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노랑

검색결과 10,547건 처리시간 0.036초

노인 암환자를 중심으로 노인 만성질환자 및 중년 암환자 간의 삶의 질과 그 영향 요인 비교 (Quality of Life of Older Cancer Patients in Comparison with Older Chronic Disease Patients and Middle-Aged Cancer Patients)

  • 임연옥;김여진;윤현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4호
    • /
    • pp.367-393
    • /
    • 2013
  • 본 연구는 Talyor(2012)의 스트레스-대응 과정 모델을 적용하여 노인 암환자의 삶의 질과 그 영향 요인을 노인 만성질환자 및 중년 암환자 집단과 각각 비교하여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노인 암환자 197명, 중년 암환자 351명, 노인 만성질환자 307명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대응자원인 낙관성, 가족지지, 친구지지, 의사지지, 생활 스트레스, 경제적 상황과 삶의 질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노인 암환자의 신체건강 관련 삶의 질은 세 집단 중 가장 열악하였고, 정신건강 관련 삶의 질은 노인 만성질환자에 비해 더 낮았으며, 의사지지를 제외한 스트레스 대응자원이 노인 암환자의 신체건강 및 정신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스트레스 대응자원과 삶의 질의 영향 관계는 노인 암환자와 노인 만성질환자, 노인 암환자와 중년 암환자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연구결과를 통해 의료복지차원에서 낙관성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 친구와의 교제 권장, 경제적 지원의 확충, 생활 스트레스 경감을 위한 재가복지서비스와 가족상담의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 PDF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For Developing Perceived Elderly Stigma Scale)

  • 안순태;오현정;정순둘
    • 한국노년학
    • /
    • 제37권2호
    • /
    • pp.309-328
    • /
    • 2017
  • 본 연구는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노인 인구에 대한 타 세대의 부정적 고정관념과 낙인은 노인의 삶의 질 저하와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척도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사회문화적 성격을 반영한 노인 낙인 척도개발을 위해 기존 문헌과 43명의 젊은 성인들로부터 추출한 항목들을 바탕으로 총 34개의 항목으로 이루어진 척도를 1차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전문가 자문과 내부 연구자 회의를 거쳐 총 31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를 잠정 개발하였다. 척도의 차원성, 신뢰도,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해 252명의 65세 미만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지각된 노인 낙인, 연령주의, 노인차별주의, 노인 태도, 노인 공경을 측정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28개의 항목으로 최종 구성된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는 '기질', '능력', '외모', '권위주의적 의존', '자식집착'의 5개 차원으로 구분되었으며, 각 차원의 세부 항목들은 적절한 내적 합치도를 보였다. 지각된 노인 낙인 척도는 이론적으로 정적 관계에 있는 연령주의, 노인차별주의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개념적으로 반대에 있는 노인 태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노인 공경 인식과는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세대통합을 위한 노인 낙인 해소 연구와 실무의 기초가 되는 척도 개발을 통해 노인 낙인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향후 효과적인 정책 변화와 홍보 전략 수립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피쳐 퓨전 모듈을 이용한 콘포머 기반의 노인 음성 인식 (Conformer-based Elderly Speech Recognition using Feature Fusion Module)

  • 이민식;김지희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23년도 제35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9-43
    • /
    • 2023
  • 자동 음성 인식(Automatic Speech Recognition, ASR)은 컴퓨터가 인간의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는 기술이다. 자동 음성 인식 시스템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사용되며, 음성 명령 및 제어, 음성 검색, 텍스트 트랜스크립션, 자동 음성 번역 등 다양한 작업을 목적으로 한다. 자동 음성 인식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노인 음성 인식(Elderly Speech Recognition, ESR)에 대한 어려움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 음성 인식에 콘포머(Conformer)와 피쳐 퓨전 모듈(Features Fusion Module, FFM)기반 노인 음성 인식 모델을 제안한다. 학습, 평가는 VOTE400(Voide Of The Elderly 400 Hours) 데이터셋으로 한다. 본 연구는 그동안 잘 이뤄지지 않았던 콘포머와 퓨전피쳐를 사용해 노인 음성 인식을 위한 딥러닝 모델을 제시하였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콘포머 모델보다 높은 수준의 정확도를 보임으로써 노인 음성 인식을 위한 딥러닝 모델 연구에 기여했다.

  • PDF

LibQUAL+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rvice Quality Evaluation of Older Persons in Public Libraries by the Use of LibQUAL+: The Case of G-gu in Seoul)

  • 김보일;김선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319-344
    • /
    • 2017
  • 사회 환경 변화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노인 이용자 서비스는 새로운 관점에서 제고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LibQUAL+를 적용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품질을 평가하고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주요 이용 서비스 만족도, 전반적인 서비스 만족도, 서비스 품질 구성요인(서비스 영향력, 정보 제어, 도서관 장소) 그리고 재이용의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바탕으로 공공도서관 노인 서비스 개선방안으로 노인 이용자 환경 변화에 따른 적합한 정보자료 및 서비스 제공과 노인 이용자의 세분화된 연령별 정보요구에 따른 장서 개발 그리고 노인 서비스에 적합한 전담 인력을 배치를 제언하였다.

선미노(船尾櫓)의 추력발생기구(推力發生機構) 규명(糾明)을 위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Propulsive Characteristics of Sculls)

  • 김효철;이봉구;임창규
    • 대한조선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3-24
    • /
    • 1989
  • 인력(人力)을 추진동력(推進動力)으로 하는 소형선(小型船)에서 쓰이고 있는 선미노(船尾櫓)의 기하학적(幾何學的)인 특성(特性)과 조작방법(操作方法)이 오래전부터 전승(傳承)되어 왔으나 그 내용이 구체적으로 밝혀져 있지 않음은 물론이고 추력발생기구(推力發生機構)에 대한 과학적(科學的)인 조사(調査)가 이루어진 바 없다. 선미노(船尾櫓)의 사용실태(使用實態)를 조사(調査)하여 기하학적(幾何學的)인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하고 숙련(熟練)된 擄手(櫓手)가 선미노(船尾櫓)를 조작(操作)할 때 노(櫓)의 운동(運動)을 6자유도운동계측(自由度運動計測) 장치(裝置)로 측정(測定)하였다. 또한 노(櫓)의 손잡이 부분과 노운동(櫓運動)의 회전중심(回轉中心)이 되는 노봉(櫓棒)위치에 검력계(檢力計)를 설계제작(設計製作)하여 삽입설치(揷入設置)함으로서 노(櫓)가 작동중(作動中)일 때의 검력계(檢力計)의 출력(出力)을 조사(調査)하였다. 계측된 운동과 검력계출력을 해석함으로서 노의 운동(運動)과 추력(推力)사이의 상관관계(相關關係)를 밝히고저 하였다. 얻어진 연구방법론(硏究方法論)을 확장하면 노운동(櫓運動)의 최적조건(最適條件) 구명(究明)에도 활용(活用)될 수 있을 것이며 선측노(船側櫓)를 쓰는 조정(槽艇)에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노인 운전자의 운전 위험성 자각 특성 분석 (Analyzing Driving Risk Self-Perception Characteristics of Elderly Drivers)

  • 최성열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223-231
    • /
    • 2020
  • 노인 운전자는 기능저하로 인해 사고 위험성이 증가하지만 스스로 변화를 점검하는 자가-조절 능력 또한 발달한다. 이에 실제 노인 운전자가 운전 능력과 위험성 변화에 대응하는 특성에 대한 정보는 노인의 운전 능력 평가 현장과 연구에 의미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노인 운전자의 운전 위험성 자각 특성을 운전 중 행동과 운전관련 기능변화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노인 운전자 평가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노인 운전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평가를 실시하고 노인 운전자의 운전 위험성 자각 징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수의 노인 운전자가 시각 및 청각이 저하되거나 운전 여건 변화에 적응하는데 어려움을 느낄 때 운전 위험성을 자각하는 특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약물 복용이나 간질, 발작, 의식손실 등 의학적 건강 상태 변화에는 둔감하게 반응하는 특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가 고령화가 가속화되는 한국의 노인 운전자 안전 관리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지역 약국의 노인 전문 약사 도입 논의 (Discussion on the Introduction of Geriatric Specialized Pharmacists in Regional Pharmacy)

  • 정수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303-315
    • /
    • 2019
  • 2018년 한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14.3%로 고령사회로 진입하게 되었으며 2025년 전후로 노인 인구가 20% 이상인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된다. 노인들의 경우 여러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의약품을 복용하는 경우가 많아 각 약물 간의 상호작용 등의 약물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노인 약물관리 제도가 전문화되어 있는 미국의 제도와 초고령사회로의 진입을 앞두고 있는 한국의 제도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노인 약물관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한국 및 미국의 노인 약물 관리에 관한 체계적인 문헌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미국에서는 노인들에게 약물 치료 집중 관리제도(Medication Therapy Management, MTM)를 법제화하였고 노인 전문약사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다. 한국에서는 노인 약물 관리를 위해 커뮤니티케어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노인들이 더 안전하게 약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노인 전문약사 제도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노랑테 불나방과 숯검은 밤나방으로부터 분리된 미포자충의 형태적 성상 및 누에에 대한 감염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Infectivity of Microsporidian Isolates Derived from Yellow-hind Winged Arctiid, Eilema griseola (Hubner) and Cutworm, Agrotis tokionis Butler, to Silkworm Larvae)

  • 김한수;채수군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7-31
    • /
    • 1991
  • 노랑테불나방과 숯검은밤나방으로부터 미포자충을 분리하고 이들의 형태적인 성상과 누에에 대한 감염성을 조사하였다. 1. 노랑테불나방과 숯검은밤나방 외 6종의 야외곤충으로부터 8종의 미포자충이 분리되었으며 노랑테불나방와 숯검은밤나방으로부터 분리된 미포자충들의 크기는 각각 2.6$\mu$$\times$1.5$\mu$, 3.8$\mu$$\times$2.0$\mu$였다. 2. 노랑테불나방과 숯검은밤나방으로부터 분리된 미포자충들은 누에에 감염성을 나타냈으나 벼잎벌레로부터 분리된 미포자충은 누에에 감염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3. 노랑테불나방과 숯검은밤나방으로부터 분리된 미포자충들은 누에에 있어서 경란전달 전염은 되지 않았으나 노랑테불나방에 감연된 누에 나방이의 산란수도 적고 상태도 불규칙적이었다.

  • PDF

자외선(紫外線) 조사(照射)에 의한 노랑느타리버섯 담자포자(擔子胞子)의 영양요구성(營養要求性) 균주(菌株) 선발(選拔)에 관한 연구(硏究) (Isolation of Auxotrophic Mutants from Basidiospores of Pleurotus cornucopiae)

  • 이연희;박용환;유영복;민경희
    • 한국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5-188
    • /
    • 1986
  • 노랑 느타리버섯의 유전 연구 및 다른 느타리종과의 융합을 위해서 노랑 느타리의 담자포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영양요구성 균주를 선발하였다. 노랑 느타리 포자에 UV를 조사한 결과 UV조사시간이 $40{\sim}70$초이고 생존율 $0.4{\sim}1.4%$ 일때 많은 mutants를 얻을 수 있었고, 선발된 14 auxotrophic mutants의 유전 marker는 amino acid-requiring strain 3균주, nucleic acid base-requiring strain 1 균주, vitamin-requiring strain 3 균주, amino acid/nucleic acid base-requiring strain 2 균주, amino acid/vitamin-requiring strain 5 균주로 되었다.

  • PDF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노인교통사고 발생유형 분석연구 (Analysis of Elderly Traffic Accidents Using Public Data)

  • 이정원;이충호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53-58
    • /
    • 2019
  • 교통약자인 노인 교통사고율을 줄이기 위하여 교통사고분석시스템과 통계청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노인 인구가 많이 거주하는 지역과 노인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지역에 해당하는 데이터 분석은 더욱 중요하다. 본 논문은 부여군 내의 노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서 특정한 기간에 발생한 노인 교통사고 데이터를 빅데이터 분석기법으로 시각화 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로 생성된 노인 교통사고 사고유형, 사고 다발지역, 노인 위치 자료 등은 노인 교통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한 개선책 및 관련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