의 우울증 예방 및 치료를 위해 신체활동과 운동이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우울증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가속화되어 가는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우울증은 더욱 심각한 문제라고 볼 수 있다. 노인의 우울증은 젊은 층에 비해 예후가 좋지 않으며 노화로 인한 신체적 질병의 증가와 신체적 장애에 의한 자존감 저하로 더욱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노인들의 우울증 관리, 노쇠로 인한 우울증 등의 문제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예방 및 치료에 관한 연구는 미미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요한 매개 변인인 수면장애와 우울증, 우울증에 대한 운동과 해마의 연관성, 우울증 관리를 위한 신체활동 및 운동의 과학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추후 노인의 우울증 개선과 자살예방에 관한 다양한 연구들이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노인 손상환자의 손상외인과 지역안전등급 간 관계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auses of Injuries and Regional Safety Grade among Geriatric Injury Patients)

  • 이정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472-482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 손상의 발생이 특정 지역 내 공간의 안전성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에 있는지를 실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수행을 위해 퇴원손상심층조사와 지역안전지수 자료를 결합해 6,572명의 노인 손상환자를 대상으로 손상의도성, 손상발생장소, 손상 시 활동, 손상기전에 따라 지역안전등급의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독립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통계 검증 결과 손상의도성의 하위집단별 지역안전등급의 평균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손상발생장소는 화재(t=-2.513, p<.05), 교통(t=-2.387, p<.05), 안전사고(t=-3.627, p<.001), 자살(t=-3.364, p<.01)의 4개 분야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었다. 손상 시 활동은 화재(F=5.972, p<.01), 자연재해(F=6.454, p<.01), 안전사고(F=11.726, p<.001)의 3개 분야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었다. 손상기전은 화재(F=9.267, p<.001), 교통(F=7.759, p<.001), 안전사고(F=3.285, p<.05), 자살(F=8.973, p<.001), 감염병(F=3.109, p<.05)의 5개 분야에서 집단 간 평균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지역안전지수의 개별 분야를 연구 소재로 삼은 선행연구의 보고 내용과 비교해 논의한 후 공간의 안전성 차원에서 노인 손상의 발생을 사전에 예방하고 발생률을 억제하기 위한 3가지의 정책적 실천적 함의를 도출해 제시하였다.

죽음준비교육이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eath Education on Attitude toward Death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 오진탁;김춘길
    • 한국노년학
    • /
    • 제29권1호
    • /
    • pp.51-69
    • /
    • 2009
  • 본 연구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노인은 인간발달단계로 볼 때 죽음을 가장 가까이 접하고 있는데, 죽음에 대한 태도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복합적일 수 있다. 노인이 죽음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게 되면 그들의 삶의 질이 좋아지고 편안한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고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이에 본 연구는 10주간의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을 주 1회 100분씩 60세 이상의 노인 38명에게 실시하여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에 대해 긍정적인 변화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교육은 2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1기 22명의 노인에게는 2008년 1월 16일 부터 3월 26일까지, 2기 16명의 노인에게는 2008년 4월 16일부터 6월 18일까지 교육을 실시했다. 10주간 이루어진 강의주제는 "죽음준비교육의 필요성, 존엄한 죽음을 위한 3가지 대안, 죽음 끝이 아니다(I, II), 호스피스(I, II), 죽음의 9가지 유형(I, II, III), 죽음을 알면 자살하지 않는다."이다. 죽음준비교육을 실시한 다음 죽음에 대한 태도와 우울 점수를 교육 실시 전 점수와 t-test로 검정한 결과, 교육실시 이후에는 실시 이전보다 노인의 죽음에 대한 태도가 유의미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우울 정도의 점수는 감소하였으나 그 감소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노인대상자의 죽음준비교육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에 죽음태도와 우울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한 결과, 교육 실시 이전과 실시 이후 모두 강한 역 상관관계를 보여 죽음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우울정도가 낮았다. 그러나 교육 전·후 우울 정도와 상관관계의 변화는 없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노인계층 대상으로 일정기간 동안 규칙적으로 죽음준비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다면,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음을 입증하였다. 아울러 지금까지 국내에서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노인을 위한 죽음준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 기반을 확장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노인자살시도자들의 자살시도 전 경험 (A Phenomenological Study of Suicide Attempts in Elders)

  • 임미영;김윤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61-71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and essence of suicide for elderly people who had previously attempted suicide as an older person. Methods: Giorgi's descriptive phenomenology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earchers carried out in-depth interviews, recordings and memos individually with four elders. The elders were individuals who had attempted suicide sometime in the past 5 yr. They were interviewed from 5 to 10 times using open-ended questions and a semi-structural format. Demographic data were also collected. Results: The meaning of suicide before a suicide attempt in older people had four core components: conflict with family, powerlessness and despair in their life with a drop in self-esteem, using internal and external resources to resolve their troubles and awareness of imminent crisis. Conclusion: These results of this study will increase understanding of suicide in older people by defining their subjective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s and applying grounded data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that provide concrete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event suicide in elderly people.

치매노인의 우울과 자살의도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Elders with Dementia)

  • 김종필;현미열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96-303
    • /
    • 201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elders with dementia an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ir suicidal ideation. Methods: A descriptive and cross-sectional study was conducted from February to March, 2011. The participants were 298 older adults whose MMSE-KC score was 15 to 23.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According to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classification criteria, 86.2% of the elders in this study exhibited depression (GDS=5), and 31.5% manifested severe depression. The mean score of suicidal ideation was 5.70 (range 0-20). The risk factors for suicidal ideation were depression, suicidal attempt experience, present location for car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in the development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s for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particular, depression should be screened and managed to reduce suicidal ideation of older adults with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