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쇠함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6초

노쇠와 의료 이용의 관련성: 일부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을 중심으로 (Frailty and Health Care Utilization among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 정연;배정은;송은솔;김남순
    • 한국노년학
    • /
    • 제38권4호
    • /
    • pp.837-851
    • /
    • 2018
  • 본 연구는 노쇠 수준이 건강상태 및 건강행태에 미치는 연관성을 파악하고, 노쇠가 의료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해 일개 지역사회(대전광역시)에 거주하는 65~84세의 노인 516명을 대상으로 노쇠, 건강상태 및 행태, 의료서비스 이용에 대해 일대일 면접 설문조사를 시행하였고, 노쇠 수준은 K-frail 도구를 활용하여 측정한 후 노쇠, 전노쇠, 비노쇠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노쇠 수준과 건강상태 및 행태,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해 카이제곱검정을 시행하였고, 노쇠 수준이 응급과 입원 서비스 이용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외래서비스 이용 경험 중 외래방문 횟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비노쇠군에 비해 노쇠군에 속한 노인들에서 주관적 건강상태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비율이 높았고, 만성질환을 2개 또는 3개 이상 진단받은 비율이 높았으며, 낙상위험성, 일상생활 수행 어려움의 비율이 높았다. 또한, 노쇠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관적 건강상태, 만성질환의 수를 통제한 후에도 응급 서비스 및 외래서비스 이용의 증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사회에서 노쇠를 조기에 발견하여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체계와 전략 마련이 중요함을 시사하며, 향후 노쇠에 대한 종적 자료 구축을 통해 노쇠와 건강상태 및 행태, 의료 이용 사이의 인과관계 규명을 위한 심층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지역사회 노인의 저작 능력이 노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융합 연구 (A convergence study of the influence of masticatory ability on frailty in the community elderly)

  • 정은주;송애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7-54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의 저작 능력이 노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65세 이상의 노인 224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주관적 및 객관적 저작 능력, 노쇠수준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저작 능력은 연령, 교육 수준, 경제활동 여부, 거주 형태, 틀니 장착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비노쇠 노인의 저작 능력은 노쇠 노인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저작 능력이 좋은 대상자에 비해 저작 능력이 좋지 못한 대상자에서 노쇠가 있을 위험비는 2.33배 높았으며, 연령을 보정한 결과 저작 능력이 좋은 그룹에 비해 좋지 못한 그룹에서 노쇠가 있을 위험비는 2.30배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노인의 저작 능력이 노쇠의 예측요인 중의 하나이며, 지역사회 차원의 구강건강 관리를 통해 노쇠를 예방하여 건강한 노화를 달성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 노인의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Frailty and Sleep Duration of the Older Adults in Korea)

  • 구혜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94-106
    • /
    • 2022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노인의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690명이었고,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복합표본 빈도 분석, 기술 통계, 교차 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 노쇠한 대상자는 8.9%, 수면 시간이 '부적당(<5시간, >9시간)'한 경우는 13.0%였다.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만의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부적당'한 수면을 취하는 경우는 '비 노쇠', '전 노쇠' 수준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하지만,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행태·질병 특성을 동시에 보정하였을 때에는 노쇠 수준과 수면 시간은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수면 시간이 '부적당'한 경우는 연령 '70~74세'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낮은 교육 수준, 낮은 소득 수준 및 높은 스트레스 인지 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노인의 노쇠를 예방하고 수면 시간을 개선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개인과 사회의 노력이 요구된다.

농촌 지역 노인의 영양 상태, 근감소증과, 노쇠의 연관성 (Association between nutritional status, sarcopenia, and frailty in rural elders)

  • 이수현;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6권1호
    • /
    • pp.23-31
    • /
    • 2021
  • 노쇠(frailty)와 근감소증(sarcopenia)은 최근 노인건강 관리에 중요한 개념이다. 근감소증은 노쇠에 영향을 주는 가장 대표적인 요인이고, 운동, 영양수준 등이 근감소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연구에서는 특히 영양 수준과 근감소증, 노쇠와의 연관성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연구 대상자는 경남 10개 마을 65세 이상 노인 411명으로, 성별, 연령, 학력, 동거인 유무와 같은 사회인구학적 변수를 조사하고, GDS-SF로 우울감, K-FRAIL로 노쇠, 한국판 SARC-F로 근감소증, DETERMINE으로 영양 수준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단순분석에서는 영양 수준과 노쇠, 근감소증 의심과는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p<0.001) 그리고, 성별, 동거인 유무, 연령, 학력, 우울감을 보정했을 때 영양 수준은 노쇠, 근감소증 각각과 유의한 관련성을 가졌고(p<0.001), 근감소증을 보정하였을 때도 노쇠와 유의한 관련성을 가졌다.(p<0.001) 더하여, 근감소증 역시 노쇠와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영양 수준은 노쇠에 직접적인 영향과 근감소증을 통한 간접적 영향 모두 미칠 수 있고, 근감소증 역시 노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노인들에게 근감소증과 영양 수준을 평가하고 적절한 개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근감소증과 노쇠의 전임상 모델 및 운동 효과 (Pre-clinical Models and Exercise Effects for Sarcopenia and Frailty)

  • 지현석;허정빈;김종희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4호
    • /
    • pp.423-43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근감소증 (sarcopenia)과 노쇠 (frailty)의 전임상 모델에 대한 최근의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여 근감소증과 노쇠의 분석적 지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근감소증 및 노쇠 증후군의 예방 및 지연에 있어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자료 수집은 Google scholar 및 Pubmed 검색엔진을 이용하였으며, 'sarcopenia index, frailty index, exercise, and mice' 등의 키워드로 검색된 2005년부터 2017년까지 게재된 15개의 논문을 분석하였다. 근감소증과 노쇠는 고령자에게 나타나는 대표적인 노인성 증후군이지만 개인특성별 장기적인 운동 (유산소와 저항성운동의 조합 또한 최적의 운동처방이 될 수 있겠다.)을 통해 증상의 예방 및 지연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일부 보건진료소에서 실시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농촌여성노인의 노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 on the Frailty of Rural Elderly Women Implemented at Primary Health Care Posts)

  • 김민경;박기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4권3호
    • /
    • pp.115-123
    • /
    • 2019
  • 이 연구는 J시 일부 보건진료소에서 실시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농촌여성노인 노쇠정도 확인을 위한 건강상태(지각된 건강상태, 노쇠 점수, 상 하체 유연성, 최대악력, 동적평형검사 Timed Up and Go)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함으로 대한노인병학회에서 개발한 한국형 노쇠측정도구 8개 항목을 통해 보건진료소 관할지역 노인들의 노쇠수준을 파악하고, 농촌 여성노인들의 노쇠수준에 맞는 12주 건강증진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건강증진프로그램(프로그램명: ${\bigcirc}{\bigcirc}$보건진료소와 주민이 함께 만드는 하하호호 백세건강마을 만들기)은 J시 보건진료소 특성화 사업의 한 부분으로 연구자인 보건진료전담공무원이 전문가의 자문을 얻어 농촌여성 노인들에게 적합하도록 수정 보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노쇠측정도구 8개 항목을 통한 노쇠점수도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8개 항목 중 주관적인 현재 건강상태와 우울한 감정의 개선이 노쇠점수가 향상에 특히 도움이 되었다. 건강상태 변화로 왼쪽 상체유연성은 실험군이 약 2배(+17cm), 오른쪽 상체유연성은 +11cm, 하체유연성은 실험군이 +6cm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거의 변화가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의 근력평가로 최대악력은 실험군이 약+4kg 증가하였고, 동적 균형 검사(Timed Up and Go test)는 실험군이 3초 빨라지고 대조군은 거의 변화가 없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실시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이 상 하체 유연성 및 근력, 민첩성 등 운동능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취약지역 보건 진료소 관할 인구의 평균수명 연장과 고령화로 노쇠한 농촌 노인들의 특성을 반영한 근력강화 및 유연성 운동과 인지개선 활동 등 다양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발과 프로그램의 표준화를 통한 확대 적용이 필요하다.

한국 노인의 식사 섭취와 노쇠와의 연관성 연구: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Association between frailty and dietary intake amongst the Korean elderly: based on the 201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양수현;장원;김양하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4권6호
    • /
    • pp.631-643
    • /
    • 2021
  • 본 연구는 제7기 3차년도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노쇠에 따른 영양소와 식품섭취의 차이를 분석하고 식품섭취와 노쇠의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성별에 따른 노쇠 유병률은 남성은 9.7%, 여성은 21.9%로 여성의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성별에 관계없이 남녀 노쇠군은 평균영양소 적정섭취비 (MAR)와 18가지 식품군에 대한 총 식품 섭취량이 유의하게 적었다. 식품 섭취수준에 따른 노쇠와의 연관성은 남성의 경우 과일류 (OR [95% CI] = 0.34 [0.13-0.93])의 상위 3삼분위 섭취군이 하위 1삼분위 섭취군에 비해 노쇠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 여성의 경우 어패류 (OR [95% CI] = 0.55 [0.30-0.99])의 상위 3삼분위 섭취군이 하위 1삼분위 섭취군에 비해 노쇠 위험이 유의하게 낮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식이섭취와 노쇠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남성의 경우 과일류 섭취가, 여성의 경우 어패류 섭취가 낮은 노쇠 위험과 관련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한국 노인의 구강노쇠와 건강관련 삶의 질(HINT-8)의 관련성 (Correlation between oral frailty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INT-8) among older adults in Korea)

  • In-Ja Kim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09-119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노인들의 구강노쇠 실태를 파악하고 구강노쇠와 건강관련 삶의 질(HINT-8)의 관련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제8기 1차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65세 이상 노인의 구강노쇠와 건강관련 삶의 질(HINT-8)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복합표본 교차분석과 일반선형모형, 복합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건강관련 삶의 질(HINT-8)은 저작불편이 있는 사람은 1.183배, 말하기 불편이 있는 사람은 1.236배, 현존치아 수가 19개 이하인 사람은 1.153배, 칫솔질 평균횟수가 2회 이하인 사람은 1.043배 낮았다(p<0.05). 저작불편이 있는 사람은 저작불편이 없는 사람보다 신체적 건강영역의 삶의 질은 1.246배 낮았고, 사회적 건강영역의 삶의 질은 1.324배 낮았으며, 정신적 건강영역의 삶의 질은 1.089배 낮았다(p<0.05). 말하기 불편이 있는 사람은 말하기 불편이 없는 사람보다 신체적 건강영역의 삶의 질은 1.275배 낮았고, 사회적 건강영역의 삶의 질은 1.449배 낮았으며, 정신적 건강영역의 삶의 질은 1.175배 낮았다(p<0.05). 현존치아 수가 19개 이하인 사람은 현존치아 수가 20개 이상인 사람보다 신체적 건강영역의 삶의 질은 1.331배 낮았고, 사회적 건강영역의 삶의 질은 1.530배 낮았다(p<0.05). 칫솔질 평균횟수 2회 이하인 사람은 칫솔질 평균횟수 3회 이상인 사람보다 긍정적 건강영역의 삶의 질이 1.128배 낮았고, 구강위생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은 사용하는 사람보다 사회적 건강영역의 삶의 질이 1.242배 낮았다(p<0.05). 결론: 노인의 구강노쇠는 건강관련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노인의 약 55%에서 구강노쇠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들의 구강노쇠 관리를 할 수 있는 정책 마련과 함께 구강노쇠 관리 전문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것 으로 사료된다.

한국 노인의 배우자 사별이 노쇠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pousal bereavement on frailty of the older adults in Korea)

  • 구혜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777-788
    • /
    • 2022
  •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노인의 배우자 사별과 노쇠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1,609명이었고, SPSS Win 26.0 프로그램으로 복합표본 빈도분석, 기술통계, 교차분석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연령, 소득수준, 교육수준, 독거여부)과 건강행태·질환관련 특성(신체활동 실천여부, 스트레스 인지정도, 주관적 건강 인지정도, 고혈압·뇌졸중·관절염·우울증 진단여부)을 동시에 보정한 대상자의 노쇠는 배우자 사별여부에 따라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낮은 연령, 높은 소득수준, 주관적 건강 인지정도가 좋을수록, 관절염이 없을 때 노쇠할 확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배우자를 사별한 노인의 노쇠를 관리하기 위해 지속적인 개인, 가족과 사회의 노력이 필요하다.

노화 관련 근감소증과 노쇠함의 원인과 예방을 위한 운동과 영양의 역할 (Causes of age-related sarcopenia and frailty: the role of exercise and nutrition for prevention)

  • 변용현;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625-634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노화 관련 근감소증과 노쇠함의 정의와 원인뿐만 아니라 규칙적인 운동과 올바른 영양을 통한 예방과 지연을 탐색하고자 한다. 근감소증과 쇠약함은 노화에 따른 근량과 근기능이 감소하여 쇠약함과 악액질, 골다공증, 대사적 증후군과 조기 사망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 질환은 활성화 산소로 알려진 산화적 스트레스 양의 증가에 따른 근육 내부에서의 신경계 손상과 단백질 합성 부족, 부적절한 영양 및 신체활동의 부족 등과 관련성이 있었다. 그러한 증후군을 예방하고 개선하기 위한 올바른 영양과 신체활동(유산소운동, 저항운동 등)의 역할과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노화와 관련한 근감소증과 노쇠함을 예방하고 극복하기 위한 가장 유익한 방법으로서 규칙적인 운동을 포함한 양질의 단백질 공급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