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네트워크 중심전

검색결과 344건 처리시간 0.033초

전술네트워크 및 전장관리체계 사이버 공격 및 방어 기술

  • 김보성;안효춘;노병희
    • 정보와 통신
    • /
    • 제32권10호
    • /
    • pp.24-30
    • /
    • 2015
  • 미래 전장 환경이 네트워크 중심전으로 진화되어 가면서, 전술네트워크의 구축은 필수적이다. 군사 분야의 선진 각국은 이의 구축을 위하여 막대한 인력과 비용을 들여 추진하여 오고 있다. 우리 군에서도 전술통신 네트워크인 TICN을 구축하여 오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복합 전술 및 전투 체계를 광대역 고속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정보의 적시 전달을 통하여 통합 전투력의 최대 발휘를 목표로 한다. 유무선 네트워크와 이에 연결된 시스템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사이버 공격들은 개인과 기업은 물론 국가 기반시설까지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전술네트워크 또한 공격 목표 대상중의 하나이다. 본 고에서는 전술네트워크에서의 사이버 공격의 형태와 특징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어 방법들에 대하여 고찰한다.

네트워크 에뮬레이터기반 지휘통제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 Command and Control System Based on Network Emulator)

  • 김동현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125-130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에뮬레이터를 활용한 지휘통제시스템의 시험환경 구성, 결과 및 설계반영사항에 대해 다룬다.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의한 정보교환능력과 연산능력의 강화는 네트워크중심전이라는 개념을 가져오게 되었는데, 네트워크중심전에서 무기체계사용자가 빠른 상황판단을 내려 적합한 명령을 내릴 수 있게 지원하는 것이 지휘통제 체계이다. 본문에서는 소프트웨어 기반 네트워크 에뮬레이터중 하나인 dummynet을 활용한 시험환경 구축을 설명하고, 개발된 지휘통제시스템의 운용개념을 요약하였다. 더 나아가 시험 케이스 및 결과에 대해 설명하고, 목표 통신망에서의 제약사항을 극복할 운용개념을 제시하였다. 제안한 방식을 활용하면 항적메시지와 같이 여러 단말기가 같은 데이터를 빠른 주기로 공유할 때 유통 데이터를 크게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사회 연결망 이론에 근거한 아시안컵 축구 결승전 네트워크 분석: 중심성 지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Network for Asian Cup Soccer Final based on Social Network Theory: Based on Centrality Indexes)

  • 김선덕;성태영;이동민;이만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205-216
    • /
    • 2016
  • 본 연구는 축구 경기로 형성된 관계 네트워크 내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선수를 발굴하고 선수 개인이 팀 네트워크 내에서 얼마만큼의 정량적 역량을 지니며 팀에 기여하는지와 선수들과 포지션 상호간의 관계 네트워크가 감독의 전술에 부합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전반전에는 감독의 전술에 따라 공격과 수비수의 네트워크 중심성이 고르게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이는 각 선수들이 포지션별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선수들 간의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이루어져 경기를 리드하고 선순환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형성한 것을 의미한다. 반면 후반전 초반에는 전반전에 비해 특정 선수에게 지나치게 네트워크 중심이 치우치는 양상을 보이며 원활한 경기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하지만 이후 감독의 적절한 선수교체와 과감한 전술의 변화로 이러한 편향적인 구조를 벗어나 선수들 간의 네트워크 균형을 안정화 시키는 결과를 이루어냈다.

네트워크 중심 작전 환경을 위한 정보 브로커 아키텍처 설계 및 평가 (Design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Broker Architecture for Network-Centric Operational Environment)

  • 박제준;강동수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6호
    • /
    • pp.668-677
    • /
    • 2016
  • 효율적인 네트워크 운용으로 정보우위를 선점하는 것은 지휘결심의 속도를 가속화 하여 임무달성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 요소이다. 네트워크 중심전(NCW, Network-Centric Warfare) 개념의 등장 이후, 한국군은 정보공유 효과를 향상하기 위해 네트워크 중심 작전 환경(NCOE, Network-Centric Operational Environment)을 구축하여 효율적 정보공유 능력을 갖추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군 정보공유 환경의 제한을 극복하고, 미래 확장성과 정보공유 가능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정보 브로커 아키텍처를 설계한다. 정보 브로커는 사용자와 정보 제공자 사이에서 중간자로 존재하며, 중재 및 관리 기능과 함께 보안의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제시된 정보 브로커 아키텍처는 기존 아키텍처 설계관점 평가를 통해 일관성을 검증하고, 운용 아키텍처 설계 개념이 구현된 것을 확인하였다.

에이전트 기반 모델링 및 네트워크 통신 환경을 고려한 UGV 효과분석 (Analysis of UGV Effectiveness Based on ABM(Agent Based Modeling) and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s)

  • 이재영;신선우;김종만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89-97
    • /
    • 2018
  • 미래전에서는 무기체계의 상당부분이 무인체계로 대체될 것이며 이들은 상호 통신으로 연결되어 네트워크중심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무인체계 효과분석이 중요한 이슈가 될 것이다. 하지만 무인체계의 주요통제 수단인 통신장애 상황에서 UGV에 대한 효과분석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형을 고려한 통신장애 상황에서 무인체계의 운용효과분석을 위한 새로운 에이전트기반 모델링 절차를 제시하였다. 추가적으로, 통신장애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통신중계기를 추가하였을 경우 UGV운용효과의 변화에 대한 분석결과도 제시하였다.

최신 GNSS 구축 동향 분석 (An Analysis on Recent Construction Trends of GNSS)

  • 최창묵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27-1030
    • /
    • 2013
  • 미래전은 과학기술의 발달로 네트워크 기반의 정보작전이 중심이 되는 형태로 발전하게 되며, 정보작전에 운용되는 시스템을 무력화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전자전 형태의 항법전이 더욱 대두 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미래전에 대비하기 위해 강대국들이 독자적인 GNSS 첨단위성항법시스템 구축을 위한 경쟁을 하고 있는 시점에서 최신 추진 동향을 분석하고, 현 구축단계를 점검함으로써 향후 우리의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4급 링크 암호에 적합한 암호 동기방식 제안 (A Proposal on Cryptographic Synchronization for T4 Link Encryption)

  • 이훈재;김기환;강영진;이상곤;류영재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02-210
    • /
    • 2018
  • 현대 전장은 과학화 및 첨단화를 통해 빠른 현황 파악과 전력배치를 우선시하는 네트워크 중심 전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에 전술 데이터링크는 지속적으로 네트워크 속도 향상을 이루고 있으며, 최근 정찰용 무인기 및 각종 장비와의 무선통신을 위하여 보안 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미래 정보전에서는 첨단 IT의 적극적인 활용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다양한 시스템과 네트워크를 연동, 통합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새롭게 변화하는 정보통신 환경에서 충분한 보안성을 전제 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술 데이터링크에 적합한 새로운 링크 암호동기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암호 동기방식은 T4급 UAV 링크암호에 적합한 방식이며, 통신선로의 BER이 아주 낮은 경우에도 잘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였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합동작전 지휘통제 효과도 모의분석을 위한 평가기준 연구 (A Study on Evaluation Criteria for M&S Analysis of Command and Control Effectiveness in Joint Operations)

  • 손영환;김원배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167-175
    • /
    • 2011
  • 미래전이 네트워크중심전(NCW, Network Centric Warfare)으로 변화함에 따라 세계적으로 지휘통제의 효과도에 관한 관심이 점증하고 있다. 과거의 기동과 타격자산 중심의 소모전 위주의 전투와 달리, 현대전은 정보의 획득과 유통이 중요시되는 정보 네트워크 기반의 전쟁으로서 C4ISR(Command, Control, Communications, Computers, Intelligence,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체계가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는 데는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휘통제가 전투에 기여하는 효과의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론이나 효과 반영체계 등을 명확하게 설명할 방법을 갖추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중심작전의 기반이 되는 C4ISR 체계에 의한 효과도 증진을 개념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인 미국방부가 개발한 NCO-CF(Network Centric Operations-Conceptual Framework)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리고 NCO-CF를 기반으로 하여 지휘통제 효과도 모의분석을 위한 평가기준을 도출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사례연구로 합동작전의 지휘통제 체계에 이 방법론을 적용하여 모의분석을 위한 평가기준을 도출하였다.

육군 정보공유체계에 사회관계망 분석을 적용하기 위한방안: 사례 연구 (Approaches to Applying Social Network Analysis to the Army's Information Sharing System: A Case Study)

  • 박건우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597-603
    • /
    • 2023
  • 군사 작전의 패러다임은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플랫폼 중심전에서 네트워크 중심전, 그리고 정보 중심전으로 진화해왔다. 최근 몇 년간 빅 데이터, 인공지능, 사물인터넷(IoT)과 같은 첨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군사 작전은 인공지능 기반의 지식 중심전(KCW)으로 진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군은 신뢰성 있는 C4I (Command, Control, Communication, Computer, Intelligence) 시스템 구축을 위해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의 통합에 큰 비중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C4I 시스템의 전투 능력 향상, 네트워크 기반 환경에서의 최적 활용, 정보 흐름의 효율적인 부하분산, 원활한 의사소통, 지식공유의 효과적인 구현 등을 분석하고 평가하기 위해 데이터 마이닝 기법을 적용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데이터 마이닝은 현대 빅 데이터 분석의 핵심 기술로, 본 연구는 데이터 마이닝을 활용하여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군의 지휘 통제체계의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실용적인 전략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는 C4I 시스템의 성능을 더 깊게 이해하고 현대 군사 작전에 지식 중심전을 강화하는 데 유용한 통찰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미래 전쟁양상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The Changes in the Future War Patterns and ROK's Response)

  • 김강녕
    • 한국과 국제사회
    • /
    • 제1권1호
    • /
    • pp.115-152
    • /
    • 2017
  • 본 논문은 미래 전쟁양상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쟁의 개념 특성 유형과 진화, 미래의 전쟁양상의 변화, 미래전에 대한 한국의 대응전략을 살펴본 후 결론을 도출해본 것이다. 진리는 불변할 수 있지만 다른 모든 것은 변한다. 전쟁은 인간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지구상의 곳곳에서는 전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농업사회${\rightarrow}$산업사회${\rightarrow}$지식정보화사회로 시대가 변화해감에 따라 전쟁양상도 변화해왔다. 미래 전쟁양상은 지상 해상 공중 우주 사이버에서 진행되는 5차원전쟁, 네트워크 중심전, 정밀타격전, 신속기동전, 비화약전, 비살상전, 무인로봇전, 정보 및 사이버전, 비대칭전, 비선형전, 병행전 등으로 변화 확대될 전망이다. 이러한 전쟁양상의 변화에 대응하여 한국군은 (1)미래지향적 군사력 건설, (2)지속적인 군사혁신과 대비태세의 발전, (3)'기술중심'의 전력획득 패러다임의 발전 정착을 모색 추진해 나가야 할 것이다. 로마 전략가 베게티우스(Vegetius)가 말한 "평화를 원하거든 전쟁에 대비하라."고 역설했는데, 이것은 오늘날 국제사회에서도 변함없이 통용되는 격언이 아닐 수 없다. 우리가 원하는 평화는 지킬 수 있는 의지와 능력이 있을 때 주어진다는 것을 한시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