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네트워크확장

검색결과 2,302건 처리시간 0.058초

사이버 침입 탐지 시뮬레이션을 위한 SSFNet 기반 DNS 구현 (Implementation of DNS for Network Intrusion simulations based on SSFNet)

  • 한종현;이은영;주미리;박승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3)
    • /
    • pp.40-42
    • /
    • 2004
  • 규모가 방대한 네트워크 상에서 네트워크의 침입과 방어의 효과와 유용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존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직접 침입과 방어를 테스트하는 것은 많은 노력과 비용이 든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인터넷 침입의 표현에 필요한 DNS Service를 포함한 네트워크 침입 시뮬레이션을 하기 위한 SSFNet 확장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SSFNet에 새로이 추가된 DNS Service 모듈을 이전 연구에서 만들어진 모듈들과 함께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네트워크 침입 시뮬레이션을 테스트 하였다. 본 시뮬레이션에서는 1770개 노드로 구성된 네트워크에서 Http 서비스와 DNS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들을 설정하고, 해당 서비스가 원활히 진행되는지를 살펴보았다.

  • PDF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홈네트워크에서 안전한 지불 방식 제안 (A Study on Secure Payment scheme in Home Network based on Sensor Network)

  • 서대희;강서일;이임영;강성우
    • 한국정보보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보호학회 2003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69-273
    • /
    • 2003
  • 최근 새로운 형태의 네트워크 환경인 유비쿼터스 컴퓨팅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유비쿼터스 컴퓨팅에서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는 센서 네트워크로써, 저전력 Ad-hoc 네트워크에 기반한 센서와 센서노드들로 구성되며, 실제의 환경과 유비쿼터스 컴퓨팅과의 매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홈네트워크에 센서 네트워크가 구성되어 사용자가 센서 네트워크 기반의 지불 서비스를 제공받고자 할 경우 안전한 무선 지불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방식은 센서 네트워크의 특성인 자동 서비스 등록 과정을 거쳐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정보에 대한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다양한 서비스의 등록이 가능한 확장성을 제공한다.

  • PDF

스마트 기기 상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사용자 수용 연구: 확장된 기술수용모형 (User Acceptance of Social Network Games on Smart Devices: An Extension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김수연;이상훈;황현석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173-184
    • /
    • 2011
  • 스마트 폰, 스마트 패드, 태블릿 등의 스마트 기기가 확산됨에 따라 일상생활에서 업무수행까지 다양한 범위와 용도로 스마트 기기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사용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중 하나가 게임 관련 분야이며 특히 소셜 네트워크 상에서 이루어지는 소셜 네트워크 게임은 게임 관련 앱 중에서 인기도 상위에 위치할 정도로 저변과 이용자가 늘고 있다. PC 게임이나 온라인 게임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스마트 기기 상에서 이루어지는 소셜 네트워크 게임의 수용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기기 상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게임에 대한 기술수용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기존의 기술수용모형에 소셜 네트워크 게임이 갖는 특징을 반영하기 위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이동성, 주관적 규범, 플로우 등의 추가적인 요인을 도입하여 확장된 기술수용모형을 수립하였으며 모형의 구조적인 관계를 밝히고자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고 결과와 함의를 기술하였다.

라이프로깅 데이터를 이용한 소셜 네트워크 그룹 생성 시스템 (The System Developing Social Network Group by Using Life Logging Data)

  • 조영호;우진철;이현우;조아영;황민철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3-19
    • /
    • 2017
  • 스마트폰과 웨어러블 기기의 발달로 다양한 라이프로깅 서비스와 클라우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는 인터넷상에서 개인의 일상을 공유해 친구들에게 근황을 알리고 새로운 인간관계를 형성하도록 한다. 라이프로깅 관련 연구들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시대의 라이프로깅은 단순한 기억의 확장을 넘어 사회적 관계를 제시해야 한다. 또한 사회적 이슈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익명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얻어지는 라이프로깅 데이터를 이용해 소셜 네트워크 그룹을 생성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소셜 네트워크 그룹은 비슷한 감성 성향의 사람들을 범주화함으로써 사회적 관계를 제공한다. 이때, 익명성 보장을 위해 타인을 식별할 수 없도록 한다. 소셜 그룹의 대표 감성과 비슷한 소셜 그룹들을 범주화해서 확장된 소셜 네트워크 그룹을 만들 수 있다. 소셜 그룹간의 네트워크로 확장되면 대표 감성과 행동 양식을 분석해 대중의 패턴과 트렌드를 추론할 수 있는 기초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WiFi 네트워크 시스템을 활용한 차량 관제용 네트워크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ehicle Control Network Using WiFi Network System)

  • 유환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632-637
    • /
    • 2019
  • 차량의 자율주행을 위한 최근의 연구는 매우 활성화되고 있고, 안전운행을 보조하고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는 추세이다. 자율주행 차량은 인공지능의 결합, 영상인식 능력과 더불어 사물간의 인터넷 통신이 필수인 상황이다. 모바일 이통통신 네트워크는 처리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쉽게 구현이 가능하고 확장이 용이한 Wi-Fi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확장한다. 이러한 차량 관제용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한 무선 설계방식을 제안한다. 이동 단말장치의 데이터 송수신의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AP의 배치 구성과 소프트웨어 구성방식을 제안한다. 제안한 네트워크 시스템의 설계를 통해서 이동 차량의 통신성능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단말장치의 이동에 대한 실험을 통해, 차량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GPS, 영상,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의 패킷 구성을 검증한다. 이러한 무선 설계기술을 2.4GHz, 5GHz 및 10GHz Wi-Fi 등의 다양한 범용 무선 네트워크에 확장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무선 지능형 도로망과 자율주행과의 연동이 가능하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지속 가능성을 위한 확장성 기반 에너지 모델 (A Scalability based Energy Model for Sustainability of Blockchain Networks)

  • 전승현;정복래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51-58
    • /
    • 2023
  • 최근 블록체인은 트릴레마를 해결하기 위해 이상적인 분산 신뢰 네트워크를 설계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일부 국가간 분쟁으로 에너지 분배의 불균형이 발생했고, 현재 비트코인과 같은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거래와 채굴을 위해 엄청난 에너지를 소비하고 있다. 기존 연구인 데이터 볼륨 기반 신뢰 모델은 루빈 방식의 신뢰 모델보다 증가하는 블록체인 크기를 더 잘 평가했다. 본 논문에서는 성장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존속시간, 블록체인 크기 및 거래를 위해 소모된 에너지를 고려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지속 가능성을 평가하는 확장성 기반 에너지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수학적 분석을 통해 제안 모델과 기존 모델에 대한 만족도와 최적의 블록체인 크기를 비교한다. 그러므로 제안된 확장성 기반 에너지 모델은 트릴레마를 해결하고 지속 가능성을 검증하는 적절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선택할 수 있는 평가 툴을 제공할 것이다.

지연 감내 네트워크에서 사회관계기반 기회적 라우팅 기법 (An Opportunistic Routing Scheme Based on Social Relations in Delay-Tolerant Networks)

  • 김찬명;강인석;오영준;한연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3권1호
    • /
    • pp.15-22
    • /
    • 2014
  • 지연 감내 네트워크는 지속적인 연결이 보장되지 않고 저장(Store), 운반(Carry), 전달(Forward) 방식의 메시지 전달을 사용 하는 네트워크이다. 이러한 지연 감내 네트워크에서 메시지 전달은 중요한 연구 이슈이며, 최근 많은 라우팅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노드들의 사회관계와 확장 매개 중심도를 이용하여 효율적인 지연 감내 네트워크에서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Epidemic routing, Friendship routing에 비해 적은 메시지 전달 성공률차이를 유지하며, 메시지 전달 비용에는 효율적임을 보인다.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에서 노드 클러스터링을 위한 유전 알고리즘 (A Genetic Algorithm for Clustering Nodes in Wireless Ad-hoc Networks)

  • 장길웅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7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649-651
    • /
    • 2017
  • 클러스터링 문제는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의 네트워크 수명과 확장성을 향상시키는 문제 중 하나이다. 이 문제는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의 설계 및 운영과 관련된 어려운 조합 최적화 문제이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수명을 최대화하고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클러스터링 문제는 NP-hard 문제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노드의 수가 많은 네트워크에서 합리적인 시간 내에 최적의 해를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최적화 방식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노드의 전력과 클러스터링 비용을 고려하여 클러스터 헤드를 선택하고 클러스터를 구성한다. 우리는 노드의 전송에너지 측면에서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을 평가한다. 시뮬레이션 결과는 제안된 알고리즘이 기존의 알고리즘보다 성능이 우수함을 보여 준다.

  • PDF

그리드 NOC를 위한 모니터링 구조의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of Monitoring Architecture for the Grid NOC)

  • 하지아;안성진;이혁로;노민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90-99
    • /
    • 2002
  • 그리드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자원을 상호 공유, 이용하여 공동 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종의 대규모 그리드 네트워크 자원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그리드 네트워크 자원의 총괄적인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구조가 필요하다. 기존의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은 관리 범위가 정해져 관리영역의 확장성과 이종의 자원의 포괄적인 관리에 제약이 따랐다.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네트워크에 대한 모니터링을 위해 그리드 NOC에서의 총괄적인 상태 파악을 가능하게 하고 확장성을 가지는 모니터링 구조를 설계하였다. 제안한 구조는 네트워크 영역이 공통의 디렉토리서비스에 정보를 저장하고 그리드 NOC에서는 이 정보를 이용하여 직접 네트워크영역으로 연결한다. 이로써 그리드 네트워크의 대규모의 자원에 대해 적은 부하로 전체적인 관리를 수행하게 된다.

  • PDF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이용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확장 (Extending Sensor Registry System Using Network Coverage Information)

  • 정현준;정동원;이석훈;백두권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323-326
    • /
    • 2015
  •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Sensor Registry System, SRS)은 이기종 센서 네트워크 환경에서 센서 데이터의 즉각적 활용 및 끊김 없는 해석을 위해 사용자에게 센서 정보를 제공한다. 불안정한 네트워크 상황에서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 이동 경로 예측기반 SRS가 연구되었다. 하지만 네트워크가 지원되지 않거나 신호가 약한 지역에서는 여전히 센서 정보의 끊임 없는 제공이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네트워크 커버리지의 정보를 이용한 센서 레지스트리 시스템 확장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예측한 경로와 네트워크 커버리지에 대한 오픈 데이터(지역 통신사 정보, 통신 대역폭, 신호 강도, 통신 타입)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불안정한 네트워크 지역에 도착하기 전에 해당 지역의 센서 정보를 추가로 송신한다. 기존의 경로 예측기반 SRS의 센서 정보 송신보다 추가 오버헤드가 발생하지만, 사용자는 끊김 없는 센서 정보를 수신하여 이용 센서 응용 서비스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