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인관리

검색결과 1,211건 처리시간 0.037초

요양병원에 내원한 경도인지장애환자의 진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t Convalescent Hospitals)

  • 김윤종;김두리;김광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77-85
    • /
    • 2018
  • 본 연구는 일 지역 내 요양병원의 경도인지장애환자의 일반적 특성, 입원 및 진료특성을 분석하여 경도인지장애 환자에 대한 효율적 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2016년 일 지역에 소재하는 요양병원에서 경도인지장애(F067)를 주진단으로 하는 입원환자 303명의 명세서 건이다. 본 연구결과, 재원일수는 계절별로는 ADL 6~12점, ADL 13~20점 그룹 모두 겨울이 가장 긴 것으로 나타났다. 진료결과는 ADL 6~12점, ADL 13~20점 그룹 모두 퇴원일 때 재원일수가 긴 것으로 나타났다. 총 진료비는 계절별로는 ADL 6~12점, ADL 13~20점 그룹에서 겨울이 높았다. 환자 분류군는 ADL 4~5점 그룹에서는 인지장애군의 진료비가 가장 높았고, ADL 6~12점, ADL 13~20점 그룹 모두 문제행동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 경도인지장애에 대한 조기발견과 치료는 잠재적인 치매환자 발생과 그에 따른 사회적 비용 감소에 효과적인 방안이자 대단히 중요한 과제임을 알 수 있다.

슬관절 절단과 슬관절성형술간의 가능 수행 측정 (Difference of Functional Outcome Measurements between Total Knee Arthroplasty and Knee Amputation)

  • 성수원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89-99
    • /
    • 1997
  • 임상 결과의 측정에서 새로운 관점을 갖는 것은 중요하다. 의료 재활은 심리적 측정의 질들(표준화, 신뢰도, 타당도)에서 충분한 노력에 수행되어지지 않아 왔기 때문에 환자와 프로그램 사이에 일반화된 기능적인 평가 범위가 부족하다. 장애의 적절한 측정을 위한 요구는 기능적인 상태에서 변화들을 알리고 치료의 필요성을 평가하고 치료를 계획하고 결과를 예측하고 보상 방법을 측정하기 위한 환자의 치료와 임상 연구에서 모두 나타난다. 세계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기능 평가 도구인 FIM으로부터 이 연구는 신체적 측정의 기대되어진 것에 유사한 비율로 기능적 평가 측정들을 구성한다. 노인 재활에서 기능적인 결과의 측정은 중요한 몇 가지 점이 있다. 첫째는 접근에 기초한 기능적인 결과는 치료 목표 설정에 필요하다. 둘째는 도구는 기능적인 향상을 예상하는데 유용해야 한다. 셋째는 기능 평가는 적절한 타당도와 신뢰도와 함께 고려되어져야만 한다. 넷째는 다른 기능적 도구들이 함께 평가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FIM의 목록의 어려운 접들은 손상을 입은 집단에서는 다소 다양하다.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하나의 운동범위는 요통과 화상을 입은 환자를 제외한 모든 손상을 입은 집단들에게 적용되어 질 수 있다. 기능의 운동과 인지적인 면은 구분되어지는 것이 중요하였고 분리되어져서 치료되어 졌다. 어려운 목록들은 손상을 입은 집단에서 다양하였고, 다양한 손상의 종류의 독특한 영향을 반영하였다. FIM은 기능적인 장애를 측정하기 위해 고안되어진 또 다른 도구이다. 그리고 다른 것들은 의료 재활을 위한 국제적 자료 체계를 만들기 위한 것이다. FIM의 목적은 의료 재활의 결과를 확인하고 장애의 정도의 측정을 포함한다. FIM은 7가지 수준에서 사회적 인지, 의사 소통, 이동, 움직임 (mobility), 소변 관리, 자조 활동을 평가한다. 범위는 총체적 도움의 비율로부터 완전하게 독립적인 것까지의 범위이고 도움, 감독, 도구의 사용의 범위를 고려한다. 27,009의 환자를 조사한 최근 검사 기록들은 FIM이 움직임(motor)과 인지 기능을 평가하는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Hinemann, 1993). FIM의 저자들은 자료가 프로그램 평가의 시도에서 즉각적으로 적용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FSI은 어떤 과제의 수행에서 어려움에 관계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고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환자를 위한 변경된 전략들을 발달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임상가들에게 유용할 수 있다. 두 도구 모두는 전통적인 범위들보다 고관절 골절을 동반한 장애의 좀더 정확한 정보를 모으도록 할 수 있다. 고찰된 모든 연구의 결과들은 골절 후에 남아 있는 잔여 장애의 중요한 수준을 강조한다. 골절 전의 보행으로 회복된 사람은 매우 드물었다. 대부분은 기본적인 움직임 혹은 옷입기, 개인 위생에 관계된 활동들에서 의존적이었다. 많은 사람들은 사회에서 활동을 할 수 없었다. 장애의 적절한 측정의 요구는 환자 치료와 기능적인 상태에서 변화를 알고 치료의 요구도를 측정하고 치료를 계획하고 결과를 예상하고 보상 수단을 결정하는 임상적 연구에서 모두 나타난다. 물리치료 분야는 분야의 다른 영역에서 기능적인 결과를 충족시키고 발달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PDF

노인복지시설 사용자 중심의 영양·식생활관리 프로그램 요구 분석 (A study on the Needs for Nutrition Management Program for Elderly Who use Welfare Facilities)

  • 이민준;김정현;박옥진;이영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5-74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health conditions, eating habits and experience and demand for nutrition dietary management of senior citizens. And these data are formed foundation of development of nutrition dietary management education program and contents in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Methods: We visited 3 public health centers, 3 senior citizens centers, and 4 welfare centers in Seoul, Gyeonggi-do, Chungnam province, and Daejeon area and carried out interview by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for senior citizens older than 65 years who use those facilities. Results: The study included 17%, 30.7% and 52.3% of senior citizens from public health centers, seniorcitizen centers and and welfare centers, respectively. The age range of 43.9% of the population was 65-74 years and and 56.1% were older than 75 years. We observed that 83.2% of subjects took some medicines due to diseases that they have and 58.0% took prescription medicines for hypertension. The thing that they considered the most when selecting food was 'the taste'(p<0.05). Regarding the level of practice to keep the dietary life, they answered more than 'average' for most of items but answered less than 'average' for lot of salt intake, drinking, exercise. For the experience of nutrition dietary life education, only 19.8% answered 'Yes' and the service for nutrition dietary life management showed the highest score in the demand for 'provide nutritious food'. For the size of consulting group for nutrition/dietary life education, the public health center and welfare center preferred a larger group size but the senior citizens center preferred a smaller group. With regard to who will carry out the consulting, the demand for dietitian was the highest and the operation type showed the high demand in the order of consulting, education. The contents that they want to have consultation in nutrition dietary life education were diet therapy for diseases and the ordinary diet therapy for health.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e management of nutrition dietry life necessitates qualitative measures according to the different types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se, it is in need of development of counseling and education program included therapy for disease. Above all, the policy to secure dietitia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to perform these should be achived.

아파트 유·무인 경비시스템의 경제성 비교 연구: 노인일자리 사업의 효용성 제고를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Economical Efficiency in Apartment Security System: Focused on a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enior Employment Programs)

  • 하재룡;이광원
    • 시큐리티연구
    • /
    • 제41호
    • /
    • pp.7-36
    • /
    • 2014
  • 본 연구는 2015년부터 감시 단속적 근로자들에게 최저임금 100%가 적용되면서 아파트 관리비 인상의 부담으로 인해 경비체계를 유인화 시스템에서 무인화 시스템으로 바꾸거나 경비원의 인력을 대폭 감소시키려는 아파트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 상황에서 아파트 경비의 유 무인화에 대한 경제성 비교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비용 편익분석을 통해 2014년부터 2018년까지 5년간 아파트 유 무인 경비시스템의 경제성 비교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무인경비 시스템의 비용 편익 비율은 최소값의 경우 1.66%와 최대값의 경우 1.30%의 편익이 발생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인경비 시스템의 비용 편익 비율은 최소값의 경우 1.42%와 최대값의 경우 1.66%의 편익이 발생한 점을 미루어 볼 때 아파트 경비시스템 체계를 유인시스템에서 무인시스템으로 변경할 경우 경제적으로 큰 효용성을 얻기가 힘들 뿐만 아니라 특히 최대값의 경우 오히려 무인경비 시스템 보다 유인경비 시스템의 경제적 효용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노인성 전신질환 입원환자에서 치성감염 관리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ON THE CARE OF ODONTOGENIC INFECTIONS IN THE ADMISSION PATIENTS WITH AGE-RELELATED GERIATRIC DISEASES)

  • 유재하;최병호;한상권;정원균;노희진;장선옥;김종배;남기영;정재형;김병욱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0권5호
    • /
    • pp.414-421
    • /
    • 2004
  • This is a reprospective study on the care of odontogenic infections in admission patients with geriatric diseases. The study was based on a series of 480 patients at Dong San Medical Center, Wonju Christian Hospital and Il San Health Insurance Hospital, From Jan. 1, 2000, to Dec. 31, 2002.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ystemic malignant tumor was the most frequent cause of the geriatric diseases with odontogenic infectious diseases, and refractory lung disease, systemic heart disease, type II diabetes mellitus, cerebrovascular disease, bone & joint disease, senile psychologic disease were next in order of frequency. 2. Male prediction(57.5%) was existed in the odontogenic infectious patients with geriatric diseases. But, there were female prediction in senile psychologic disease, systemic heart disease and cerebrovascular disease. 3. The most common age group of the odontogenic infectious patient with geriatric disease was the sixty decade(47.9%), followed by the seventy & eighty decade in order. 4. In the contents of chief complaints on the odontogenic infectious patients with geriatric disease, peak incidence was occurred as toothache(52.7%), followed by extraction wish, tooth mobility, oral bleeding, oral ulcer, fracture of restoration, gingival swelling in order. 5. In the diagnosis group of odontogenic infectious diseases, periodontitis, pulpitis & periapical abscess were more common. 6. In the treatment group of odontogenic infectious diseases, the most frequent incidence(34.2%) was showed in primary endodontic treatment (pulp extirpation, occlusal reduction and canal opening drainage) and followed by scaling, incision & drainage, only drugs, pulp capping, restoration in order.

한국농촌노인의 건강증진관리요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Promotion Needs Assessment of the Rural Elderly in Korea)

  • 조소영;김점자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6-161
    • /
    • 1996
  • This study was purposed to find health promotion and care needs of the elderly in rural area of Korea. As the rural elderly are limited in accessibility to health care resources and could not immediately solve their health care needs when they need. health promotion and care services are expected to bring better and more practical solutions of their health care needs. Thus, the type of health care services to be developed in Korea rural area is discussed to have emphasis on health care service component in addition to health promoting components. Methods of this study was based on survey data analysis : total 322 persons aged older than 55 living at one 'Kun' in Korea administrative unit were interviewed by health workers working at the region and also get trained for this study data collection. The data collection interview was continued from February till May in 1996. The interview questions were modified with adjustment to Korea situation. with basis of the WHO's health promotion program compon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program for frequency, correlation, regression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 (1) $74.8\%$ of the surveyed were sick at the survey time point. and $95.9\%$ known the diagnosis name of the disease. The most frequently complained diseases were Muscular-Skeletal diseases $(43.7\%)$. $34\%$ of those sick had never treated or discontinued therapeutic procedures. so that shown the necessity of systematic and usual health care services with health promotion program development for the elderly. (2) The percent of those who make social participation was $95.3\%$. and the activities were visiting neighbors $(70.4\%)$ and lack of qualified social activity programs. (3) $78.1\%$ of the surveyed had health counseling and education from professional health workers. Those ceased smoking and drinking were $59.6\%,\; 60.3\%$. respectively. Those had no application of therapeutic drugs or nutrion supplements was $40.7\%\;and\;94.1\%$ had regular meals. Those practiced exercises was low remarking $17.7\%$. (4) Positive health behaviors were better carried out by sick groups than by the healthier. except smoking. regular meals. and exercise. $17.5\%$ of sick group smoke more than one case of cigarettes. in contrast to $9.5\%$ of the healthier. (5) Mental health status was heathier among positive health behavior earners. Health counseling and education shown better score of mental health than those never counseled. (6) Positive health behavior practice frequenc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crossed by social activity participation status. (7) Health behaviors of the rural elderly people were carried out better when they had positive 'continuency in therapeutic procedure' 'health status'.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Status' of the rural olderly were explained by 'exercise'. 'drinking'. 'familial relationship'. 'activities of daily living'. Thus, health behaviors practice mutually interact with health status. In conclusion. the health promotion and care program component are recommended to include ation on the necessity of positive health promotion active social acitivities. pleasant life style, adaption into changes on the elderly, safety in residential area. community acitivity and resource utilization. etc .. in addition to the elderly's disability and sickness caring services.

  • PDF

노인 장기요양보험 이용실태 및 서비스내용에 대한 인식 (Awareness and using status on long-term care insurance and insurance benefits)

  • 정재연;김수화;김영경;안세연;유은미;최부근;황윤숙;한수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73-381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toward use and service contents of long term care for the elderly.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96 adults from August 13 to October 20, 2014.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wareness toward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awareness toward long term oral health care services, use of long term care service and use intention for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8.0 program. Results: Those who were aware of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accounted for 55.4 percent. Approximately 50 percent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long term care service items, home visit care, home visit bathing, and home visit nursing. Most of the respondents had information of long term care services by way of mass media and direct contact. Only 13.4 percent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oral health service in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The subjects were aware of denture cleaning, oral cleaning and oral health education out of oral health service in order; and oral health services that needed to be offered were denture cleaning, oral health education and professional toothbrushing. They reported that dental hygienists were the most important manpower that offered the efficient oral health care services. They answered that professional manpower and financial support are required for oral health services. The positive thinking to long term care insurance accounted for 89.2 percent and 91.3 percent had use intention for oral health services. Conclusions: Many elderly people have mastication or dysphagic problems due to systemic diseas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nnounce the long term care insurance and long term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people.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노인환자의 의료이용량 : 요양기관종별 분석 (Medical Care Utilization between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Medical Assistance in Elderly Patients)

  • 이용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85-595
    • /
    • 2017
  • 본 연구는 의료급여와 건강보험환자의 의료이용량의 차이를 분석하여 의료급여환자의 도덕적 해이로 인한 진료비 증가문제를 평가하고 합리적 의료급여 정책결정의 근거를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민대상 건강보험과 의료급여 급여자료를 성별 연령별 의료기관 종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급종합병원의 입원 외래이용 모두 의료급여환자가 건강보험환자에 비해서 적어서 도덕적 해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오히려 의료급여환자들이 고비용 의료서비스를 이용하고 못하고 있었다. 둘째, 종합병원의 입원이용은 건강보험환자가 많은 반면 외래이용은 의료급여환자가 많아서 의료급여환자들이 본인부담이 적은 외래서비스 이용을 많이 이용하고 있었다. 셋째, 병원 의원은 의료급여환자의 이용이 입원과 외래이용 모두 건강보험환자에 비해서 많았다. 따라서 의료급여환자들은 병원 의원의 입원과 외래이용, 종합병원의 외래이용시 적은 본인부담으로 인해 불필요한 의료이용을 할 가능성이 있는 반면에 상급 종합병원 입원과 외래이용, 종합병원의 입원이용시 비급여 의료비 등 과도한 의료비 부담으로 인해 필요한 의료서비스 이용을 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었다. 따라서 중증질환을 가진 의료급여환자들의 의료비 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한 정책은 지속하고, 의원 병원을 이용하는 의료급여환자들이 불필요한 의료서비스를 이용하지 않도록 관리해야 할 것이다.

심뇌혈관질환위험군에서의 구강건강인식과 구강건강행위가 심뇌혈관질환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Behavior on Preventive Behavior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in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 Risk Group)

  • 이선경;황선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03-311
    • /
    • 2018
  • 본 연구는 심뇌혈관질환위험군의 구강건강인식과 구강건강행위가 심뇌혈관질환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자료수집은 전라남도에 소재한 2개의 종합병원 및 보건소, 보건진료소, 노인복지관에서 관리하고 있는 심뇌혈관질환위험군 13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8년 2월부터 3월까지 2개월간 시행되었다.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와 t-test, Pearson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심뇌혈관질환 예방행위는 치주질환인식인 주관적 구강건강상태(r=.261, p=.003), 구강건강의 중요성(r=.250, p=.004), 그리고 구강건강행위(r=.303, p<.001)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심뇌혈관질환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구강건강행위(${\beta}=.29$, p<.001), 연령(${\beta}=.27$, p=.001), 주관적 구강건강상태(${\beta}=.24$, p=.003)로 나타났다. 즉, 구강건강행위가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주관적 구강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심뇌혈관질환 예방행위의 점수가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이들 변수의 설명력은 19.3%이었다. 따라서 심뇌혈관질환위험군의 구강건강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구강건강 인식, 태도 및 행동과 구강건강상태 등에 관한 지속적인 추후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외부환경농도에 기반한 생태위해성 평가방법의 대안으로서 생체잔류량 접근법 (Body Residue-based Approach as an Alternative of the External Concentration-based Approach for the Ecological Risk Assessment)

  • 이종현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21권2호
    • /
    • pp.185-195
    • /
    • 2006
  • 환경오염물질로부터 수생태계 보호를 위한 표준적인 평가 및 관리 수단인 수질환경기준은 오염물질의 독성작용이 일어나는 표적기관에서의 오염물질의 농도에 대한 대체측정치로서 환경 내 오염물질의 농도를 이용해 왔다. 이러한 '외부환경농도에 기반한 접근방법'은 표적기관에서의 독성물질의 농도가 생물체내 농도에 비례하고, 결국 외부환경농도에도 비례할 것이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환경오염물질의 생물이용도나 생물축적 양상의 차이 때문에 고유 독성치를 비교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와 달리 '생물체내 농도에 기반한 접근방법(이하 생체잔류량 접근법)'은 환경오염물질의 생물이용도나 종 특이적 생물축적 양상과 관련된 불확실성을 제거하고, 환경오염물질 고유의 독성을 비교 평가할 수 있게 해준다. 특히 생체잔류량 접근법을 독성동태학 및 독성역학 모델과 함께 사용하는 경우는 실제 현장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노출조건에서의 독성영향을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생체잔류량 접근법'은 독성기작별 임계잔류량(Critical Body Residue)을 결정함으로써 생물모니터링의 결과를 해석하는데 적용되고 있다. 또한 생태위해성평가를 위해서 필요한 '무영향예측농도(Predicted No-effect Concentration, PNEC)를 예측하기 위한 방법으로 생체 내 잔류량에 기반해서 농도-시간-반응관계를 기술하고, 예측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독성역학 및 독성동태학 모델을 제시하고, 생체내 '무영향농도(No Effect Concentration, NEC)'를 추정하게 해 준다. 특히 생체내 NEC는 '무영향관찰농도(No Observed Effect Concentration, NOEC)'와 '영향농도(Effect Concentration, EC)'처럼 분산분석이나 회귀분석모델과 같은 통계적 모델에 기반해서, 농도-반응관계만을 기술할 뿐인 기존 독성모델을 대체할 대안으로 최근에 OECD와 ISO에 의해서 추천되었다.분석을 시행한 결과 인지기능 장애정도 및 MMSEK 점수 증가에 따른 사망위험도는 어느 모형에서도 인지기능 장애정도가 사망에 미치는 위험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표 6, 표 7). 이상 본 연구는 농촌지역 노인들에서 인지기능 장애정도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지만, 인지기능 장애정도가 사망에 미치는 영향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고찰하지 못하였다.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P<0.001) 5. Excelco로 부식처리된 도재가 5% HF 용액으로 부식처리된 도재보다 부식정도가 더 현저하였다.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먼저, 학교급식에 대한 식단 작성 시 학생들이 학교에서 제공되기 원하는 식단에 대한 의견을 받고 그 의견에 대한 결과를 게시하여 학생들이 제공되기 원하는 식단을 급식 시 제공하여 학생들이 식단선택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또한 영양사는 학급의 반대표와의 정기적인 모임을 가짐으로서 학생들의 불만사항 및 개선 요구사항에대해 서로 의견을 교환하여 설문지조사가 아닌 직접적인 대화를 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겠다. 특히 아침식사의 결식 빈도가 높았고 이는 급식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뿐 아니라 학교에서 제공하는 음식의 섭취정도에도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학생들에게 학부모와 전담교사 및 학교영양사는 학생들에게 이상적인 아침식사에 대한 교육은 물론이고 아침식사를 실천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에 대해 함께 연구해야 하겠다. 정부차원에서 학교급식에 아침식사 프로그램을 도입할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아침을 결식하는 학생이 학교에서 수업시작 하기 전에 간단한 식사를 할 수 있는 정책 도입이 필요하다acid의 생성량(生成量)을 측정(測定)하였는데 periodate의 소비량(消費量)은 1.23 mole, for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은 0.78 mole이다.한 경우도 비교적 많이 먹고 있었다(24.3%). 남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