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말 벡터

Search Result 8, Processing Time 0.043 seconds

A Study of NormalMap Texture in Game Engine (게임엔진에서의 노말맵 텍스쳐에 대한 연구)

  • Jung, Jong-P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0.01a
    • /
    • pp.203-20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게임 엔진에서 사용되는 노말맵(Normal Map)의 원리와 그 응용 방식에 대해 연구하였다. 노말맵은 게임에서 하이 폴리곤 모델링에 적용되는 조명 적용 데이터를 로우 폴리곤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 하이 폴리곤 모델링의 벡터 방향 데이터를 텍스쳐로 저장하여 로우 폴리곤에 적용해서 벡터 방향을 텍셀단위로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여기에서는 게임에서의 노말맵 저장 방식과 연산 방식에 대해 소개하고 이를 응용하여 최적화 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PDF

A Study of Normal Map Extraction and Lighting Technology for Real-time Image Based Lighting (실시간 영상기반 라이팅을 위한 고속 노말맵 추출방법 및 라이팅 기술 연구)

  • Yu, Se-Un;Bang, Chan-Yeong;Lee, Sang-Hwa;Lee, Sang-Yeop;An, Sang-Cheol;Park, Jong-I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1031-1036
    • /
    • 2007
  • 최근 가상현실 기술의 주요 연구 동향으로 몰입감을 증가시키는 실감공간 구현구술이 주목 받고 있다. 실감공간 기술이란 서로 다른 공간에 떨어져 있는 사용자가 같은 공간에 있는 효과를 구현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상호간의 주변 환경을 일치시키는 기술에 중점을 두고, 실시간으로 두 공간의 조명정보를 일치시키는 기술로서 2가지 핵심 내용을 소개한다. 첫째는 비주얼 헐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속으로 노말벡터를 추출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사용자 주변 조명 환경 정보를 반영하는 라이팅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첫번째 방법은 비주얼 헐 데이터의 depth존재영역에서 노말맵을 계산하도록 하고, 노말맵을 계산할 때 주변 폴리곤들 기하학적 변화가 심할수록 노말맵 계산에 사용하는 주변 벡터의 선태을 늘리거나 줄이는 방식으로, 불필요한 계산량을 감소시켰다. 본 논문에서 수행한 두번째 방법에서는 주변 조명 정보에서 빛의 세기와 라이팅을 반영할 객체의 반사율의 특성을 고려하여 라이팅에 사용할 광원을 선택적으로 반영하여 불필요한 연산량을 감소시켰다. 종래의 영상기반 라이팅 기술이 사전에 촬영된 영상을 사용하거나 정지영상에 적용되는 연구를 한 반면에 본 논문은 실시간에서 라이팅을 구현하기 위한 시도로서 고속 라이팅 연산 기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면 영상기반 라이팅 연구의 실제적이고도 폭넓은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고화질의 콘텐츠 양산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노말 벡터를 고려한 자동차 서브프레임의 해석 알고리즘 구현

  • 이광일;양승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274-274
    • /
    • 2004
  • 조향성능은 완성된 자동차를 평가하는 아주 중요한 요소이며, 운전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가지는 까닭으로 우선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이다. 자동차의 조향성능과 관련된 자동차 요소로는 프런트 샤시 모듈이 있으며, 프런트 샤시 모듈의 자세는 구성 요소인 서브프레임의 조립자세에 의하여 결정된다. 서브프레임은 4개의 원통형 지지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차체와의 조립시 지지부에 물리적 접촉이 발생한다. 즉 공간상에서 서브프레임의 자세는 지지부의 조립위치에 의하여 결정이 되며, 서브프레임의 자세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지지부에 대한 적절한 해석이 필요하다.(중략)

  • PDF

Conus Crown Modeling for Teeth Reconstruction (치아재건을 위한 Conus 내관 모델링)

  • 엄성권;김병오;유재수;유관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571-573
    • /
    • 1999
  • 수공으로 이루어지는 치아 재건을 3차원 모델링을 통하여 좀 더 정확하고 빠르게 제작하는데 있어 Conus 내관을 정확히 모델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Conus 내관을 모델링하기 위해 치과 의사가 만든 구강의 석고 모형으로부터 얻은 3차원 정보에서 실제 치아와 갈아낸 부분과의 경계인 변연(margin)을 정확히 찾아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변연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면의 노말 벡터(normal vector)와 치아의 기준 벡터와의 각도의 변화량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변연으로부터 컴퓨터로 Conus 내관을 제작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 PDF

Real-time Video Based Relighting Technology for Moving Object (움직이는 오브젝트를 위한 실시간 비디오기반 재조명 기술 -비주얼 헐 오브젝트를 이용한 실시간 영상기반 재조명 기술)

  • Ryu, Sae-Woon;Lee, Sang-Hwa;Park, Jong-Il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a
    • /
    • pp.433-438
    • /
    • 2008
  • 본 논문은 비주얼 헐 오브젝트를 이용한 움직이는 오브젝트에 대한 실시간 영상기반 라이팅 기술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서로 다른 공간상의 조명 환경을 일치시키는 기술에 중점을 두고,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오브젝트의 실시간 비디오 기반 재조명 기술로서 3가지 핵심 내용을 소개한다. 첫째는 비주얼 헐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존에 벡터의 외적을 사용하던 방법을 개선하여 수식을 근사화시켜 연산량을 줄여서 고속으로 노말 벡터를 추출하는 방법이고, 둘째는 사용자 주변 조명 환경 정보를 효과적으로 샘플링하여 라이팅에 사용하는 점광원의 개수를 줄였으며, 세 번째는 CPU와 GPU의 연산량을 분배하여 효과적으로 병렬 고속 연산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종래의 영상기반 라이팅 기술이 정지된 환경맵 영상을 사용하거나 정지된 객체를 라이팅하였던 연구를 한 반면에 본 논문은 실시간에서 라이팅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로서 고속 라이팅 연산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이용하면 영상기반 라이팅 연구의 실제적이고도 폭넓은 작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고화질의 콘텐츠 양산에도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urface Synoptic Climatic Patterns for Heavy Snowfall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우리나라 대설 시 지상 종관 기후 패턴)

  • Choi, Gwang-Yong;Kim, Jun-Su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5 no.3
    • /
    • pp.319-341
    • /
    • 2010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classify heavy snowfall types in the Republic of Korea based on fresh snowfall data and atmospheric circulation data during the last 36(1973/74-2008/09) snow seasons and to identify typical surface synoptic climate patterns that characterize each heavy snowfall type. Four synoptic climate categories and seventeen regional heavy snowfall types are classified based on sea level pressure/surface wind vector patterns in East Asia and frequent spatial clustering patterns of heavy snowfall in the Republic of Korea, respectively. Composite analyses of multiple surface synoptic weather charts demonstrate that the locations and intensity of pressure/wind vector mean and anomaly cores in East Asia differentiate each regional heavy snowfall type in Korea. These differences in synoptic climatic fields are primarily associated with the surge of the Siberian high pressure system and the appearance of low pressure systems over the Korean Peninsula. In terms of hemispheric atmospheric circulation, synoptic climatic patterns in the negative mode of winter Arctic Oscillation (AO) are also associated with frequent heavy snowfall in the Republic of Korea at seasonal scales. These results from long-term synoptic climatic data could contribute to improvement of short-range or seasonal prediction of regional heavy snowfall.

GPU-based Rendering of Blending Surfaces (블렌딩 곡면의 GPU 기반 렌더링)

  • Ko, Dae-Hy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3 no.1
    • /
    • pp.1-6
    • /
    • 2007
  • Although free-form surfaces can represent smooth shapes with only a few control points contrary to polygonal meshes, graphics hardware does not support surface rendering currently. Since modern programmable graphics pipeline can be used to accelerate various kinds of existing graphics algorithms, this paper presents a method that utilizes the graphics processing unit (GPU) to render blending surfaces with arbitrary topology fast. Surface parameters sampled on the control mesh and geometric data for local surfaces are sent to the graphics pipeline, and then the vertex processor evaluates the surface positions and normals with these data. This method can achieve very high performance rather than CPU-based rendering.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ropical Cyclone Passage Frequency over the Western North Pacific using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경험적 직교함수를 이용한 북서태평양 열대저기압의 이동빈도 특성에 관한 연구)

  • Choi, Ki-Seon;Kang, Ki-Ryong;Kim, Do-Woo;Hwang, Ho-Seong;Lee, Sang-Ryong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0 no.6
    • /
    • pp.721-733
    • /
    • 2009
  • A pattern of tropical cyclone (TC) movement in the western North Pacific area was studied using the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 (EOF) and the best track data from 1951 to 2007. The independent variable used in this study was defined as the frequency of tropical cyclone passage in 5 by 5 degree grid. The $1^{st}$, $2^{nd}$ and $3^{rd}$ modes were the east-west, north-south and diagonal variation patterns. Based on the time series of each component, the signs of first and second mode changed in 1997 and 1991, respectively,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passage frequency was higher in the South China Sea for 20 years before 1990s, and recent 20 years in the East Asian area. When the eigen vectors were negative values in the first and second modes and TC moves into the western North Pacific, TC was formed mainly at the east side relatively compared to the case of the positive eigen vectors. The first mode seems to relate to the pressure pattern at the south of Lake Baikal, the second mode the variation pattern around $30^{\circ}N$, and the third mode the pressure pattern around Japan. The first mode wa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ENSO and negatively related to the $Ni\tilde{n}o$-3.4 index in the correlation analysis with SST anomal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