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네트워크 용량

검색결과 666건 처리시간 0.033초

라우터 프로토콜을 위한 자료구조의 분석 및 성능 평가 (Analysis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Data Structures for Route Protocol)

  • 강유화;오재천;이승민;정태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8 No.2 (3)
    • /
    • pp.343-345
    • /
    • 2001
  • 통신 및 네트워크 사용자의 증가와 실시간 처리를 요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의 증가의 인하여 네트워크 트래픽이 증가하고 서비스 품질 저하 및 접속 속도의 감소가 초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라우터의 용량이 확장되고 있으나, 라우터의 용량확장에 따른 테이블의 크기 증가는 경로 선택을 위한 검색 시간 증가를 초래하므로, 라우팅 테이블의 구성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TCP/IP 기반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관리하는 Zebr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라우팅 테이블의 구조와 구성방식에 대하여 분석하고, 비교 알고리즘을 제시하여 성능 비교 및 평가를 하고자 한다.

  • PDF

애드훅 네트워크의 용량 증대 기법 및 구현 이슈 동향

  • 홍비;임여희;최완;김석기
    • 정보와 통신
    • /
    • 제30권8호
    • /
    • pp.83-88
    • /
    • 2013
  • 현재 이용되고 있는 셀룰러 이동통신에서는 여러명의 사용자의 트래픽을 동시에 처리하는 것은 자원의 직교적인 분할을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사용자가 많아질 경우 각 사용자의 개별 용량이 매우 작아지는 결과를 낳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스마트폰등의 무선 모바일기기의 활성화와 함께 더욱 심화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기법으로 각광 받고 있는 애드훅 네트워크에서의 계층적 협력 통신 기술을 바탕으로 관련 기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집단에너지 네트워크 설계에 관한 연구 : 크리티컬 링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Network Design in District Heating Networks : Focused on Critical Link)

  • 송상화;임옥경;이재승;김현철;안창구
    • 에너지공학
    • /
    • 제26권3호
    • /
    • pp.123-130
    • /
    • 2017
  • 집단에너지 시스템은 높은 에너지 생산 효율과 발전 시 탄소배출량 절감 등의 이점이 있어 활용이 느는 추세다. 집단에너지 시스템은 도입 초기에는 열원 설비와 수요단지간의 개별 연결 형태였으나, 수요지가 증가하며 최근 네트워크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집단에너지 시스템이 네트워크 형태로 구축하면 미활용 열을 수요가 발생한 곳에 송열하는 열 연계가 가능해지고, 이는 사업자의 수익성을 개선하여 산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열 연계 네트워크 설계를 위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을 거쳐 열 연계 네트워크에서 연중 최대 부하가 발생하는 링크를 크리티컬 링크(Critical Link)로 구분하였다. 또한, 크리티컬 링크의 연계 배관 용량 증감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통해 연계 배관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이 열 연계 네트워크 효율에 영향을 미침을 제시하였다. 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크리티컬 링크 중 배관 용량의 증가 대비 열 연계량 효과가 높은 지역을 우선적으로 타 집단 에너지 사업자와 열 연계를 추진하면 상호 시너지 창출이 가능할 것이다.

다중 셀 환경에서 하향 링크 OFDMA 중계 네트워크를 위한 전력 및 부반송파 할당 기법 (Joint Subcarrier and Power Allocation for a Downlink OFDMA Relay Network in Multi-Cell Environments)

  • 최동욱;이재홍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18
    • /
    • 2009
  • 현재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s Union)에서는 4세대 무선 광대역 표준에 대한 제안을 모색하고 있다. 4세대 표준의 유력한 후보군인 LTE-Advanced와 IEEE 802.16m은 고속이용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상형링크 및 하향링크에 변조기법으로 OFDMA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셀(Cell) 변두리 지역에서 통신용량을 늘리기 위에 중계단말기를 사용하려고 한다. 이에 따라서 OFDMA 중계 네트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자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단일 셀 환경에서 확장된 다중 셀 환경의 OFDMA 중계 네트워크에서 부반송파 및 전력 할당 기법용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에서는 채널정보를 인접 셀과 공유하여 셀 간 간섭을 줄이고 부반송파와 전력을 적응적으로 분배함으로서 각 수신단말기의 최소통신용량을 확보하고 네트워크 지속시간을 늘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PDF

광-회선-패킷 통합 전달망 기술 동향 (Technology Trends of Optical-Circuit-Packet Converged Transport Networks)

  • 김홍주;이현재;유제훈;고제수;김태일;주범순;이종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28권6호
    • /
    • pp.49-62
    • /
    • 2013
  • 광-회선-패킷 통합 전달망 장비는 광전송망, 회선 망, 패킷 전달망 계층을 하나로 통합한 장비로써, 패킷-회선 교환 전달, ROADM(Reconfigurable Optical Add/Drop Multiplexer) 광파장 교환 전달, GMPLS(Generalized 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기반 통합제어 및 관리기능을 수행하면서 네트워크 구조의 단순화, 네트워크 제어의 지능화, 그리고 네트워크 용량의 광대역화를 구현한다. 트래픽 폭증과 전송용량 부족 현상을 해결하고, 트래픽 증가 대비 수익의 탈동조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네트워크 CAPEX(Capital Expenditures)/OPEX(Operating Expenditures)를 절감함으로써 통신사업자의 투자 여건을 우호적으로 조성하면서 최근 주목 받고 있는 기술이다. 본고에서는 광-회선-패킷 통합 전달망의 기술동향을 기술한 것으로써, 배경, 필요성 및 개념 개발동향 및 경쟁기술에 대해서 살펴보고, 기술발전 로드랩 및 주요 기술 동향과 시장 및 사업화 전망에 대해서 분석한다.

전송 용량 제한조건을 가진 무선 중계 네트워크의 수명을 최대화하는 효율적인 전송 전력 할당 기법 (An Efficient Power Allocaction Scheme to Maximize Network Lifetime in Wireless Relay Networks with Energy Contraint)

  • 박대준;김형명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7A호
    • /
    • pp.660-668
    • /
    • 2010
  • 에너지 자원이 제한된 네트워크에서는 채널 상태 정보와 남은 에너지 정보를 기반으로 에너지자원을 각 유저들에게 최적으로 할당함으로써 네트워크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송 용량을 만족시키면서 네트워크의 수명을 최대화하도록 전송에 참여하는 중계기를 선택하고 전송 전력을 할당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된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서 수명을 증가시키는 것을 보인다.

초.중등학교 RFID/USN 구현방안 -네트워크 구축 중심으로- (Method for Implementation of RFID/US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Focused on Implementing Network-)

  • 박형용;정종인;강신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379-387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초 중등학교에 RFID/USN을 구축할 수 있는 모형을 교수학습 부문, 시설관리 부문, 교사 및 학생 관리 부문으로 각각의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모형 지원을 위한 학내망 구현 방안으로 유선네트워크 기반 모형과 무선네트워크 기반 모형을 제안하였다. 유선네트워크 기반 모형은 기 구축된 유선 학교망을 이용하여 위에서 제시한 모형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네트워크 기반 모형은 공간적 제약을 해소할 수 있는 기존의 무선 LAN으로부터 유도할 수 있다. 학교에 요구되는 통신 대역폭을 학교 규모에 따라 산정하였으며 네트워크 용량을 산정하였다.

Cognitive Radio 무선 다중홉 릴레이 네트워크의 Throughput 용량 (Throughput Capacity of a Wireless Multi-hop Relay Network using Cognitive Radio)

  • ;송주빈;김영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4권5호
    • /
    • pp.33-39
    • /
    • 2007
  • 본 논문은 cognitive radio (CR) 기능을 갖는 무선 멀티홉 릴레이 네트워크의 throughput 용량에 대한 연구 결과이다. 본 논문에서는 TDMA/FDMA에 기반한 프레임 구조를 갖는 릴레이가 기지국과 통신할 때 CR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는 주파수 자원을 측정하여 동적으로 이용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의 throughput 용량 모델을 제안 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Utilization factor를 이용하여 제안된 시스템을 위한 throughput 용량 모델을 제안하였다. 해석 모델링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CR 기반 멀티홉 릴레이 시스템은 throughput 용량을 매우 향상하는 결과를 보였다.

IP 네트워크 전송에 적합한 효율적인 SVC 전송 기법 (An Efficient SVC Transmission Method in an If Network)

  • 이석한;김현필;정하영;이용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4B호
    • /
    • pp.368-376
    • /
    • 2009
  • 네트워크 환경의 발달과 함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지원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아래서 서로 다른 단말에 IP 네트워크를 통해 TV 화상을 인코딩하여 전송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다. 여러 방식 중에 SVC(Scalable Video Coding)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AVC(Advanced Video Coding)보다 네트워크 채널 용량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인 방식이라고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SVC 방식은 AVC에 비해 $10{\sim}30%$정도의 오버 헤드를 가지기 때문에, 같은 비디오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 현재의 방식 보다 높은 비트율(bit-rate)이 필요하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기존의 SVC에 대한 연구에서는 AVC와 SVC를 네트워크의 채널 용량 관점에서 비하였고, 두 비디오 압축 방식을 전송하는 방법에 대해 두 가지 방식으로 모델링 하였다. 각 방식에서 SVC의 채널 용량이 약 $16{\sim}20%$정도 더 좋지만 현재 네트워크 환경의 한계로 인해 효율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고 결론지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네트워크 라우터에 EDE(Extraction Decision Engine)및 SVC 추출기를 집적하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SVC 전송 네트워크 프레임을 제안하고, 참고 논문에서 모델링한 두 방식과의 정량적인 비교로 네트워크 구조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제안된 구조는 현재 사용되는 AVC방식에 비해 최대 50%의 채널 용량 감소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MPLS 기반 DiffServ망에서의 효율적인 네트워크 Dimensioning에 관한 연구 (An efficient network dimensioning method for DiffServ over MPLS networks)

  • 조병일;유상조;정연화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8권5B호
    • /
    • pp.435-447
    • /
    • 2003
  • 네트워크 설계 시 기존의 링크용량 산출 방법들은 오랜 관측의 결과에 의존 하거나 가입자의 평균 트래픽 특성에 근거한 대역 추정 기법들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PLS 기반 DiffServ 네트워크 설계에 필요한 링크대역을 산출하기 위하여 클래스별 가입자 SLA에 근거한 새로운 링크 대역 결정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가입자 트래픽 특성에 따른 정확한 망설계를 위하여 MPLS 기반 DiffServ망에서의 에지 노드에 집중된 DiffServ의 클래스별 가입자 SLA특성을 분석한 뒤, MPLS의 LSP 결정 방법에 따라 에지에서의 가입자 SLA를 전체 네트워크에 분배하는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여 전체 네트워크에 분배된 SLA정보를 근거로 각 링크 용량을 산출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DiffServ 클래스별 특성에 따라 효율적인 설계를 위한 설계 파라미터와 QoS 요구조건에 적합한 대역 계산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안을 바탕으로 MPLS 기반 DiffServ 망 링크 용량산출을 위한 도구를 개발하여 쉽게 네트워크 설계를 할 수 있도록 하였고 제안된 설계 방법의 성능 평가를 통하여 클래스별로 효율적인 링크 자원 설계가 이루어짐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