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네트워크화

검색결과 4,851건 처리시간 0.036초

API를 이용한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설계 (Design of the social network service for the open source community using API)

  • 송주홍;문남미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40-341
    • /
    • 2011
  • 경제성장과 기술의 수용도가 높아지면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시장의 수익이 연간 22.4%의 성장을 기록할 것이라고 예측했을 정도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의 시장성과 영향력이 나날이 커져가고 있다.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커뮤니티 규모의 확대, 내부협력의 향상 그리고 더 나아가 소프트웨어의 고도화를 주요 목표로 두고 있다. 본 연구에선 협업을 통한 소프트웨어의 고도화를 도모하고, 보다 나은 개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 오픈소스 커뮤니티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성 및 제안 하고 있다. 오픈소스 커뮤니티 내에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도록 커뮤니티를 구성하였다. 또한 개발자들이 사용한 API들을 이용해서 개발자간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성하고, 연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개발자에게 필요한 정보와 문제점 및 해결방안 등 개발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공유할 수 있을 것이며, 개발상의 편이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고도화를 촉진 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DWDM 망에서 차등화 서비스를 위한 최적의 RWA 알고리즘 연구 (A Study on Optimal RWA Algorithms for Differentiated Service in DWDM Networks)

  • 이익섭;송현수;배정현;김성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하)
    • /
    • pp.1377-1380
    • /
    • 2002
  • 차세대 인터넷 백본망에서 DWDM(Dense Wavelength Division Multiplex) 기술은 네트워크의 증가하는 사용자 수와 요구 대역폭을 수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빠르게 수용되고 있다. RWA(Routing and Wavelength Assignment) 문제는 DWDM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자원 활용 측면에서 최적의 경로 선택과 파장 할당을 위해 중요하다. 하지만 제안된 RWA 알고리즘은 네트워크의 혼잡 상황에 대한 고려가 미비하여 네트워크의 혼잡 시 성능이 제한적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미래의 잠재적인 연결 요구에 가장 영향을 줄이는 경로를 설정하는 MIPR(Minimuim Interference Path Routing)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또, 제안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IP 차등화 서비스에서 QoS(Quality of Service) 제공을 위해 서비스 타입별로 차등화 된 라우팅 방법을 제공한다.

  • PDF

단일홉 무선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단순 TDMA 시스템을 위한 DESYNC 알고리즘 개선 방안 (An Enhanced DESYNC Scheme for Simple TDMA Systems in Single-hop Wireless Ad-hoc Networks)

  • 현상현;이제율;양동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64-267
    • /
    • 2014
  •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는 사용자에게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구간에서 모든 대역폭을 이용하여 무선 네트워크에서 통신할 수 있는 다중 접속기술이다. TDMA에서 동기화 방식은 동기화를 이루는 방법이 어렵기 때문에 소규모 네트워크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DESYNC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한 동기화 방식의 TDMA 기법인 C-DESYNC를 제안하고자 한다. C-DESYNC는 DESYNC의 firing 방식을 이용하고, 주기의 시작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Global Packet을 이용하여 안정화상태까지 걸리는 최대 지연시간을 보장한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DESYNC기반 비동기 TDMA 기법 (Asynchronous TDMA Scheme using DESYNC in Wireless Networks)

  • 이제율;현상현;양동민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96-399
    • /
    • 2013
  • TDMA(Time-Division Multiple Access)는 한정된 채널을 시간상에서 여러 개의 구간으로 분할하고, 자신에게 할당된 시간 구간에서 정보를 전송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은 TDMA 알고리즘의 한 종류인 DESYNC 알고리즘을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용하여 별도의 동기화 작업 없이 간단한 규칙으로 동기화를 유지하는 기법을 소개 한다. 기존의 DESYNC 알고리즘은 모든 노드들이 전송 영역 안에 있어야 하고, 전부 연결되어있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중앙제어장치인 CU(Central Unit)을 네트워크에 배치하여 2-홉 형태의 중앙 집중방식 네트워크가 운영되도록 하였다. 제시하는 알고리즘은 기존의 DESYNC 알고리즘과 마찬가지로 복잡한 동기화 과정 없이 단순한 방식으로 TDMA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하면서, 전송 범위는 기존의 DESYNC 알고리즘의 성능에 비해 우수하다.

뉴럴네트워크의 개요와 적용

  • 임춘성
    • 전산구조공학
    • /
    • 제9권3호
    • /
    • pp.23-28
    • /
    • 1996
  • 1980년대가 뉴럴네트워크의 이론적 재도약으로 특성화할 수 있다면 1990년대는 여러 분야의 제반문제에 뉴럴네트워크가 적용되어 기존의 다른 문제해결방법을 대체하거나 보완하는 적용확산 기간이라 말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의 두뇌활동의 이해'라는 본래적인 뉴럴네트워크의 심리/생리학적 목적과는 관계 없이 제반 문제의 해결에 뉴럴네트워크의 방법론적 강점을 활용하는 공학적 접근방안의 확산을 의미하며, 본 논문의 내용 또한 이러한 측면에서 기술되고 있다. 다음은 뉴럴네트워크의 정의와 특성을 약술하고 계속하여 뉴럴네트워크의 종류와 뉴럴네트워크 적용시의 지침을 정리해 본다.

  • PDF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동적 하위 그룹 생성 (Generation of Dynamic Sub-groups for Social Networks Analysis)

  • 이현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41-50
    • /
    • 2013
  • 소셜 네트워크 분석은 1개의 연결을 가지는 n개의 노드를 대상으로 한다. 노드 수 n이 수십 또는 수백 정도의 소셜 네트워크를 분석할 때는 전체 데이터를 대상으로 분석이 가능하지만, 그 이상이 되면 육안으로 분석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전체 소셜 네트워크를 분리할 필요가 있는데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군집화이다. 군집화를 통해 전체 노드를 하위 그룹으로 구성하면, 소셜 네트워크의 특징 분석이나 노드간의 관계 분석을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군집화 기법은 하위 그룹의 개수를 미리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이 필요하고, 이렇게 생성된 하위 그룹이 최적의 결과라는 것을 보증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외부 커뮤니티 연관도를 활용한 동적인 하위 그룹 생성 방법을 제안한다. 발견된 하위 그룹의 개수와 하위 그룹 순도를 기준으로 기존의 연구들과 비교하였고, 실험 결과 제안하는 방법의 우수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트워크 가상화를 이용한 망 분리 구축 방법 (Network separ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network virtualization)

  • 황성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8호
    • /
    • pp.1071-1076
    • /
    • 2020
  • 망 분리(Network separation)의 중요성은 기존 업무용 PC에 인터넷을 같이 사용함으로 내부 정보가 유출된 사건 등이 발생되고 서버들도 인터넷에 접근 가능 하도록 환경이 구성되어 악성코드로 서비스 장애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네트워크 가상화를 이용한 망 분리와 망 연계 시스템과 병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터넷용 네트워크 영역과 가상화 시스템 서버팜 영역으로 구성영역 구축하고 이후 보안 시스템 영역과 망간 자료 연계 시스템 영역으로 분류하여 구축 연구 하였다. 제안한 방법의 우수성을 입증하기 위해 국내 1만 user 이상의 사이트 조사를 통한 프로그램 부하와 LOB(Line Of Business)등이 VM(virtual machine) Density가 보수적 산정된 근거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가상화를 이용한 망 분리 구축이 연구 되었다.

네트워크 생존성을 고려한 선박 통신망(SAN)의 이중화 네트워크 토폴로지 및 중복 전송 프로토콜의 설계 (Design of Dual Network Topology and Redundant Transmitting Protocol for High Survivability of Ship Area Network (SAN))

  • 손치원;신정화;정민영;문경덕;박준희;이광일;탁성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7C권1호
    • /
    • pp.119-128
    • /
    • 2010
  • 지능형 선박(Smart Ship)에 탑재되는 정보화 장비의 종류와 수량이 증가하고 있는 최근 국내외 조선 산업계 동향에 따라, 이들 장비를 효율적으로 통합하고 제어할 수 있는 선박 백본 네트워크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선박 백본 네트워크는 자동화 및 무인화 특징을 가지는 지능형 선박에 구축된다는 점에서 고수준의 생존성을 요구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네트워크 구축 환경의 특수성과 네트워크 생존성 요구 사항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선박 운용을 제공하는 고생존 선박 통신망(SAN : Ship Area Network)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지능형 선박의 정보화 장비를 포함한 모든 네트워크 노드들이 이중 경로를 통해 서로 연결된 이중화 네트워크 토폴로지를 설계하였다. 그리고 설계한 이중화 네트워크 토폴로지 환경에서 최소의 중복 전송을 통해 최대의 생존성 성능을 나타내는 효율적인 중복 전송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한 토폴로지 및 프로토콜이 적용된 새로운 선박 통신망의 성능을 그래프 이론, 확률 이론, 구현 명세, 시뮬레이션 등을 포함한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네트워크 기반 프로토콜 공격에 대한 침입탐지 시스템의 설계 (Design of Network-based Intrusion Detection System for Protocol Attack)

  • 최준욱;이정준;정운영;정선화;박석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A)
    • /
    • pp.523-525
    • /
    • 2002
  • DOS (Denial Of Service)에 대한 공격은 시스템의 정상적인 동작을 방해하여 시스템 사용자에 대한 서비스 제공을 거부하도록 만드는 공격으로 현재 이의 공격에 대한 탐지 알고리즘 및 연구들이 많이 제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또는 트랜스포트 계층에 해당하는 프로토콜(TCP/IP, ICMP, UDP) 공격을 분석하고 이들 프로토콜의 취약점을 공격하는 DOS 공격 이외의 다른 공격을 탐지하기 위하여 프로토콜의 기능별, 계층별에 따른 모듈화 작업을 통하여 네트워크 침입탐지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 PDF

멀티서비스 수용을 위한 통합액세스 전공기술

  • 남도현;김창락;김진희;이재진;김운하
    • 정보와 통신
    • /
    • 제19권3호
    • /
    • pp.62-75
    • /
    • 2002
  • 전화서비스를 포한한 새로운 사업모델의 데이터서비스 및 부가서비스 분야에서 네트워크의 변화가 회선기반에서 패킷기반으로 매우 빠르게 이루어짐에 따라 기존 회선기반 네트워크와 패킷기반 네트워크사이에 상호보완적 진화를 위한 통합액서스 전송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다양한 솔루션이 공존하는 액서스망에서 전달망의 단순화와 통합화를 통해 기존 회선기반 서비스와 인터넷 데이터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통합액서스 전송기술을 다루고자 산다.