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노동시장 비정규화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Part-time Employment in Japan and Taiwan (일본과 대만의 시간제 고용에 관한 연구)

  • 이혜경;장혜경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3 no.2
    • /
    • pp.79-112
    • /
    • 2000
  •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contrasting pattern of part-time employment between Japan and Taiwan where the environments are similar in terms of expanding service industries and increasing flexibility of labor. In Japan, the expansion of part-time employment and its feminization have occurred, whereas they have not at all in Taiwa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asons behind this phenomena, and to explore what relations they might have with the supply of women\`s labor in each country. Data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when the phenomena of part-time employment in Japan and Taiwan are summarized as \`active\` and \`inactive\` models, the difference could be explained by a structure-oriented approach rather than an individual-oriented approach. In other word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is mainly because of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arket. a combination of capitalism and patriarchy, and an effect of state welfare and family policies rather than a \`voluntaristic choice\` due tn household work and child rearing. In light of this. the labor market segmentation and flexibility of labor theory in particular provided a useful frame for explanation. Second, with regard to the supply of women\`s labor, the difference between Japan and Taiwan could be found in the structure of the labor market and in family response strategies. The large corporation-oriented and strictly divided labor market structure in Japan activated part-time employment and its feminization, whereas, the small family-oriented businesses and less divided labor market in Taiwan supported the continuity of full-time employment of married women. There was also a room for informal employment in Taiwan which made part-time employment unnecessary. This study showed that even within similar environments of expanding service industry and pursuing flexibility of labor different measures and adaptations were possible. The case of Taiwan in particular, showed the significance of an informal labor market which was a part of industrialization process and a strategy of producing various products through a subcontracting network.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Poverty Trend and Driving Factors in Welfare States (복지국가의 빈곤 추세와 변화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 Kim, Hwan-Joon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7 no.1
    • /
    • pp.271-297
    • /
    • 2005
  • Since the 1980s, the western welfare states have experienced a wide spectrum of socio-economic changes; changes in population composition, the economic globalization, the post-industrialization, an increasing flexibility in the labor market. etc.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 of poverty in welfare states, and analyzes how those socio-economic changes are related to it.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first calculates the poverty indices for several years in 10 welfare states using the Luxembourg Income Study database, and then decomposes the index by subpopulation and income source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welfare state in general has experienced an increasing trend in the degree of poverty since the 1980s. In particular, poverty has greatly intensified in the United Kingdom and the Netherlands. Many other welfare states including Canada, Germany, Sweden, and Norway have also experienced substantial increases in poverty. The increasing trend of poverty is not wholly due to changes in population composition such as increases in the aging population and one-parent(mother) families. Contrary to the traditional belief, these population groups are not as much poor as the working-age population. In particular, the degree of poverty in the elderly is less severe than in the working-age group. Furthermore, since the 1980s the market income poverty in the aging population has shown a decreasing trend in many welfare states. The degree and trend of poverty in one-parent families vary greatly across countries, owing to the labor market and income transfer policies. The most important reason for the increasing poverty trend in the welfare state is that the degree of poverty has been deepening in the working-age population. Especially, the market income poverty of the working-age population has considerably increased in every country except the Netherlands. Structural changes in the economy and the labor market may drive the increasing trend of poverty. Further studies and deliberate anti-poverty policies are needed to tackle the factors relating to the increase in the market income poverty.

  • PDF

A Research on the Nature of Working of the Employees in e-Sport Industry (e-스포츠 산업 종사자의 노동자성에 관한 연구)

  • Ahn, Sun-Young;Shim, Jae-Woong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62
    • /
    • pp.264-285
    • /
    • 2013
  • The goal of the study is to analyze some structural issues of e-sport industry which has rapidly developed since 2000. Most of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e-sport dealt with e-sport in terms of industrial prospect and economic value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focus on employees of the field using in-depth interview method. Research findings show that there were several reasons for younger workers to early enter into the industry such as individualized labor market of post-modern era, growth of IT industry, and diversion of related occupational categories. The development of e-sport industry was possible with the youth' passion for the industry. However, their labor so called "professional" is vulnerable without systematic structure for them. This indicates that industrial prospect of e-sport industry and business models are not healthy. In addition, som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 PDF

Path to Poverty of Sick Workers and Fictional Korean Social Security (아픈 노동자는 왜 가난해지는가? - 아픈 노동자의 빈곤화과정과 소득보장제의 경험)

  • Lee, Sophia Seung-yoon;Kim, Ki-tae
    • 한국사회정책
    • /
    • v.24 no.4
    • /
    • pp.113-150
    • /
    • 2017
  • This study analyzes how workers become impoverished and have their jobs less stabilized after they suffer from non-job-related sickness. Given that South Korea lacks sickness benefits, which most of OECD member states legislate and implement except US and Switzerland, this study examines its impact on laborers' job stability and povertization in Korea. The researchers hav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nine former or present laborers who have the experiences and four experts on the issue in July-September, 2017 for the qualitative analysis. It is found that laborers, after becoming aware of their sickness, at first endure their pain without informing their employers not to lose their jobs. The attititude is observed especially among non-standard laborers, because sickness more often leads to job loss for them than for standard laborers. After workers have to leave their jobs due to their sickness in the end, they have no choice but to keep working in less stable jobs to compensate for income losses. They become gradually impoverished with their social capital like family bond declining. We observe laborers who are eligible for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compensation could not benefit from the system because some employers refrain from the legal reporting duty. Due to this illegal practices, some industrial accident victims unduly lose their jobs due to "non-job-related sickness". Second, some employers report to the authority that their sick laborers have left their jobs 'voluntarily' even when they have quitted it without their volition, in which case the newly unemployed are not eligible for unemployment benefits. Large holes in Korea's safety nets for those suffering from multiple risks of sickness and unemployment.

Factors affecting re-employment will and re-employment of the elderly workers (중·노년층의 재취업 의지 및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Park, Kang-seok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6 no.6
    • /
    • pp.3845-3857
    • /
    • 2015
  •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re-employment will and re-employment of the elderly workers, using the aging pannel(KLoSA). As a results of the analysis, re-employment will of high school graduates is higher than that of college graduates, but re-employment possibility is lower. This is somewhat contradictory results with other studies. This seems to be influenced by a large number of highly educated baby boomers' retire. 50s' re-employment will was lower than 60s'. As job factors, employed period and scale has a positive effect. In contrast, type of industry, job haven't. In order to induce the re-employment of the elderly, inhibiting expansion of self-employment, job creation, irregular and minimum wage system improvements, Customized services are needed.

미국 유기양돈의 생산과 유통 -현황과 농가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 크리스보에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Organic Agriculture Conference
    • /
    • 2001.10a
    • /
    • pp.207-218
    • /
    • 2001
  • 미국의 콘벨트와 같이 곡물을 집약적으로 재배하는 지역에서 관행생산으로부터 유기적 생산으로 전환할 때 문제가 되는 것은 어떻게 하면 작물윤작을 더 많은 이익이 나올 수 있도록 선택하고 관리하는가 하는 점이다. 곡물생산을 중단하고 사료와 녹비작물을 재배하는데 드는 기회비용은 상당하다. 많은 유기농업 연구자, 학자들은 가축사육을 농장에 도입하여 다양화와 노동력 활용도를 높일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가축 역시 곡물생산량이 줄어드는 것을 보완해줄 정도로 곡물 및 사료작물의 가치를 늘려 추며, 곡물생산에 쓰여진 양분을 퇴비를 통해 재활용할 수 있게 해 준다. 곡물 집약재배 지역에서 유기농가는 양돈이 경종체계에 자연스럽게 들어맞는 것으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돼지는 곡물과 사료작물 모두에 가치를 증대시켜 줄 수 있는 아주 효율적이고 적용이 쉬운 가축이다. 그다지 많지는 않지만 유기적, 지속가능한 양돈 생산에 관해서는 문헌이 좀 있다. 그러나 유기농가로 하여금 유기양돈 생산을 하도록, 그리고 유통의 방법을 어떻게 할 것인가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그런 비교적 구체적인 정보는 그리 많지 않다. 이 글의 주요 초점은 미국 중부지방에서의 유기축산 생산(주로 돼지)에 관한 배경과, 시장의 추세, 인구적 특성, 미국의 기준들에 비추어 생산과 유통에 관한 결정 및 고려사항들에 대한 개관을 제시해 보는 일이다. 농장 수준에서 의사결정은 토지, 노동, 금융과 사회적 자본과 같은 자원을 각종 기회와 더불어 고려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결정은 모두 농장 차원을 넘어 각종 기준과 시장에서의 세력들의 맥락을 보고 이루어져야 한다. 각 개인의 수준에서는 농업인 역시 유기 흑은 환경친화적 농업에 관한 확신, 바꾸어 보겠다는 결심, 생활양식과 가족에 대한 영향, 그리고 농업인과 가족 경영에 대한 계획의 지평이라고 하는 범위 내에서의 유기적 방식으로의 전환에 관하여 결정을 내려야 한다.aotic motion)의 해석도 가능하다. 이 글에서는 비선형 진동해석을 위한 정규모드 동역학에 대한 연구동향 및 기본 이론을 살펴 보았고, 그 적용 예를 통하여 실험결과와 비교 고찰 함으로써 정규모드 동역학의 적용성을 서술하여 보았다. 선형이론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현상들에 대하여는 비선형의 관점에서 새롭게 접근하 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비선형 이론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진행되어야 한다.VA코드를 사용하여 흡기포트와 연소실 그리고 밸브의 움직임을 동시에 고려한 수치해석을 도입하였다. 하지만 이들이 밸브의 운동을 고려하기 위해 사용한 이동격자는 격자점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만 그 격자의 수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어서 밸브의 완전개폐를 해석할 수가 없다. 강희정[6]은 단일 실린더와 단일 배기밸브를 갖는 문제로 단순화하여 피스톤과 밸브의 움직임을 고려하므로써 배기행정 후 소음이 어떻게 전파해 나가는가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최소밸브간격과 최대밸브간격 사이에서만 계산이 가능하나 흡기의 경우는 밸브가 닫힐 때 생기는 압력파가 중요하므로 실린더와 밸브사이에 벽면조건을 주어 밸브의 개폐를 모사하였다.술을 보유하고자 한다. 이용한 해마의 부피측정은 해마경화증 환자의 진단에 있어 육안적인 MR 진단이 어려운 제한된 경우에만 실제적 도움을 줄 수 있는 보조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ofile whereas relaxivity at high field is not affected by τ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in τV does not affect low field profile but strongly in fluences on both inflection fie이 and the maximum relaxivity value. The results shows a fluences on both inflection field and the maximu

  • PDF

우리나라 직장 정신보건제도의 방향과 전망

  • Baek Do-Myeong
    • 대한예방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2.05a
    • /
    • pp.73-83
    • /
    • 2002
  • 우리 사회에서 일정 정도 이상의 사회와 가정에서의 기능상의 부적응을 초래하는 정신적 문제는 경제활동인구에 있어 가장 흔한 보건의료상의 문제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정신보건제도 마련에 있어 가장 극심한 부적응을 보이는 정신적 장애를 지닌 환자를 위주로 수용시설과 지역사회에서의 재활과 관리에 그 초점을 두어 왔다. 즉 직업스트레스와 같은 일시적인 사회심리적 갈등으로 인한 신체증상의 호소나 알을 및 약물중독으로 인한 사고의 발생으로부터 일생동안 관리되어야 하는 지능저하나 학습장애와 같은 만성적인 문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이는 사업장과 지역사회에서의 정신적 문제들 중 그 일부만이 제도적으로 관리되어 왔다. 실제 그 동안 직장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행정적 관심은 일부 장애인의 취업 문제를 제외하고는 없었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나 한편으로 우리 사회의 산업구조와 경제사회적 조건의 변화에 따른 노동내용과 조건상 유연화의 증대가 많은 직장에서 노동강화로 이어진다는 점, 그리고 가족 및 교류집단을 비롯한 전통적인 사회적 지지구조가 와해되고 있다는 점과 정신적 문제로 인한 기능상 부적응의 척도가 한편으로 사회적 가치관의 변화에 따라 계속 그 영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등에서 직장 내 정신보건 문제는 앞으로 더욱 그 비중이 커질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에 대한 관심이 요구되는 현재의 시점에서 제도적 접근에 대한 검토 또한 시작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현재까지 기업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정신보건관리의 현황을 단편적으로 파악해 보았을 때, 단지 일부 기업에서 취업시 내지는 부서 배치시 성격검사를 비롯하여 적성검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기업윤리확보 차원에서 비정규적으로 사기앙양을 주목적으로 하는 집단적인 교육이나 단체훈련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정신심리적 문제를 개인적 차원에서 그리고 또한 조직적 차원에서 체계화된 프로그램으로 관리하고 있는 사례는 아직 없다. 앞으로 직장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하여 제도적인 접근을 하기 위하여서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조건들이 구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첫 번째로 문제점 그 자체의 내용과 그 규모에 대한 정확한 파악과 예측이 가능하여야 한다. 즉 제도 전체의 운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개선할 수 있는 기제가 함께 있어야 제도가 실제적인 기능을 할 수 있다는 최소한의 목적이 달성될 수 있다. 두 번째로 문제점의 관리를 위한 효과적인 개입내용 및 개입지점의 확보가 가능하여야 한다. 특히 직장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는 시범사업과 시장을 통한 소비자, 즉 사업주들의 자발적인 선택을 통하여 검토되고 걸려져야만 한다. 마지막으로 제도 운영의 대상, 특히 정신보건문제를 안고 있는 노동자들의 자발적인 동의가 확보될 수 있어야 한다. 이는 정신적 문제가 안고 있는 편견과 그로 인한 차별이 가져다주는 문제를 함께 고려하면서 제도가 운영되어야 하며, 이에 있어 제도 운영상 노동자들의 주체적인 참여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상 고려되는 직장 내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제도적 접근을 담기 위하여서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전문가 집단의 양성과 같은 단순한 기술적 접근과 이들의 인허가 및 사업화에 따른 적용기준 및 의무의 설정과 같은 제도적 접근에 그쳐서는 그 실효성을 담보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된다. 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정신보건문제에 대한 노사의 공감대를 이루어 내는 것이며, 사회 전반적인 인식의 확산과 더불어 바람직한 관리모습에 대한 사회적 가치관을 도출해 내는 것이 제도적인 접근의 성공을 보장할 수 있는 기반 조건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점에 있어 정신보건문제를 바라보는 기존의 가치관이 부정적이고 고착화된 모습만을 강조하였으나, 이제는 점차 긍정적이 사회활동에 수반되는 역동적인 모습으로서 비추어지는 것이 많아진다는 측면에서 그 전망을 밝게 하여 주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