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성 우울증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2초

한국 노인의 우울과 현존 치아수의 관련성 :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number of present teeth in Korean elderly: Data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최혜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89-698
    • /
    • 2019
  • Objectives: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number of present teeth in Korean elderly individuals. Methods: Data for this cross-sectional survey was obtained from the records of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subjects were 1,199 Korean elderly individuals above 65 years of age. The survey and examination data were used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KNHANES included health status, nutrition survey, and oral examination. $x^2-test$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depression and number of teeth pres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perform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number of teeth presen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 sset at 0.05. Result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the subjects was 14.8%.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depending on gender (p<0.001), education level (p=0.001), income (p=0.001), spouse status (p<0.001), and alcohol consumption (p=0.020).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the number of teeth presen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fter adjustment (p=0.040). Conclusions: Depression in elderly individuals was closely related to the number of teeth present. Therefore, public health policies for improving oral health should be established to prevent depression.

우리나라 노인의 성별에 따른 우울 증상과 미충족 치과 치료의 관련성: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활용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unmet dental treatment according to gender of the elderly in Korea: 7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 전영은;이가은;황진섭;정윤숙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503-512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unmet dental treatment and depression in the dental area of the elderly. Methods: The data was from the 7th period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unmet dental treatment when confounding factors such as income quintile and smoking were considered. Statistical software, SAS 9.4 version was used. Results: After correcting all confounding factor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unmet dental treatment was 2.73 times more likely among depressed men and 2.52 times more likely among depressed women (p<0.05).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should consider that depression in the elderly can affect unmet dental treatment regardless of gender.

일부 농촌 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와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of Social Support with Health Status and Health Behavior among Rural Aged Population)

  • 전보영;이혜재;손창우;김남권;김애련;박지은;이은상;이정화;최주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4권1호
    • /
    • pp.13-23
    • /
    • 2009
  • '사회적 지지'는 자신이 사랑 받고 돌보아진다고 믿게 하는 정보로서 인지적 심리적 안정을 도우며 개인의 대응역량을 높여준다. 노인에 대한 사회적 지지는 심혈관 질환 등으로 인한 사망률에 영향을 주고, 우울증을 감소시키고, 스트레스와 우울 사이에 완충 역할을 하며, 건강행태 또한 사회적 맥락 속에서 결정된다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는 노령인구의 농촌 편중 하에서, 농촌 노인들은 사회적 지지 측면에서도 도시 노인들보다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일부 농촌지역 노인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지지와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강원도 춘천시 동산면 군자리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들 중 설문에 응한 총 79명이며, 2008년 6월 23일부터 29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직접면접조사를 하였다. 독립변수는 '가족 수, 가족과의 관계, 친한 친구 수, 참여모임 여부 및 사회적 지지 점수(MOS-SSS 수정)'로 하였고, 이에 따른 신체적 건강 즉, 주관적 건강과 만성질환 유무 그리고 정신적 건강으로 우울증을, 건강행태로 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 숙면, 아침식사 여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대상 인구의 평균 연령은 72.0$\pm$7.0세 이고, 사회적 지지 점수는 20점 만점에서 평균 14.3$\pm$4.7점 이었다. 정신적 건강의 SGDS 점수 측정결과 전체인구의 36.3%가 우울성향을 보였다. 건강수준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서, 사회적 지지 점수가 다를 때 우울 성향(p<0.001)과 운동여부(0.03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가족관계가 보통인 군에서 좋은 군보다 주관적으로 느끼는 건강수준이 낮고(OR=0.25, 95% CI=0.07-0.95), 숙면을 취하는 정도가 더 낮았다(OR=0.21, 95% CI=0.06-0.73). 친한 친구가 없는 군은 친한 친구 수가 5명 이상인 군에 비해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경우가 더 낮았고(OR=0.21, 95% CI=0.05-0.94), 참여모임이 없는 사람은 참여모임이 있는 사람보다 '우울'로 나타남이 유의하게 높았다(OR=4.79, 95% CI=1.62-14.15). 이 연구를 통해 사회적 지지 점수 및 가족관계, 친구 수, 참여모임 수 등으로 대변되는 사회적 지지가 농촌 노인의 건강수준 및 건강행태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농촌 노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사회적 지지를 고취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경도인지장애, 알쯔하이머형 치매 환자에서 우울증상 유무에 따른 혈중 호모시스테인의 차이 (The Differences of Serum Homocysteine Levels in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Dementia of Alzheimer's Type with or without Depressive Symptoms)

  • 황보람;김현;이강준
    • 정신신체의학
    • /
    • 제22권1호
    • /
    • pp.40-45
    • /
    • 2014
  • 연구목적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는 인지기능의 퇴행과 우울 등과 같은 신경정신증상을 나타낸다. 이들의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진단 도구 중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있으며, 연구에 따르면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증가는 알쯔하이머병, 우울증 그리고 다른 신경정신질환의 발생위험을 증가시킨다. 본 연구는 혈중 호모시스테인이 인지기능장애와 연관된다는 사실을 기초로 경도인지장애와 알쯔하이머형 치매에서 우울증상 유무에 따른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분석해보았다. 방법 경도인지장애, 알쯔하이머형 치매로 진단된 환자 86명이 참여하였고 혈액검사를 통해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를 측정하였다. 환자들의 전반적인 인지기능 및 심각도의 단계 평가는 한국판 간이정신상태검사(MMSE-KC)와 전반적 퇴화척도(Global Deterioration Scale, GDS), 치매임상평가척도(Clinical dementia rating, CD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우울증상 유무에 대한 평가는 한국판 노인우울척도(Korean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GDS)를 통해 측정하였다. 결과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는 경도인지장애군 중 우울증상이 있는 군에서 우울증상이 없는 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수치를 보였다. 치매환자군에서는 우울증상이 있는 군과 우울증상이 없는 군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상관분석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MMSE-KC는 유의한 음의 상관 관계를 보였고, CDR, GDS는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증가가 인지기능저하와 우울증의 위험인자라는 사실을 나타낸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경도인지장애 환자군에서 혈중 호모시스테인 농도와 우울증상 간의 의미있는 연관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중의 몇 가지 제한점을 보완한 좀 더 대규모의 연구가 필요하다.

  • PDF

당뇨병 노인의 건강행위 실천과 응급실 내원 간의 관련성 (The Association between Personal Health Behaviors and Emergency Room Visit among Elderly Patients with Diabetes)

  • 김수현;임예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1호
    • /
    • pp.595-606
    • /
    • 2021
  • 본 연구는 당뇨병을 진단받은 65세 이상 노인들의 인구학적 및 질병 특성, 건강행위 실천과 질병으로 인한 응급실 내원 간의 관련성에 대해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4~2017년도의 한국의료패널 연간 데이터에 등록된 대상자 중에서 당뇨병을 진단받은 65세 이상 노인 총 9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Mann-Whitney U test, 카이제곱 분석, 일변량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당뇨병을 진단받은 노인의 중등도 신체활동과 걷기 실천 일수가 적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장애로 인한 활동제한이 있을수록, 우울증이 있을수록, 동반 만성질환 수가 많을수록 응급실 내원의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당뇨병을 진단받은 노인들의 응급실 내원을 감소시키기 위해 지속적인 신체활동의 실천을 적극 격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인부부의 가정폭력실태와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nior couple's domestic violence and its effect on mental health)

  • 박상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2호
    • /
    • pp.101-109
    • /
    • 2019
  •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노인 부부간의 폭력실태를 피해와 가해를 구분하여 파악하였다. 또한 부부폭력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부부폭력이 부부관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부부폭력은 정서적폭력, 경미한 신체폭력, 심각한 신체폭력, 성적폭력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하였다. 정신건강은 우울, 스트레스, 공격성, 자존감으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부부폭력 피해의 경우 정서폭력이 29.9%로 가장 높았고, 신체폭력은 3% 미만으로 나타났다. 부부폭력 가해의 경우 정서폭력이 25.4%이고, 신체폭력은 2% 미만으로 나타났다. 부부폭력에 따른 정신건강의 차이 분석결과 피해의 경우는 폭력유형에 따라서 차이는 있으나 우울과 스트레스가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가해의 경우는 공격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부부폭력은 폭력유형과 가해와 피해에 따라서 차이는 있지만, 부부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상당한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서 부부폭력 예방을 위한 다양한 복지프로그램을 도입하고, 활성화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알쯔하이머형의 노인성 치매에서 $^{99m}Tc-HMPAO$ 뇌 SPECT를 이용한 뇌혈류분포의 분석 (Analysis of Regional Cerebral Blood Flow Using $^{99m}Tc-HMPAO$ Brain SPECT in Senile Dementia of Alzheimer Type)

  • 이명혜;이명철;고창순;노재규;우종인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47-156
    • /
    • 1988
  • 알쯔하이머병 환자 11명, 우울증 환자 7명 그러고 정상 대조군 12명을 대상으로 $^{99m}Tc-HMPAO$ 뇌 SPECT를 이용하여 국소 뇌혈류 분포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SPECT소견은 정상 대조군과 우울증군에서는 모두 정상이 있으나 알쯔하이머병군에서는 7명은 양측 측두엽 및 두정엽에, 3명은 편측 측두엽 및 두정엽에 그리고 1명은 전두엽에 뇌혈류 감소의 소견을 보였다. 2) 대뇌반구간 혈류분포의 변화를 비교하는 지수인 Cerebral asymmetry index는 정상 대조군에서 $0.08{\pm}0.03$, 알쯔하이머병군에서는 $0.11{\pm}0.04$ 그리고 우울증군에서는 $0.09{\pm}0.03$으로서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소뇌반구간 혈류분포의 변화를 비교하는 지수인 Percent index of cerebellar asymmetry는 정상 대조군에서 $0.4{\pm}0.7%$, 알쯔하이머병군에서 $-0.7{\pm}0.08%$ 그리고 우울증군에서 $-0.7{\pm}0.7%$로서 세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소뇌 계수치를 대조값으로 각 영역별 혈류분포의 변화정도를 비교하는 지수인 Region to cerebellum ratio는 우울증군에서는 정상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알쯔하이머병군에서는 양측 두정엽과 측두엽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p<0.05). 이상의 결과로 $^{99m}Tc-HMPAO$ 뇌 SPECT는 알쯔하이머병의 진단에 있어서 유용한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후각장애환자의 후각기능평가

  • 양경헌;안병준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44-245
    • /
    • 1997
  • 후각장애를 가져오는 질환에는 비, 부비동 질환, 두부외상, 상기도 감염, 간질 및 노인성치매 등의 신 경게 질환, 칼만증후군과 같은 대사성 질환 등이 있으나, 현실적으로 후각장애의 정도를 측정하기가 쉽 지않고, 후각역치가 개인간에 차이가 많아 아직 연구가 미진한 상태이다. 특히 교통사고나 산업현장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두부외상이나 독성화학물질 등에 의해 후각장애가 많이 나타나고 있으나 아직 보상의 기준이 없어 환자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두부손상 후에 발생하는 후각장애는 병원에서도 놓치기 쉬우며, 알아내더라도 두렷한 치료방법이 없기 때문에 간과되어온 것이사실이다. 그러나, 이런 후각장애 환자들은 집안에서 가스가 새는 것을 느끼지 못하며, 화재로연기가 나더라도 알아차리지 못하고, 음식이 상해도 잘 모르므로 위험에 빠지기가 쉽고, 후각에 이상이 있으면 자연적으로미각도 감소하므로 식욕도 떨어지고, 때로는 우울증에 빠지기도하며, 주부의 경우에는 음식을 만들기가 어렵게 된다. 두부외상을 받은 전체 환자 의 약5 -10%에서 후각장애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냄새가 나지만 정확히 무슨 냄새인지 이름을 대지 못하거나 어떤 냄새를 다른 냄새와 감별하지 못하는 경우까지 합하면 대개 20-30%로 생각된다. 두부 손상 후의 후각장애의 정도는 얼마나 크게다쳤는 가에 달려있지만, 조금 다치더라도 후각장애가 심한 경우도 있다.

  • PDF

요가운동이 여성노인의 심리적, 생리적 변화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Yoga-based Exercise Program on Psychological, Physiological Factors and Physical Fitness in Elderly Women)

  • 김이순;곽이섭;조봉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84-588
    • /
    • 2006
  • 본 연구는 평소 신체활동이 부족한 여성 노인들에게 스트레칭을 포함하는 요가운동 및 레크리에이션이 여성노인의 심리적 변화, 생리적 변화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규칙적인 요가 운동이 체지방, 혈압, 콜레스테롤 등을 감소시키고, 우울증의 감소와 더불어 삶의 만족도와 일상 생활도를 증가시키며, 협응성, 민첩성, 평형성 등을 포함하는 체력을 증가 시켰다. 이러한 실험결과를 바탕으로 여성노인들에 대한 과학적인 운동치료에 관한 연구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재가노인의 우울증 예방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성 연구 : 사회복지관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Preventive Mental Health Program for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 Focused on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User)

  • 김미혜;정순둘;이금룡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44권
    • /
    • pp.318-345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preventive mental health program for th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community. Based on the review of literature, intervention program for preventing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was developed. In particular, the program focuses on enhancing the sense of control which is from social cognitive theory. The preventive mental health program consists of two parts: Tan-Hak and Social intervention program. Tan-Hak was oriented to cognitive change and activities, while social intervention program dealt with some social skills for relationship, stress management, motivation of social activities (volunteer activities), positive future designing, etc. For the evaluation of this program, we employed depression scale and medical measurement such as hormone test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in-depth interview of subjects. Overall, this program was successful in some points. First, through the pre and post test, this program has positive effect on strengthening the sense of control, and consequently, lowering depression level. Secondly, 18 people started this program called "smile class" at first time, and none of them turned out until the end of the program. This implies that the program was interesting to the elder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